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OpenEnded Mar 31. 2022

당신의 음주 습관, 부하직원은 어떻게 생각할까?

좋은 리더가 되고 싶으면 음주와 회식문화 먼저 바꾸세요.

Based on “The effects of mentor alcohol use norms on mentorship quality: The moderating role of protégé traditionality” by Ho Kwong Kwan, Haixiao Chen, Zhonghui Hu, and Jinsong Li (2021)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pp. 349-362.

 

직장 내 회식이나 비즈니스 모임에서 술을 마시는 것은 비단 우리나라뿐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흔한 일이다. 미국 등 서구권 국가의 회사들도 직원들 간의 음주가 네트워킹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믿기 때문에 굳이 직원들 간의 파티나 회식을 막지는 않는다. 심지어 고객과의 관계가 중요한 관리직이나 전문직 종사자들에게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잡기 위해 회사 차원에서 고객들과 술을 마시는 자리에 참석하도록 권장하기도 한다. 음주가 끈끈한 인간관계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식이나 비즈니스를 위한 음주에 좋은 점만 있을까? 지난여름 코로나19 방역지침으로 인해 회식자리가 없어져서 MZ세대 직원들이 반긴다는 기사가 나오기 무섭게, 최근 위드코로나 이후 ‘보복 회식’이나 ‘보복 음주’로 인해 직장인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는 기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회식문화 개선이 새로운 트렌드가 된 지 오래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직장 내 음주에 대해 직급이나 세대별로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개인의 음주 습관은 회사가 통제할 수 없는 지극히 사적인 선택 영역이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와 사례들은 개인의 음주 습관이 개인의 건강과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회사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과음이 잦은 결근은 물론이고 비윤리적인 의사결정과도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들과, 회식 중이나 술자리 이후 일어난 사고의 산업재해 인정 등이 그 예이다.


우리나라와 비슷한 음주와 회식 문화를 가지고 있는 중국의 연구팀은 이와 유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서 상사의 음주 습관이 상사와 부하직원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했다. 이를 위해 신입 직원의 적응과 교육을 위해 자주 사용되는 멘토링 (Mentoring) 상황에서, 리더이자 지도 역할을 맡은 '멘토 (Mentor)'의 음주 습관이, 지도와 조언을 받는 '멘티 (Mentee)'와 멘토링의 성공 여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제 기업에서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석하고 있는 210쌍의 멘토-멘티들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또한 멘티가 유교문화적인 특성, 즉 ‘상사는 부하직원과 확실한 위계가 있다’는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을 때 멘토의 음주 습관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팀은 멘토의 음주 습관이 멘토링 관계와 효과성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 냈다. 그 구체적인 맥락은 다음과 같다. 먼저 멘토의 음주 습관은 멘티가 멘토를 자신과 동일시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멘토링 관계에서 멘티가 멘토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멘토는 멘티의 회사 생활은 물론이고 회사 밖의 일상생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이다. 만약 멘티가 멘토를 닮고 싶은 사람, 즉 자신의 롤 모델로 인식할 때 두 사람의 관계는 성공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멘티는 멘토가 가지고 있는 현재 모습을 통해 자신의 미래를 그려보게 된다. 이때 멘토가 술자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멘티는 음주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이미지와 술자리를 통한 위계 관계의 경험으로 인해 멘토를 자신의 롤 모델이나 미래상으로 여기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멘토링 관계를 만들기가 어려울 것이고 이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질을 떨어뜨린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의 회식 자리와 음주는 다른 사람, 특히 윗사람에 대한 ‘존중’을 나타내기 때문에 윗사람인 멘토가 권하는 술을 거부할 수 있는 멘티는 많지 않을 것이고, 이는 멘티에게 멘토의 음주 습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상하관계를 중요시하는 유교문화를 고려하여 만약 부하직원, 즉 멘티가 이러한 위계질서에 크게 영향을 받는 사람이라면 멘토와의 관계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예상대로 문화적 전통을 중시하는 멘티들은 멘토의 음주 습관에 대해 관대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그들에게 있어 멘토의 음주 습관은 멘토링 관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바꿔 말하면 이는 위계질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부하직원들은 상사의 음주 습관과 술자리를 더 싫어할 것이고 결국 멘토링의 실패를 가져올 것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과거의 멘토링 관련 연구들은 주로 멘토-멘티를 어떻게 매칭 하는 것이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주로 다뤄왔다. 예를 들어, 비슷한 성격이나 성별의 조합이 더 좋은 멘토링 관계를 만든다는 연구들이다. 하지만 이 연구는 멘토의 특정 행동규범, 즉 음주 습관이 멘토링의 효과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했다. 어떻게 멘토-멘티를 매칭 시킬 것인가 뿐만 아니라 어떤 멘토를 선발해야 하는지, 그리고 멘토로서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에 대한 세부 지침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 따르면 적어도 멘티와의 잦은 음주는 두 사람의 관계를 좋지 않게 만들 뿐 아니라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회사들은 타 부서 사람을 멘토-멘티로 연결시켜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둘 사이의 더 친밀한 관계를 위해 회식비가 제공되고 이는 음주로 연결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주체인 HR은 멘토링의 효과를 저해하는 즉, 음주를 장려하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다시금 고민해 봐야 한다.


무엇보다도 이 연구는 음주가 회사 내에서 상사와 부하직원 간에 더 좋은 인간관계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까라는 논란이 많은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음주로 인한 다양한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직장 생활에서 더 나은 조직생활을 위해 회식과 음주는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고 믿고 있다. 그리고 이는 부하직원들보다는 상사들에게 더 해당하는 것 같다. MZ세대라는 단어의 유행은 그들이 기존 세대와는 다르다는 것을 전제한다. 물론 개인차는 있지만 회식 문화에 대한 MZ세대 직원들의 부정적인 태도는 더 나은 조직생활을 위해 회식과 음주가 필수 불가결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부하직원인 멘티의 음주 습관과 선호를 측정하지 않았다는 큰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굳이 이 연구결과를 근거로 삼지 않더라도, 적어도 모든 직원들이 음주가 직장생활에서 당연시되어야만 할 중요한 것이라고 믿지 않는 한 우리나라의 회식과 음주 문화는 더 크게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제가 동아비즈니스리뷰 335 - 2021년 12월 Issue 2에 기고한 ‘당신의 음주 습관, 부하직원은 어떻게 생각할까’의 내용을 발췌해서 일부 수정한 글입니다. 해당 내용은 2022년 1월 5일 자 동아일보에 ‘회식 좋아하는 멘토… 멘티가 롤모델로 삼을 가능성 줄어들어’라는 제목의 칼럼으로 실렸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자기애가 강한 사람이 리더가 된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