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정식PM May 26. 2024

성공팔이

트렌드가 휙휙 바뀌는 것이 참 흥미롭다. 


작년까지만 해도 갓생, N잡러, 자기 계발, 동기부여, 경제적 자유 이런 콘텐츠들이 큰 인기를 끌었는데, 이제는 '성공팔이'라는 말로 조롱을 당하고 있으니 말이다.


성공하는 방법을 콘텐츠, 강의, 책으로 알려주며 수익을 얻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데 그 사람들의 성공 경험담이 가짜였다면? 부풀려진 것이었다면? 애초에 그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을 것이다. 설득력이 떨어지니까.


하지만 나는 이런 비난 릴레이와 조리돌림도
좀 과하다는 생각이다. 


저격은 잘못한 몇 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으쌰으쌰 열심히 살자고 응원하는 다른 선량한 크리에이터들에게까지 도매급으로 확대될 수 있어서다. 


뭔가 하나 어그로가 끌리면 순식간에 변하는 것이 요즘 여론 추세 같다. 아마도 이 배경에는 '자기 계발 콘텐츠에 대한 피로감'이 있었을 것이라 본다. 누구나 성공할 수 있다고 도전해 보라는 메시지가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런데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사람은 생계유지를 위해 누군가의 밑에서 성실한 노동자로 일하고 있을 터. 하루빨리 퇴사해서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 책, 강의로 돈 벌고 나처럼 경제적 자유를 누리라는 주장은 부럽지만 시도하기 힘든 일이다. 이런 마음이 모여서 '성공팔이' 들을 비난하고 있는 것 아닐까 생각해 봤다. 


'그러면 그렇지, 저 사람들 저럴 줄 알았어'
'성공팔이 사기꾼 말은 들으면 안 돼'


이렇게 생각해 버리고, 동기부여 콘텐츠를 멀리하면 그만일까? 아니면 뭐라도 얻어서 내 삶에 도움이 되는 것이 좋을까? 나는 후자에 한 표다. 내가 그에게 공감하고 내면화했던 '자의식 해체'가 바로 그것이니까. 요는, 잘못은 비난하되, 나에게 도움 되는 것은 취하는 태도가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것.


'성공팔이'라 해도 나에게 유익했다면 감사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비효율이 오답은 아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