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민용준 Mar 25. 2017

'히든 피겨스', 중력을 이긴 여자들

경쾌하고 씩씩하게 차별에 맞선 여자들에 관한 영화 <히든 피겨스>.


<히든 피겨스>는 오늘날 우리에게 익숙한 ‘컴퓨터’란 단어가 사람, 즉 전산원을 이르던 시대인 1960년대 미국의 나사(NASA)를 주된 배경으로 한 영화다.


영화의 제목이 의미하는 ‘숨겨진 인물들(hidden figures)’은 나사의 ‘유색인종 컴퓨팅 그룹(Colored Computing Group)’에 소속된 흑인 여성들인데 이 영화는 그들의 투쟁적인 일화를 담고 있다.


투쟁이라 하니 광장에 나가 구호라도 외친 것인가 싶겠지만 그들에게 광장이란 자신들이 앉아 있던 사무실이고, 투쟁이란 그 자리를 지키는 것이었다. 호흡하듯 자연스러웠던 차별을 감내하면서도 자신들이 ‘앞서나갈 기회가 생길 때마다 결승선을 옮기는’ 백인들을 상대하기 위해 끊임없이 전력 질주해야만 했기 때문이다.



<히든 피겨스>는 나사의 우주 탐사에 초석이 된 세 흑인 여성에 관한 실화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최초로 우주를 비행한 미국인 우주 비행사가 무사히 귀환할 수 있도록 공헌한 천재적인 여성 수학자 캐서린 존슨(타라지 P. 헨슨)과 나사에 도입한 최초의 컴퓨터인 IBM의 프로그래밍을 주도한 도로시 본(옥타비아 스펜서), 그리고 나사 최초의 여성 엔지니어가 된 메리 잭슨(자넬 모네)이 그들이다.


그들은 하나같이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었는데 흥미롭게도 그 ‘최초’란 수사가 유색인종으로서뿐만 아니라 여성으로서도 유효했다는 사실이다.


그런 면에서 <히든 피겨스>는 그 시절에 만연한 유색인종 차별만큼이나 팽배했던 여성 차별까지도 끌어안은 작품이다. 그리고 <히든 피겨스>는 이런 차별 앞에서 유연하고 당차게 대응하는 여성의 태도를 통해 저항의 쾌감을 끌어올린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자신과 피부색이 같은 흑인 남성에게 “나사에서 여성도 받아주는군요”라는 말을 들은 캐서린은 “내가 나사에서 일하게 된 건 치마를 입어서가 아니라 안경을 썼기 때문이죠”라고 응수한다. 그렇게 차별의 중력을 이겨낸 여성들의 당당함을 그린다.

물론 <히든 피겨스>가 묘사한 그 시대의 풍경이 항상 경쾌하고 당차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래서 <히든 피겨스>는 보다 탁월한 가치를 수확한 영화다.


야만의 시대로부터 세상을 한 걸음 벗어나게 만든, 여성들의 보이지 않는 일상적 투쟁을 경쾌하게 길어 올린다는 점에서 시대적 가치를 대변한다. 거대한 혁명이나 투쟁만이 이 세상을 바꾼 것이 아님을 깨닫게 만든다. 차별을 겪고 있는 각자의 자리가 광장이며 차별이 만연한 일상을 살아간다는 것 자체가 투쟁임을 유연하게 피력한다.



<히든 피겨스>에서 가장 흥미로운 순간은 사람들이 서로의 흑백을 의식하지 않고 한자리에 서서 하늘을 바라보는 장면이다. 모든 이들이 지구 위를 돈다는 나사의 우주 비행선을 보기 위해 하늘을 올려다보는 순간, 차별의 중력이 사라진다.


그렇게 <히든 피겨스>는 우리 모두가 더 나은 가치를 바라볼 수 있다면 인류라는 우주 역시 더 나은 세상을 꿈꿀 수 있다는 지혜를 사소한 풍경에 담아내고 자연스러운 목격을 유도한다.


그리고 이토록 영롱한 순간마다 경쾌한 리듬을 얹혀낸 음악 감독 퍼렐 윌리엄스의 재능은 <히든 피겨스>의 진정한 ‘히든 피겨’다.

매거진의 이전글 <로건>, 장엄하고 숭고한 마침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