[서평] '소스코드 더 비기닝'을 읽고
저는 1979년생입니다. 하지만 저는 늘 마음은 27~28세에 머물러 있습니다. 그러니 20대 청년입ㄴ.. 시작부터 무리수네요. 죄송합니다.
믿기 힘든 숫자라 AI에게 79년생이 몇 살이냐고 물으니 47이라는 충격적인 답변이 돌아옵니다.
물론 저는 전면적으로 부정합니다만. (ㅠㅜ)
꽤 마음속에 있는 이야기를 하자면, 제 나이대 분들... 그러니까 70년대 80년대 분들은 참으로 재미있는 경험을 하며 산 세대라고 생각합니다.
나이부심이 아니라, 정말로 그렇습니다. 상상력이 풍부하던 어린 시절에 하이테크의 발전을 그대로 보면서 살 수 있었거든요. 저보다 형님 세대 분들은 흑백 TV에서 컬러 TV로 변하는 걸 보셨습니다. 저는 그 정도는 아닙니다만, 예전 TV 수상기가 어떻게 생겼는지 생생히 기억합니다.
최초의 핸드폰 모토로라 단말기도 봤고, 거의 최초의 게임기인 대우 재믹스도 해봤고, 오락실이라는 게 처음 생겨서 50원, 100원 들고 한판 해 보겠다고 뒤에 서 있다가 동네 무서운 형들에게 털리기도 했습니다.
카세트테이프도 늘어날까 봐 소중히 듣다가, CD가 나오고 MP3가 나오는 변화도 겪었죠.
아 이거 추억팔이하면 끝이 없는데, 암튼 그런 시절이었습니다.
아날로그가 디지털로 변화하던 시절입니다.
제가 초등학교 2학년 때 아버지께서 빌려준 돈을 현물로 받아오셨습니다. 당시 엄청난 고가였던 대우전자의 X-2라는 컴퓨터였습니다. 그게 제 인생을 일정 부분 바꿔주었습니다. 통신사에 입사하고, 금융회사로 와서 신기술을 접하고 있는 저의 밑바탕이 그때 만들어진 것 같습니다. 1988년이네요.
그때 처음으로 접한 OS가 MSX-DOS였는데요. 마이크로소프트라는 회사가 일본의 아스키라는 회사와 합작해서 만든 OS였습니다. 제가 마.소라는 이름을 처음 들은 순간입니다.
마소는 그때도 대단했지만 시간이 지나며 더 대단한 회사가 되었죠. 빌 게이츠는 대단한 인물이었지만 저한테는 좀 먼.. 뭐랄까 전설 속의 캐릭터 같았습니다. 뉴스 너머로 볼뿐이었죠. 사실 저는 게이츠를 많이 무시하고 있었습니다. (제 주제에 누굴 무시를) 알려진 정보만 보면 딱 그 시절 미국의 금수저였거든요. 부모 빨로 성공한 캐릭터 같은 느낌이 싫었습니다.
1955년에 성공한 백인 부부인 변호사 아버지와 은행가 집안 딸 어머니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고,
살면서 큰 어려움 없이 하고 싶은 거 다 하고 살았으며, 부모님도 승승장구해서 아버지는 로펌 파트너, 어머니는 대기업 임원.
명문가 자제들만 가는 고등학교를 갔는데 당시에는 귀하디 귀한 컴퓨터를 쓸 수 있었던 환경!
그리고 하버드 가서 뜻있는 친구들과 창업!
아니 딱 봐도 이건 뭐 금수저가 '맡겨놓은 성공 찾으러 왔다' 느낌이지 않나요. 흙수저 입장에서는 짜증 나는 사기캐입니다. 그래서 신경 안 쓰고 살았는데, 이번에 회고록이 나왔다고 합니다. 어찌어찌 알았는지 출판사에서는 베스트셀러 작가인 (죄송합니다) 제게 서평을 부탁하더라고요. 원고료라도 많이 주면 잘 써보겠지만 책만 주고 돈은 안 줍니다? 그래서 속으로 '이거 잘 걸렸다. 금수저 디스나 해야지' 생각하며 책을 읽어나갔습니다.
서두가 장황했으니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책을 읽어보니 제가 크게 착각하고 있었습니다.
1. 금수저인데 무언가에 미친 Nerd로 집중하고 노력하며 살았던 삶
13살 때부터 컴퓨터에 미쳐서 외박을 밥 먹듯 하며 부모님 속을 썩이며 다른 모든 것을 안 하는 삶을 살았더군요. 제13살 때를 돌이켜 보면 엄청난 차이가 있었습니다. 저는 컴퓨터로 게임하는 걸 좋아했는데 빌 게이츠는 프로그래밍 자체에 빠져있었습니다. 어릴 때부터 컴퓨터 옆에서 먹고 자면서 주 80시간 이상 개발만 했더군요.
당시에도 금수저들은 많았을 텐데 빌게이츠 같은 사람은 별로 없었던 것을 보면, 본인의 적성과 노력이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습니다.
2. 타고난 두뇌, 수학에 대한 열정.
금수저인데 머리까지 좋습니다. 하버드, 프린스턴, 예일 등을 다 합격하고 하버드를 갑니다. 거기에 수학은 SAT 만점입니다. 숫자에 대한 감각은 사업할 때도 큰 도움이 되었다고 책에서 고백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금수저라서 되는 건 아니죠.
3. 세상의 변화를 읽는 감각, 자신의 길에 대한 확신
인공지능이 세상을 뒤흔드는 지금 보면 컴퓨터가 세상을 바꾸는 것은 요즘말로 레알트루팩트죠. 참으로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그 당시, 그러니까 70년대 초반에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은 분명 쉽지 않았을 겁니다. 빌 게이츠 또한 하버드를 나와서 좋은 일자리를 잡고 평생을 안락하게 살 수 있었을 겁니다.
그러나 그는 회고록에서도 '그때 확신이 있었다'라고 말합니다. 세상은 바뀔 것이고, 자기가 가고 있는 길이 옳다는 확신입니다. 그래서 하버드를 휴학하고 졸업도 하지 않고 회사에 올인합니다.
결론을 다 아는 우리지만, 저 당시로 돌아가면 우리는 저렇게 할 수 있을까요? 못하는 사람이 절대다수일 겁니다.
책의 두께가 어마어마해서(거의 500페이지) 처음에는 서평을 써야 하나.. 이거 다 읽을 수나 있을까 생각했습니다. 실제로 책 초반 어린 시절 이야기는 재미없습니다. 놓을까 했는데 고등학교 가서 코딩을 접하는 부분부터 아주 흥미롭습니다. 대학교에서 창업 후 스티브잡스와 만나는 장면은 무슨 영웅신화 같기도 하고요.
그래서 이 책을 추천하느냐.. 네 추천합니다. 먼저 4050 이상이시고 그 시절 컴퓨터를 기억하신다면 (애플 II 시절) 아주 재미있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인공지능 시대를 살고 있는 모든 분들에게도 추천합니다. 책에서 다루는 시대와 지금 시대가 놀랍게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이 세상을 어떻게 바꿀지 모르는 시대라는 공통점입니다.
소스코드는 빌게이츠 자서전 3부작의 첫 번째 책이라고 합니다. 개인적으로 다음 편이 훨씬 기대가 되는데요. 나오기 전에 한 번씩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