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UX기획자 장기원 Aug 26. 2018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

'지난 10년간 디지털 기술의 놀라운 혁신으로 모바일 IoT, 인공지능,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동화, 지능화가 가속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 경영, 고객 관리, 비즈니스 모델, 운영 프로세스 등 기업 운영 전반에서 기존 방식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 방식이 필요해졌다. 산업 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금융 기업과 자동차 산업은 디지털 기술로 무장하여 서비스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으며, 전자, 제조업은 스마트 팩토리 등을 적극 도입하여 생산 방식과 판매 방식을 혁신하고 있다.'*


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란 무엇인가?

 IDC(2015)에 따르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전환)은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디지털 역량을 활용함으로써 고객 및 시장(외부 생태계)의 파괴적인 변화에 적응하거나 이를 추진하는 지속적인 프로세스'로 정의하고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대한 정의(출처:디지털리테일 컨설팅 그룹)


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사례***

온라인 사례 1. 제조의 혁신을 이끈 아마존
인터넷 쇼핑몰인 아마존이 구글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바로, 2005년 아마존에서 출시한 AI디바이스 ‘알렉사’ 때문인데요. 단순 오디오기기로써 음악을 듣는 기기가 아닌 성문인식을 통해 검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온라인 디바이스를 만들어냈습니다. 점차 아마존은 물건을 판매하는 유통사를 넘어 물건을 만드는 제조사로 혁신을 꾀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사례 2. 교통의 혁신을 이끈 우버
승객과 택시기사를 앱(app) 하나로 연결한 플랫폼, 우버. 사물 인터넷 시대에 상품과 서비스의 결합을 보여준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는데요. 단지 모바일 앱을 통해 승객와 기사를 연결해주는 허브 역할로 시작한 우버는 이제 교통, 렌트, 주차장, 택배, 자동차 등 수많은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사례 1. 행동데이터를 축적하는 스타벅스
2008년 스타벅스는 매출급감, 브랜드 이미지 추락 등 위기를 맞이합니다. 당시 최고 경영자(CEO)로 복귀한 하워드 슐츠는 스타벅스의 재도약을 위해 디지털화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았습니다. 그 결과, 2014년 세계 최초 한국에서 시작된 모바일 주문 및 결제시스템 ‘사이렌 오더’가 탄생했습니다. IT기술을 도입하여 위기를 기회로 만들었죠. 2014년 스타벅스는 모바일 주문 및 결제시스템 ‘사이렌 오더’를 선보였습니다. 이 앱은 단순 주문 및 결제에서 그치지 않고 개인별 맞춤형 상품 추천까지 제공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구매 이력, 매장정보, 주문시간대 등의 빅데이터를 축적해 이용자들에게 만족도 높은 상품을 제공하고 있죠. 

스타벅스 앱(출처:스타벅스 코리아 유투브)

오프라인 사례 2. 디지털을 품은 아날로그, 마텔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들 때문에 매출이 감소하는 완구회사는 한둘이 아닙니다. 하지만 마텔은 이를 현명하게 극복했죠. 태블릿 PC에 마텔에서 제작한 캐릭터 완구를 올리면 화면에 숨겨져 있던 캐릭터가 등장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사물 인터넷 완구에 열광했으며, 마텔은 아이들을 다시 완구의 세계로 이끌 수 있었죠.

마텔(출처:www.mattel.com)  


위 글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 관한 글들을 엮어 소개해보았습니다.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싶은 분들은 아래 참고문헌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김진영, 김형택, 이승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어떻게 할 것인가」, e비즈북스, 2017, 21-22p

**김민식, 손가녕, 「제4차 산업 혁명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이해」,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7 

***GS칼텍스 매거진, 「Digital Trandformation을 향한 기업 혁신의 사례」,   2018



매거진의 이전글 제조서비스화로 기업 비즈니스 모델 혁신하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