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준우 May 28. 2021

와인, 묵혀두고 마시면 더 좋을까

<장준우의 푸드 오디세이>



종종 딜레마에 빠진다. 더이상 시중에서 구하기 어려운 마지막 남은 한 병의 와인을 팔 것인가, 아니면 보관해 두고 언젠가 내가 마실 것인가. 보통 이런 와인들은 한번에 수만 병씩 만들어 내는 대형 와이너리의 와인이 아니라 수천 병 내외를 생산하는 소규모 생산자의 와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와인은 보관해 둘 만한 가치가 있는 걸까. 더 나아가 와인을 바로 마시지 않고 보관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


와인에 딱히 흥미가 없다 해도 와인을 오래 묵혀 두고 먹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한 번쯤은 들어 봤을 것이다. 만든 지 100여년 지난 와인을 오래된 창고나 난파된 배에서 발견하고 들뜬 마음에 코르크를 따 마셔 보았는데 식초가 되어 있었다는 건 해묵은 구전동화다. 


요즘 나오는 와인은 어지간해선 식초가 되는 법은 없다. 그러니 무조건 오래 둔다고 와인의 맛이 반드시 좋아지리란 법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체 와인은 왜 묵히거나 장기간 보관해 두고 마신다는 개념이 생겨났을까. 왜 맥주나 소주는 묵혀 두고 마신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을까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오크통에서 병으로 옮긴 이후부터 더이상 숙성이나 변질이 되지 않는 위스키와 달리 와인은 병 안에서도 변화를 겪는다. 코르크 마개로 꼭꼭 막아 액체가 새지는 않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미세한 공기가 코르크 입자 사이를 오가며 병 안에 담긴 와인과 계속 반응한다. 과학시간에 배웠던 산화 반응이다. 와인이 산화하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변화가 진행된다.


변화는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일 수도 있다. 대개 긍정의 상승곡선을 타고 올라가다가 서서히 내려가 부정의 끝에 도달한다고 이해하면 쉽다. 사람처럼 유년기를 거쳐 청년기를 지나 중년기를 맞고 장년기에 다다르는 셈이다.한 병의 와인엔 전성기가 존재한다. 향과 맛이 가장 강렬한 힘을 뽐낼 때다. 병을 열자마자 전성기를 맛보면 좋으련만 와인은 처음부터 전성기를 보여 주지 않는다. 


와인 잔에 와인을 따르자마자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도 쉴 새 없이 잔을 돌려본 적이 있는가. 잔을 돌릴수록 와인은 공기와 빠르게 만난다. 만약 금방 딴 와인에서 이렇다 할 향이나 맛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아직 전성기에 다다르지 않았다는 의미다. 잔 돌리기가 이럴 때 필요하다. 공기와 접촉시켜 전성기에 빠르게 이르게 하는 방법이다. 공기와 너무 접촉하면 전성기가 금세 지나버리니 계속 돌려 가며 마실 필요는 없다.



와인을 바로 열어 먹지 않고 보관해 둔다는 건 천천히 산화를 진행시켜 전성기가 자연스럽게 오기를 기다리겠다는 뜻이다. 아직 오지 않았지만 전성기에 다다르면 그 어떤 와인보다 강렬한 향과 맛을 보여 주는 와인을 흔히 ‘잠재력’ 있는 와인이라 한다. 꼭 들어맞진 않지만 고가의 와인일수록 전성기 때의 힘이 강렬하고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이쯤 되면 궁금증이 하나 생길 수 있다. 아직 열어 보지 않은 와인의 전성기는 어떻게 알 수 있는 걸까. 전문가의 의견도 있지만 제법 여유가 있는 와인 애호가들은 잠재력이 있다고 소문난 같은 와인을 여러 병 사두고 스스로 판단하는 행위를 즐긴다. 우선 한 병을 마셔 보고 전성기가 지금인지, 나중인지 나름 판단을 한 후 연 단위 시차를 두고 하나씩 맛보는 것이다. 하루이틀도 아니고 연 단위로 맛을 보면 과연 비교를 할 수 있을지 조금 의문이 들긴 하지만, ‘시음 적기’를 맞히는 건 꽤 흥미가 가는 일이다. 물론 아끼다 적기를 놓쳐버려 안타까울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가끔 자녀의 출생 같은 뜻깊은 해를 기념하기 위해 특정 연도의 와인을 구해 십수년 뒤에 따서 마시겠노라는 장면도 목격된다. 취지는 이해하지만 기왕 오래 묵혀 둔다면 일단 두 병을 사서 한 병은 꼭 미리 마셔 보자. 과연 십수년 지나도 전성기를 여전히 뽐낼 수 있는 와인일지 확인해 보자는 것이다. 오랫동안 기다린 와인의 맛이 전성기를 한참 지나 맹숭맹숭한 것보다는 마셨을 때 놀라움을 자아내게 하는 편이 더 낫지 않을까란 노파심에서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자면 와인을 보관해야 할까의 문제는 와인의 전성기를 기다릴 것인가, 아니면 열어서 억지로 전성기를 맞게 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인 셈이다. 단지 희귀하다는 점에서 와인을 보관해 둔다는 건 사실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와인은 셀러에 누워 있거나 진열장에 서 있을 때보다 좋은 사람들과 마셨을 때 그 즐거움이 크니 말이다. 마지막 남은 와인은 기꺼이 그 가치를 알아주는 이에게 드리리.






매거진의 이전글 레시피의 함정, 너무 믿지 마세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