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화난다고 문을 닫는 사람도 없고, 보육원에서도 같은 상황에서 문을 닫을 수 있는 여건도 아닌데, 화나면 문을 쾅 닫고 방으로 들어가는 건 어디에서 배웠을까? 기분이 상했을 때 혼자있고 싶어하는 건 인간의 본능인걸까? 그렇다고 아무도 방을 들여다보지 않을 때 방문 밖으로 나오는 걸 보면, 혼자 있고 싶어하는 게 아니라 그 마음을 누가 보듬어달라고 대놓고 항의하는 걸까? 혹시나 후자일까봐 얼른 방문을 열고 들어가면 문을 닫고 나가라고 냅다 큰소리를 치는 것을 보면 꼭 그런 건 아닌 거 같다. 그냥 복합적인 마음인 것 같다. 혼자 있고 싶으면서 또 누가 마음을 알아줬으면 하는 마음이 얽히고 섥힌. 거기에다가 요즘흔 한 술 더 떠서 화가 난 순간 저리로 가라고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우리도 인내심의 한계에 다다른 타이밍에는 말 또는 행동을 똑바로 하라고 목소리를 높여 엄포를 놓기도 하지만 평소에는 그렇게 행동하면 무시작전으로 일관을 한다. 그러면 제풀에 지쳐 방 밖으로 나온다. 화가 심하게 났거나, 자기가 꼭 하고 싶은 일을 우리가 못하게 한 경우에는, 나와서 소리를 또 지르거나 화를 내는 등 자기의 의지를 관철시키려는 행동을 한 번 더 하기도 하지만 – 그러면 같은 사이클을 반복한다 – 그 밖에는 아무일이 없던 척 하거나 안아달라고 와서 화해의 제스쳐를 보이기도 한다. 화해를 하러 우리에게 접근을 해오는 경우 알아서 굽히고 들어와 사과를 하기도 하지만, 그게 아닌 경우는 우리도 왜 잘못했는지를 설명해주고 사과를 요구하며, 사과를 해 오면 이를 받은 후 꼭 안아줘 화해를 어떻게 하는지 가르쳐준다. 그러면 언제 무슨일이 있었냐는 듯이, 또는 더 과장해서 좋은 일이 있었는 냥으로 신난 태도를 한다. 사랑스러운 녀석.
양치질이 너무나 힘들었던 시기가 있었는데, 자기가 거부한다 할지라도 우리가 강제적인 방식을 동원해서라도 꼭 양치질을 하고야 만다는 것을 알고, 또 그 경험이 유쾌한 것과는 매우 거리가 멀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한 후에는 조금 수월해졌다. 강제집행(?)의 단계로 가기 직전에 항복을 하면서. 이럴 때 보면 많은 게 쉬워졌다. 그렇지만 육아 선배들이 입을 모아 이야기해 준 것이, 애가 크면 육체적으로는 덜 힘들고, 정신적으로는 더 힘들다는 것이었기에, 또 앞으로 뭐가 기다리고 있을지 기대와 긴장이 동시에 된다.
오늘은 하나 유치원 친구의 엄마가 하나를 함께 데리고 집에 가서 놀리고 저녁도 먹인다고 했다. 이제 대충 격주로 금요일마다 하는 행사가 되었는데, 그러면 남편과 나도 우리끼리 외식도 하고 오붓하게 산책도 할 수 있어서 흥이 넘친다. 언제 이렇게 컸는가 하는 생각에. 그리고 애를 데릴러 가서 아이 친구의 부모와 대화를 나누며 친교도 나누면서 인맥도 넓어지니 이 또한 좋은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애의 친한 친구 숫자가 늘어나면서 유치원 밖에서의 친교를 나누고 싶어하는 숫자도 늘어나니 좀 복잡하기도 하고, 애의 사회적 활동이 우리 가족활동에서 차지하는 시간도 늘어나고 피곤해지는 단점이 있다. 정말 요즘 너무 바쁘다. 일과 집안일, 내 사회활동과 부부, 가족간 사회활동, 아이의 친교활동 등으로 달력이 꽉꽉 차간다.
예전에는 내가 항상 우선이었는데, 애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내 일이 밀리기 시작한다. 그런 엄마들을 예전엔 존경하기도 하고, 이해하지 못하기도 했는데, 지금 내가 그렇게 바뀌어 있으니 아이러니하기도 하고, 이런게 자연스러운 일이구나 싶기도 하다. 뭔가 대단한 희생이 아니라, 애가 기뻐하는 걸 보니 나도 모르게 바뀌는 변화. 그래도 나를 잃지는 말아야지. 애는 15년만 있으면 독립해 나갈테니 그 때 나도 나만의 것을 갖고 있어야 그 빈 자리를 너무 큰 상실감 없이 채울 수 있을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