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이미지 세탁' 나선 사우디 왕세자…아시아 '오일 머

'이미지 세탁' 나선 사우디 왕세자…아시아 '오일 머니' 순방


'중국 빚쟁이' 파키스탄에 선심 쓰듯 200억달러 투자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왼쪽)가  17일(현지시간)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오른쪽에서 두 번째)와 만나고 있다. 칸 총리는 “사우디는 필요할 때 도움을 주는 친구”라며 빈살만 왕세자를 추어올렸다.  /EPA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 실세인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가 인도, 중국, 파키스탄 등 아시아권 국가 순방에 나섰다. 두둑한 오일  머니로 아시아 국가들의 환심을 얻어 외교적 고립에서 벗어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빈살만 왕세자는 지난해 10월 벌어진 반정부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 배후로 지목돼 국제적으로 비난받고 있다.



사우디 국영 SPA통신 등에 따르면 빈살만 왕세자는 17일(현지시간) 파키스탄 수도 이슬라마바드에서 파키스탄 정부 관계자들과 만났다.  그는 이 자리에서 파키스탄의 정유·액화천연가스(LNG) 설비 건설,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등에 돈을 대기로 하는 총 200억달러(약  22조5000억원) 규모의 투자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또 파키스탄에 60억달러 규모의 차관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빈살만 왕세자를 영접하기 위해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가 공항까지 나왔고, 왕세자가 탄 차량을 직접 운전하기도 했다. 파키스탄은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을 위해 인프라에 대규모로 투자하면서 400억달러(약 45조2000억원)의 빚을 진 탓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빈살만 왕세자는 이어 인도를 방문할 예정이다.  파키스탄과 인도는 카슈미르 접경지역에서 무력 충돌이 벌어지는 앙숙 관계다. 외교적으로 중요한 인물이 두 나라를 잇달아 방문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인도는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분야에서 사우디와 협력할 필요가 있고, 도로와 빌딩 건설을 위한 인도  국영투자인프라펀드(NIIF)에 사우디가 투자하기를 바라고 있다.




인도 다음은 중국이다. 중국은 사우디 원유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나라 중 하나다. AFP통신은 “왕세자가 우방이 있다는 점을 서방에 과시하려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http://news.hankyung.com/article/2019021818201




사우디 아라비아는 수니파의 종주국이다.

이와 대립되는 곳이 바로 이란이다.

이란은 시아파의 종주국이다.

그래서 대립한다.

예전에는 시아파의 종주국이 이라크였는데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이 2000년대 초에 제거 된 후에 지금은 사우디가 그 바통을 이어 받았다.

사우디는 이란이 핵을 가지는 것을 두려워 한다.

그래서 사우디는 이번 기회에 핵을 가지려 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참여하려고 하는 사우디의 핵발전소가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미국의 원자력법 123조 완화를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바로 핵 사용후 재처리 시설을 이용하여 핵무기를 만들 수도 있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왜 사우디는 핵무기를 만들려고 할까?

미국이 이란과의 핵협상에서 탈퇴를 하고 이란이 핵무기라도 만들면 사우디는 핵 위협에 노출되기 때문이다.

즉 사우디는 핵발전소가 에너지를 위한 시설이 아니라는 얘기다.

사우디가 그렇게 태양이 넘치는 사막 한 가운데 사는데 하필이면 원자력 발전소를 짓느냐? 에 대한 의문을 가져야 한다.


그런데 이번에 빈살만 왕세자가 가는 나라가 심상치 않다.

파키스탄을 가고 인도를 가고 마지막으로 중국을 간다.


즉 미국이 허락 안 해주면 파키스탄에서 핵무기를 들여오거나 핵발전소 기술을 들여오고 그것도 안 되면 인도 마지막으로 중국까지 손을 뻗치고 있는 중이다.


이러다 죽을 수 있다는 것을 빈살만은 모르나?

핵을 가지면 핵도미노에 이스라엘도 가만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독재국가의 독재자는 없앨 수 있다.

그러나 민주국가의 선출된 권력은 없앨 수 없다.

왜냐하면 독재국가의 독재자는 권력을 혼자 갖기 때문에 권력자가 없어지면 반발하는 자들이 없다.

그러나 민주국가의 권력은 위임된 권력이기에 권력자가 없어져도 실제 권력자인 국민이 가만 있지 않는다.


그래서 사우디의 빈살만은 제거해도 이란의 하산 로하니는 제거하기 힘든 것이다.


 JD 부자연구소
소장 조던
http://cafe.daum.net/jordan777  

매거진의 이전글 美 증시 '팡' 터졌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