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영화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인 Mar 17. 2018

기다려 주세요, 지금 만나러 갑니다.

원작 영화와 비교해 본 솔직한 후기



좋아하는 몇 편의 일본 영화가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오늘 리뷰의 원작이었다.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 

원작을 언제 처음 봤는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지만 지금도 종종 꺼내 보곤 하는 영화다. 역시나 일본스럽게 엉뚱하지만 마치 동화같기도, 판타지스럽기도 이야기는 일본 특유의 부드럽고 잔잔한 분위기와 어울려 이 영화만의 색깔로 남았다. 



시놉은 간단하다. 

어린 아들과 남편을 두고 병으로 죽은 여자. 그녀는 아들에게 직접 동화책 한 권을 지어주는데 그 동화를 통해 '비의 계절'이 되면 돌아올 것을 약속한다. 

그리고 그녀가 죽은 지 1년이 지나 비의 계절이 돌아오자 거짓말처럼 남편과 아들 앞에 나타난다. 


죽음 뒤, 다시 한 번 허락된 짧은 만남을 통해 가족과 연인에 대한 애틋함을 그린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

지난해, 좋아해 마지 않던 이 영화의 리메이크 소식을 접했고 드디어 지난 14일 관객에게 선을 보였다. 



워낙 팬층이 두터운 영화였다. 때문에 스탭과 배우들에게는 어떤 부담이 있었을지 모른다. 하지만 언론시사 후 이장훈 감독의 인터뷰를 보게 됐고, 그 말에 안도하듯 편안하게 영화를 보기 시작했다. 

(이장훈 감독은 언론 시사 후 인터뷰에서 '원작에 대한 부담이 컸지만 각색 시나리오에 대한 원작자의 호의적 반응에 기분 좋았다'고 말했다.) 



영화는 원작과 매우 비슷했지만, 또한 매우 달랐다. 


이야기의 전개는 원작과 거의 흡사했다. 비의 계절이 되자 거짓말처럼 돌아온 아내. 아무것도 기억하지 못하는 아내를 위해 남편이 들려주는 과거의 이야기들. 과거와 현재가 교차되는 편집이라던지, 아내가 혼자 다이어리에 써왔던 이야기를 풀어내는 전개 방식은 원작의 것을 그대로 가져온 듯 싶었다. 또한 원작 속 대사가 영화 중간중간 그대로 사용되어 원작을 좋아했던 사람으로써 반가운 기분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매우 달라진 부분도 있었는데 원작과 분위기가 매우 다르다는 것이다. 원작의 경우 판타지적이고 동화같은 느낌이 강했다면 한국판의 경우는 로맨스와 코미디, 가족물이 결합된 장르로 재탄생된 것 같았다. 원작에 없던 캐릭터의 등장과 코믹한 에피소드는 나름 영화의 활기를 불어넣는 역할을 했지만 원작의 감동을 기대했던 사람이라면 불필요한 요소로 느꼈을지도 모르겠다. (실제로 보험같이 사용하는 한국 영화의 코믹 요소가 아쉽다는 후기를 보기도 했다.) 



원작에 대한 애정이 깊었던 만큼 한국 리메이크작에 대한 기대가 컸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평하자면 아쉬운 마음이 매우 크다. 일본 원작에 빠져들었던 것은 기존에 내가 가지고 있던 일본 영화의 편견을 깨준 영화이기 때문이다. 일본 영화는 지극히도 잔잔하거나 혹은 이상한 상상으로 가득하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이 영화의 경우 기발한 소재와 편안한 이야기의 어울림이 좋았고, 억지 눈물이 아닌 담담하게 써내려가는 듯한 스토리 전개가 인상 깊었다. 하지만 한국의 '지금 만나러 갑니다'는 '역시 한국 영화는 어쩔 수 없구나'라는 생각이 들게 했다. 원작에 없던 캐릭터들은 모두 코믹한 에피소드를 위해 탄생되었다는 점, 상황 보다는 독백이나 이야기로 풀어내려는 방식이 되려 지루했다. 


원작을 보고 눈이 붓도록 펑펑 울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이번엔 눈물이 나지 않았다. 모든 것이 많이 닮아 있는 영화였지만 그냥 그 정도 였던 것 같다.  



그럼에도 '별로였다'가 아닌 '아쉽다'고 표현한데는 이야기가 주는 본질은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죽은 엄마가 돌아오기만을 바라는 아이의 마음, 사랑하는 사람에게 행복을 주고 싶었던 남편의 마음, 사랑하는 사람들을 두고 떠나는 엄마의 안타까운 마음 등 '사랑'과 '그리움'이 있었기에 '비의 계절' 에피소드는 탄생되었고, 때문에 다시금 이별하는 결말이 뭉클할 수 밖에 없었다. 


화장이 지워지도록 펑펑 운 사람이 많다는 후기를 봤다. 많은 사람들이 안타깝거나 슬픈 감정을 느꼈던 것 같다. 가족과 사랑에 대한 메시지는 변함 없었던 것이다. 



영화는 충분히 아름다웠다. 

원작의 경우 노란 해바라기 밭과 가족만의 비밀 공간이 아름답게 보였다면 한국의 경우는 초록의 울창함이 눈부시게 아름다웠다. 영화의 많은 부분이 충북 영동에서 촬영되었는데, 비의 계절에 수분을 머금은 울창한 초록이 특유의 신비로운 느낌을 자아내며 영화의 분위기를 더한 것 같다. 


배우들의 연기 또한 훌륭했다. 배우 손예진의 연기를 좋아하는 터라 여자 주인공은 믿고 보는 캐스팅이다 싶었지만 소지섭은 의아했었다. 원작 속 남자는 둔하고 찌질한 듯 보이지만 속내는 여린 성격이다. 강하고 세련된 이미지의 배우라고 생각했기에 사실 이 배역에 어울리는 배우는 아니다 싶었다. 하지만 영화를 보고난 뒤 가히 두 사람의 조화는 아름다웠고, 소지섭은 빛이 났다고 말하고 싶다. 


원작의 감동을 기대했다면 아쉬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갑갑한 일상 가운데 내린 첫 빗망울을 바라보듯, 편안한 마음으로 볼 수 있는 영화임에는 틀림 없는 것 같다.



*브런치 무비패스를 통해 관람 후 지극히 주관적인 생각을 담았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편안하게 흐뭇한, 영화 리틀 포레스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