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단기간 어학연수, 어디로 가는게 좋을까?


"우리 아이가 8월에 보딩 스쿨로 떠납니다. 영어라고는 한국 학원에서 배운 것 밖에 없는 데 영어가 걱정입니다. 현재 중학교를 중퇴한 상태라서 시간이 많이 남습니다. 누구는 한국의 토플 학원에 다니라고 하고, 누구는 어학 연수를 떠나라고 하는 데 어느 것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만일 2-3달 동안 어학연수를 떠난 다면 어느나라로 가는 것이 좋을까요?"



이 학생은 보딩스쿨에 가는 한국 토종학생이다. 국내 국제학교나 일반고를 졸업하고 미국 대학으로 진학하는 학생들의 경우도 이런 질문을 하는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꽤 있다. 


영어는 등산에서 신발과 같다. 신발을 신지 않으면 등산을 할 수 없다. 외국 유학을 가는 학생이 영어 실력이 부족하면 학업을 따라가기 힘들다. 따라서 무엇보다 해외 유학을 생각하거나 떠나는 학생들은 영어 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외국인이 하나의 다른 언어를 배울 때 '2000시간의 법칙'이라는게 있다. 한국인들이 초등학교에서 대학교 졸업할 때까지 그 긴시간 동안 영어를 배웠으면서도 외국인을 만나면 피하는 것이 바로 영어를 배운 총 시간이 2000시간에 미달되어 영어가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영어 배우기 2000시간의 법칙"은 영어 학습에 필요한 시간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이다. 이 법칙에 따르면, 영어를 모국어 수준으로 습득하는 데 약 2000시간의 학습 시간이 필요하다고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학습 시간의 정의:


  - 2000시간은 집중적이고 효과적인 학습 시간을 의미한다.


 - 단순히 영어에 노출되는 것 이상으로, 능동적인 학습 과정이 필요하다.



개인차의 고려:


 - 2000시간은 평균적인 학습자를 기준으로 한 가이드라인이다.


 - 개인의 학습 속도, 능력, 환경 등에 따라 필요한 시간은 달라질 수 있다.



학습 방법의 중요성:


 - 2000시간을 채우는 것 못지않게 학습의 질이 중요하다.


 - 효과적인 학습 전략, 학습 자료, 피드백 등이 필요하다.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


 - 영어 학습은 장기적인 과정이다.


 - 2000시간을 한 번에 채우는 것이 아니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



실제 사용 경험의 중요성:


 - 2000시간의 학습과 더불어 실제 영어 사용 경험이 필수적이다.


 - 다양한 상황에서 영어를 사용하며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2000시간의 법칙은 영어 학습에 필요한 노력과 투자를 강조하는 개념이다. 다만, 이는 절대적인 기준이라기보다는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목표 설정에 도움을 주는 가이드라인으로 이해해야 한다. 개인의 상황에 맞는 학습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영어 습득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단기간 집중적으로 영어를 공부할 수 있는 어학연수를 떠나는 것이 좋다.


어느 나라로 가야할까? 당연히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나라로 가는 것이 좋다.



그 대상 국가로는 미국, 캐나다, 영국, 뉴질랜드, 호주, 필리핀 등 여러 나라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에 더불어 비용과 프로그램의 질 등을 고려해야한다.  미래교육연구소 산하 어학연수 팀은 고객들의 맞춤형 어학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어학 연수를 계획하고 있는 분에게 미래교육연구소 어학연수팀은 좋은 네비게이터가 될 것이다. <미래교육연구소 어학 연수팀>








매거진의 이전글 11학년, 미국 대학 입시 어떻게 준비하고 있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