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노하우(know-how)와 노왓(know-what)

 노하우(know-how)와 노왓(know-what)


고두현 논설위원  “앞으로는 ‘어떻게’ 풀어야 할지에 대한 ‘노하우(know-how)’도 중요하지만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에 대한 ‘노왓(know-what)’이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장순흥 한동대 총장이 최근 ‘글로벌 인재포럼 2018’ 자문회의에서 강조한 말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려면 업(業)의 본질을 꿰뚫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이 1980년대 반도체산업에 뛰어들 때만 해도 선진국을 따라잡는 노하우에 주력했다. 그때는 문제를 어떻게 푸느냐에  집중했다. 이제는 문제의 근본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는 때가 됐다. ‘2+3=?’ 같은 ‘닫힌 문제’는 ‘5’라는 답을 찾으면  되지만 ‘?+?=5’ 같은 ‘열린 문제’는 새로운 관점으로 풀어야 한다. 

노하우가  과거형 정보와 지식의 평면결합이라고 한다면, 노왓은 미래형 지혜와 성찰의 입체융합이라고 할 수 있다. 경영 현장에서도 주어진  역할만 해내는 사람은 단순한 ‘관리자’이고 앞으로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움직이는 인재는 ‘리더’다.  

  [천자 칼럼] 다우존스와 S&P500지수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아는 인재는 그것을 ‘왜’ 해야 하는지도 금방 안다. 《축적의 길》을 쓴 이정동 서울대 교수는 이를  ‘실행’과 ‘개념설계’의 차이로 설명한다. 어떤 일을 어떻게 하느냐 하는 실행에서는 노하우가 중요하지만 무엇을 왜 해야 하느냐  하는 개념설계에서는 노와이(know-why)가 중요하다고 한다.

그에 따르면 노하우는 ‘선택과 집중’ 같은 효율성의  영역이고, 노와이는 독창적인 차별성의 영역이다. 산업화에 뒤진 중국은 이미 실행역량에서 우리 턱밑을 파고들고 있다. 엄청난 인구를  무기로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치면서 일부 개념설계에선 앞서가기 시작했다. 

인류는  지금까지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속도의 변화를 맞고 있다. 기술발전에 따른 미래의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다. 정치·경제·사회 등  전방위적인 변화의 물결을 단순한 산업의 변화로 인식해서는 뒤처지기 쉽다. 그래서 교육혁신과 인재양성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근본적인 사고혁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4차 산업혁명보다 4차 문명혁명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는 김용학 연세대 총장의  지적도 새겨들을 만하다.
여기에다 노웬(know-when·때), 노웨어(know-where·장소), 노후(know-who·사람)까지 아우른다면 더없이 좋은 ‘인생 6하 원칙’이 아닐까 싶다.

고두현 논설위원 kdh@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062255051      

기억의 반대말은 무엇일까?

망각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망각이 아니다.

기억의 반대말은 상상이다.
기억은 과거의 길을 되돌아보는 것이다.

가보지 않은 길을 가는 것은 상상이다.

그래서 기억의 반대말은 망각이 아닌 상상이다.


미래는 기억하는 자가 아닌 상상하는 자의 것이다.
이스라엘 페르세 전 대통령 (노벨 평화상 수상자)이 한 말이다.


선진국은 어떤 곳이 선진국일까?

단순히 잘 사는 곳일까?

아니면 세계를 이끌어 나가는 것일까?

세계를 이끌어 나가는 것이다.

그렇다면 세계를 어떻게 이끌어 나갈까?

천박한 자본주의로 이끌어 나갈까?

그렇지 않다.

상상으로 미래를 창조하면서 이끌어 나간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남의 것을 베끼는 노하우로 여기까지 커 왓다.

요즘에 중국이 우리나라 것을 베끼고 미국것을 베껴서 우리나라의 턱 밑까지 쫓아왔다.

그런 중국이 한국은 이길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미국은 이기기 힘들 것이다.

왜냐하면 창조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세계를 선도한 창조물을 현재의 미국처럼 많이 만들어내지 못하지 않았는가?

일본보다도 못하다.

지금 세계에서 쓰고 있는 모든 제조물은 미국을 비롯한 서양이 만들었다.

그것을 더 발전시키는 것은 후진국이 하지만 선진국이 되려면 넘사벽이 존재한다.

창조할 수 있는 것 말이다.


그렇다면 미국은 어떻게 창조의 대국이 되었는가?

미국은 고등학교 때 PISA의 성적이 그렇게 바닥인데 말이다.

혹자는 어렸을 때부터 기본에 충실한 수학교육을 해서 그렇다고 하는데 그것 다 쌩 거짓말이다.

다 외국에서 온 이민자 때문이다.

이것은 직업의 지리학에 나오는 내용이다.

이민자들 특히 난민이 아닌 자발적으로 온 천재들에 의해 창조적인 기업이 탄생햇다.


스티브잡스의 애플, 일론머스크의 테슬라, 저커버그의 페이스북, 세르게이브린의 구글 등 말이다.

이민자를 그렇다면 받는다고 받아질까?

그렇지 않다.

가고 싶어 미치도록 좋은 나라가 되어야 이민자들이 제발로 걸어올 것이다.

그것이 현재는 미국인 것이다.


한국이 노력하지만 노력한다고 되는 것은 일본정도의 모델이다.

그것을 뛰어넘으려면 한국의 모델이 있어야 한다.


처음에 도입한 말의 주인공이 누구인가?

이스라엘 대통령이다.


이러한 생각을 사람들이 모여야 창조적인 리더가 된다.


창조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내지 못하는 나라에는 투자할 필요가 없다.

궁극적으로 본다면 말이다.

궁극적이란 끝까지 간다면이다.

그렇지 않고 그냥 국민소득이 높아지며 자연스레 증가하는 그러한 기업들은 예외이다.

그렇지만 궁극적인 기업은 아마도 현재는 미국이 유일하지 않은가 생각한다.

내가 어쩌다 미국빠가 되었는가?

정확히 미국을 동경하는 것은 아니다.

투자에 있어서 미국기업이 탁월하게 현재는 좋다는 뜻이다.

그래서 그 이유를 정확히 말하자면 안정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기업에는 미국만한 곳이 없기 때문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치맥에 빠진 밤샘 응원… 위장장애 일으키는 '야식 증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