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oanne Kim Apr 11. 2019

'집밥'의 판타지

어느덧 ‘집밥’이라는 것은 산티아고 순례길 못지 않는 판타지가 되었다


혼자 살던 사회 초년 시절, 어쩌다 마음이 축난 날에는 퇴근 후 ‘요리’를 했다. 평소 즐기는 것도 딱히 잘 하는 것도 아니지만, 기다리는 사람도 없겠다 한 시간이든 두 시간이든 또각또각 칼질을 하고 무엇이든 만들어 상을 차려놓고 나면 먹지 않아도 배가 불렀다. 밤 11시가 다 되어 먹는 집밥이 저녁 9시에 사 먹는 국밥보다 몸에 좋을리 만무한데, 괜히 더 건강해지는듯한 착각마저 들었다. 후에야 알았는데 의사들이 우울증을 극복하는 방법 중 하나로 추천하는 것이 바로 요리라고 했다. 작더라도 무언가를 만들고 성취하는 과정과 스스로를 대접하는 방법.  


바빠진 지금은 그마저도 쉽지 않다. 물리적인 시간도 없거니와 그럴만한 에너지도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뭣보다 어쩌다 한 번 요리를 하는 2인 가족이 감당하기에는 식재료 값이 만만치가 않다. 실제 쓰는 분보다 기한이 지나 버리는 분이 더 많은 것은 물론이고 때맞춰 음식물 쓰레기를 가져다 버리는 일조차 사실은 큰 부담이다. 흰 쌀밥에 찌개, 밑반찬 서너개 정도가 올라간 밥상을 차리기 위해 드는 시간적, 금전적 비용에 비해, 퇴근 길 집 앞에서 사 먹는 국밥 한 그릇은 너무나 간편하다. 그래도 뭔가 집에서 먹는 밥이 그리운 날엔 가정대체식(HMR, Home Meal Replacement)으로 대리만족을 한다. 즉석밥을 데우고 반조리 찌개를 끓여, 사거나 얻어온 반찬 몇 가지만 꺼내면 여느 집밥 부럽지 않은 한 상 차림이 완성된다.


tvN 예능 '스페인하숙'의 한상차림


요즘 밥을 먹을 땐 예능 ‘스페인 하숙’을 즐겨 본다. 비록 나는 지금 반조리 식품으로 가득한 밥상을 꾸덕꾸덕 씹고 있지만 영상 속에서나마 갓 지은 밥과 보글보글 끓는 찌개를 보며 자위한다. 3분만에 만든 내 밥상 위의 동그랑땡이 현실이라면, 소고기와 돼지고기를 다져 만든 영상 속의 동그랑땡은 허구에 가깝다. 어느덧 ‘집밥’이라는 것은 산티아고 순례길 못지 않는 판타지가 되었다. 그래서일까. ‘쿡방’이 대세인데 요리 인구는 늘지 않고, 아이러니하게도 가정대체식 시장 규모만 역대 최고이다.  


물론 편리하고 어떻게 보면 직접 만든 것보다 맛도 더 낫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워지지 않는 이 허기는, 단순히 주린 배를 채우는 것과는 별개의 일일 것이다. 임순례 감독의 영화 ‘리틀포레스트’를 보면 왜 고향으로 돌아왔냐는 친구의 물음에 주인공 혜원(김태리)은 이렇게 답한다. “나 배고파서 내려왔어.” 아르바이트를 하며 임용고시를 준비하던 서울에서의 나날들. 편의점의 인스턴트 도시락은 그녀의 주린 배는 채울지언정 허기를 채우진 못 했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한 장면

바쁜 일상에 치여 간편식으로 끼니를 때우고, 공기청정기에 의지해 잠을 청한다. 좁은 공간에서 돈을 내고 땀을 흘리고, 생각일랑은 정리할 새도 없이 내일의 쳇바퀴로 갈아탄다. 행복의 근원은 단순하지만 그 실천은 어려워서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는 일종의 판타지와 다름 없어 보인다. 다음 휴가는 (어느 예능에서처럼) 어디 공기 좋은 데 가서 하루 세 끼 밥이나 지어 먹으며 보내고 싶다. 어쩌면 비행기를 타고 해외로 떠나는 일보다 더 어려울 지도 모르겠다. 잘 먹고 잘 자는 일, 참 쉽지 않다.




*2019.04.08자 동아일보 게재

http://news.donga.com/List/Series_70040100000163/3/70040100000163/20190409/94957250/1


매거진의 이전글 히말라야에서 만난 '태초의 행복'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