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독야청청' 美도 불안…4분기 GDP 증가율 꺾일 수

'독야청청' 美도 불안…4분기 GDP 증가율 꺾일 수도


경고등 켜진 글로벌 경기 진단

 힘 실리는 美경제 정점론

'나홀로 호황' 이어가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 둔화가 발목
高금리에 주택시장 냉각


  



글로벌 경기 불안 속에 ‘나홀로 호황’을 이어온 미국 경제마저 이상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13일 뉴욕증시에서 주가가 급락하자 한 트레이더가 얼굴을 감싸쥐고 있다.  /한경DB


미국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는 지난 15일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4분기 실적  전망도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주가는 급락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투자자들이 글로벌 성장 둔화와 고금리로 인해 향후  경기를 우려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 미국 경제가 글로벌 경기 불안 속에서도 호황을 이어가고 있지만, 머지않아 미국마저  성장세가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시장에 퍼지고 있는 것이다.

2009년 시작된 미국의 경기 확장세는 10년차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지난 10월 고용지표만 봐도 △실업률 3.7% △신규 일자리 25만 개 증가 △시간당 임금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 등 탄탄한 흐름을 보여줬다. 고용 호조로 가계 소득이  늘어나자 소비지출도 8월 0.4%(전월 대비), 9월 0.3%, 10월 0.8% 등 증가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이 지난 14일 “미국 경제가 매우 좋으며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고 밝힌 이유다.

  



그러나 향후 전망에 대해선 우려가 상당하다. 경기가 조만간 정점을 찍고 내려갈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부정적 여파가 가시화하고 있는 데다 Fed의 금리 인상에 따른 고금리도 주택시장 등을 냉각시키고 있다. 최근엔  중국과 유럽, 일본 등의 경기가 줄줄이 둔화되며 미국 경제를 끌어내릴 것이라는 분석까지 나온다.


올해 호황을 이끈 공신 중 하나는 기업의 설비투자였다. 올 1월 감세 시작과 함께 기업들은 투자를 늘렸다. 1분기 설비투자 증가율은 8.5%에 달했고 2분기에도 4.6% 증가했다.

하지만  3분기 증가율은 0.4%로 뚝 꺾였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3분기부터 수입품에 본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자 기업들이 투자를  보류하거나 줄인 것으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무역정책에 따른 영향은 아직 커 보이지는 않는다”면서도 “관세 부과 상품이  많아지면 성장세가 둔화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中이 긴 목록 보내…아직 큰 것 빠졌다"  





고금리의 부정적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 모기지 금리가 연 5%를 넘으면서 9월 기존주택 및 신규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각각  3.4%, 5.5% 감소했다. 기존주택의 가격 상승률은 8월 4.9%(전년 동월 대비)에서 9월 4.2%로 떨어졌고, 신규주택  가격은 8월 1.6% 상승에서 9월엔 아예 3.5% 내림세로 돌아섰다.


3분기 들어선 세계 각국의 경기가 주춤하고 있다. 일본과 독일은 전분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였고 중국은 2009년 금융위기 때 이후 최저인 6.5% 성장(전년 동기 대비)에 그쳤다.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연방은행 총재는 16일 “글로벌 성장세가 역풍이 될 것이며 미국에도 파급될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는 내수  의존도가 높다. 하지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기업은 매출의 40%를 해외시장에서 거둔다. 이에 따라 해외  의존도가 큰 기업부터 주가가 꺾이고 있다.

미국 GDP  증가율은 2분기 4.2%(전기 대비 연율)에서 3분기 3.5%로 소폭 둔화했다. 여전히 잠재성장률(2%대 후반으로 추정)보다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4분기엔 2%대 중반으로 떨어질 전망이다. 뉴욕연방은행의 경제예측모델 나우캐스트는 16일 4분기 성장률을  2.59%로 예측했다.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15일 “미국의 성장률 둔화는 거의 확실하다”며 “침체 위험은 향후 2년간 거의 50%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Fed 내에서도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 리처드 클라리다 Fed 부의장은 16일 “기준금리가 중립금리에 근접했으며 금리 인상 시 경제 데이터를 더 많이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뉴욕=김현석 특파원 

realist@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1874771



미국은 현재 호황이다.

그런데 호황이 금리인상과 설비투자 감소로 불황으로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일단 현재의 미국상황을 보자.

미국이 금리를 올렸다.

그래서 미국의 달러가 강해졌다.

왜냐하면 미국이 금리를 올리니 안전한 미국의 채권 수익률이 좋아졌다.

무위험의 수익이 증가하니 해외에서 주식투자할 필요없고 앞으로 미국의 달러가 더 강해진다고 보고 달러가 미국으로 들어간 결과다.


그리고 트럼프는 중국의 제품에 관세를 때렸다.

관세를 때리니 중국의 제품 값이 올라가 인플레이션이 되었다.


원래 인플레이션이 되면 소비가 줄어든다.

왜냐하면 수입물품이 갑자기 100달러에서 200달러로 된다면 일정한 월급을 받는 월급쟁이는 빠듯한 살림에 더 사고 싶은 마음이 들까?                 

아니다.

그래서 인플레이션은 기업의 주가에 안 좋은 영향을 준다.

사람들이 소비심리가 나빠져서 물건을 안 사고 그래서 물건이 안 팔리니 기업은 수익이 안 좋아지고 그로인해 감원을 해야 하고 감원을 하니 실업자가 더 늘어나 소비심리가 더 나빠지는 것이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된 제품 즉 물가상승한 제품이 이상하게 안 비싸다.

왜냐하면 미국의 달러가 강해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똔똔이다.

왜 미국의 달러가 강해졌나?

FED가 미국의 경기가 좋다고 판단해서 금리를 올렸기 때문이다.

그러니 인플레이션을 방어 하는 것이 FED의 역할이고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를 상승 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수입물품에 관세를 때리니 기업의 입장에서는 사오는 물건이 비싸니 더 비싸게 만들 수밖에 없어서 사람들이 앞으로는 더 안살까 두려워 설비투자를 줄였다.

그래서 미국의 기업이 설비투자를 줄였다는 얘기다.


하지만  3분기 증가율은 0.4%로 뚝 꺾였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3분기부터 수입품에 본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자 기업들이 투자를  보류하거나 줄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나 중국에서 수입하는 물건이 더 많을수록 더 어려워진다는 얘기다.


미국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는 지난 15일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4분기 실적 전망도 상향 조정했다. 하지만 주가는 급락했다. 


즉 월마트의 상품은 중국에서 수입한 상품이 많아 월마트의 이익이 줄어들 것이라는 판단에 투자자들이 주식을 뺐다는 얘기다.

아마도 아마존도 그에 대한 영향이 있을 것이다.


고금리의 부정적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 모기지 금리가 연 5%를 넘으면서 9월 기존주택 및 신규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각각  3.4%, 5.5% 감소했다. 기존주택의 가격 상승률은 8월 4.9%(전년 동월 대비)에서 9월 4.2%로 떨어졌고, 신규주택  가격은 8월 1.6% 상승에서 9월엔 아예 3.5% 내림세로 돌아섰다.


이와함께 금리가 올라가니 주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낼 이자가 두려워 집 구매를 줄였고 그로인해 기존주택마저도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가?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은 15일 “미국의 성장률 둔화는 거의 확실하다”며 “침체 위험은 향후 2년간 거의 50%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이 사람 뭐라 하는가?

침체 위험은 2년간 50%라고 한다.

2년 후면 이 사람 인터뷰를 기억할 사람도 없을 뿐더러 50%는 내일 비올확률이 50%라는 얘기와 같다.

우산을 준비 하라는 얘기냐? 아니면 그냥 나가라는 얘기냐?

내가 보기엔 잘 모르는 것 같다.


우리는 대응하면 된다.

일단 1등 주식과 어닝 서프라이즈 주식을 가지고 가되 -3% 룰을 지키면 된다.


나스닥 지수 -3% 하락시 1등 이외의 그외주식 전량 매도 , 개별 주식도 -3% 뜨면 전량 매도

1등은 공황이 오면 모를까 무조건 가지고 간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中, 소비·투자 위축에 부동산까지 '휘청'…"금융위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