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손경락 Sep 21. 2022

'수정헌법 제5조, 공용수용의 허실' 영어 버전

영어 리스닝 공부하고 가세요!

이 글은 지난번에 올린 포스팅 '수정헌법 제5조, 공용수용의 허실'의 영어 번역 버전입니다. 음성 파일을 들으시면서 영문 번역을 따라 읽으시면 영어가 술술 읽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The Fifth Amendment: Truth Behind Eminent Domain


To build public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railroads and power plants, there often arises a need by the government or private agencies to forcefully acquire private land and buildings. The Fifth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provides, “nor shall private property taken for public use, without just compensation.”


도로나 철도, 발전소 건설과 같은 공익사업을 추진하려면 정부가 됐든 민간기업이 됐든 사업 주체는 개인의 토지나 건물 등을 소유주 의사와 상관없이 강제로 수용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와 관련 미국 수정헌법 제5조에 ‘사유재산권은 정당한 보상 없이는 공공의 용도로 수용되어서는 아니 된다’라고 명시돼있다.


The central question in these eminent domain cases is what constitutes “public use” and how much is “just compensation.” This task falls squarely on the courts. The court’s definition of “public use” has gradually expanded from clear examples of public works to the more controversial urban redevelopment. This column traces this history.  


공용수용의 가장 핵심은 헌법 조항에 명시된 그대로 과연 무엇이 ‘공공의 용도’이며, 어느 정도의 수준이 ‘정당한 보상’인지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판단하는 것인데 이것은 법원이 해야 할 몫이다. 특히 공용수용은 ‘공공의 용도’가 분명한 공익사업뿐 아니라 도시 재개발에도 폭넓게 적용되어 많은 논란이 있는데 이번에는 이에 대해 조명해본다.


The first Supreme Court case that decided the legality of using eminent domain for urban redevelopment was Berman v. Parker in 1954. In 1945, Congress passed a plan to redevelop the “blighted areas” in Washington D.C. It established the D.C. Redevelopment Land Agency to lead this effort. The Agency concluded after the initial survey that 63.4% of the dwellings in Southwest Washington D.C. were beyond repair and began to make plans to redevelop the entire area.


도시개발 문제로 대법원까지 법적 논쟁이 되었던 첫 사례는 1954년에 있었던 ‘버먼 대 파커’(Berman v. Parker)  사건이다. 미국 연방의회는 1945년, 워싱턴 D.C.의 낙후 지역을 재개발키로 하고 사업 추진 주체로 ‘D.C. 토지 재개발청’을 설립했다. 토지 재개발청은 사전 조사를 통해 워싱턴 D.C. 남서쪽 지역 주택가 64.3%가 보수 불가능할 정도로 노후도가 심각하다고 결론짓고 재개발에 착수했다.


Berman owned a department store in the targeted redevelopment zone. He argued that taking his building, which was not blighted, and transferring it to the redevelopers under eminent domain amounted to “a taking from one businessman for the benefit of another businessman,” not public use. However, in an 8-0 decision, the Supreme Court rejected Berman’s argument. It held, “[i]f owner after owner were permitted to resist these redevelopment programs on the ground that his particular property was not being used against the public interest, integrated plans for redevelopment would suffer greatly.” It was clear that the Court considered the residents’ safety, convenience, and attractiveness of the neighborhood to be “public use.”


버먼은 당시 이 지역에서 백화점을 운영하고 있었는데 아직 멀쩡한 자신의 건물을 지방정부가 강제로 수용하여 부동산 재개발 사업자에게 주는 것은 ‘한 사업가의 이익을 다른 사업가에게 주는 것’ 일뿐 공공의 용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수용에 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대법원은 버먼처럼 일일이 개인 사정들을 다 들어주다 보면 전체적으로 사업 추진이 요원하다고 판단하고 8대 0 만장일치로 정부 편을 들어주었다. 주민의 안전과 편익, 도시미관 등이 공익의 가치라고 본 것이다.


The Supreme Court’s decision spurred further redevelopment efforts and contributed to the modernization of the skyline in cities across America. One of the most famous examples was turning West End, Boston’s working-class neighborhood, into a hubbub of commercial activity with several high-rise buildings. About 20,000 immigrants were relocated during the eminent domain and urban renewal phase.


대법원의 이 같은 결정은, 보스턴시의 경우 웨스트엔드 빈민가에 살던 약 2만 명의 이민자들을 이주시키고 대규모 재개발을 통해 현대식 빌딩 숲으로 바꾸는 데 성공하는 등 미국 전역에 재개발 열풍을 몰고 와 낙후된 구도심을 오늘의 도시 모습으로 바꾸는 데 크게 일조했다.


Eminent domain once again made the national headlines in 2005 with the Supreme Court’s decision in Kelo v. City of New London. Susette Kelo lived in a small house with her husband on the banks of Thames River in New London, Connecticut. One day, she received a shocking notice saying that a giant pharmaceutical company Pfizer would redevelop her neighborhood and build a hotel-retail-condo.


그러다 2005년 ‘켈로 대 뉴런던 시’(Kelo v. City of New London) 사건으로 공용수용 문제가 또 한 번 도마 위에 올라온다. 코네티컷주의 뉴런던 시 테임즈 강가 작은 집에서 남편과 함께 오랫동안 살던 ‘수젯 켈로’(Susette Kelo)는 어느 날 청천벽력 같은 통지를 받게 된다. 다름 아니라 거대 제약회사인 화이자가 자기 동네를 재개발하여 화이자 사옥과 그에 따르는 부대시설을 짓기로 한다는 것이었다.


The City of New London approved eminent domain after concluding that Kelo’s neighborhood was blighted and in need of revitalization. The city hoped to create new jobs and increase tax revenue by allowing the pharmaceutical company to build there. Several homeowners, including Kelo, were dissatisfied with the proposed compensation and brought a lawsuit against the city. However, the U.S. Supreme Court ruled against them by finding that job creation and increased tax income for the city constituted “public use,” and ordered their homes to be condemned.


뉴런던 시 당국은, 켈로가 살던 동네는 낙후지역이라 도시 재생 사업이 필수적인 데다 대형 제약회사를 유치하게 되면 일자리 창출과 시의 세수증대에도 크게 기여한다며 켈로의 집에 대한 공용수용을 승인했다. 켈로를 비롯한 주택 소유주 몇 명은 만족스럽지 못한 보상가에 반발하며 소송을 불사했지만 결국 대법원은 고용창출 문제와 세수증대는 공익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강제이주를 명령했다.


Ironically, Pfizer did not contribute much in the expected job creation or tax revenue. While the case was working its way through the court system, it abandoned the plan and relocated to another city after a corporate merger. The developer could not secure financing and had to give up the redevelopment plan. The land where Kelo’s house used to sit is empty and desolate to this day.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소송이 진행되는 동안 화이자는 기업 인수합병에 따라 이미 완공된 뉴런던 시 사옥을 떠나 다른 도시로 이전하였기 때문에 당초 기대했던 일자리 창출과 세수증대에 별로 기여하지 못하였고, 재개발 사업 또한 부동산 시행업자의 자금난으로 계획대로 진척이 되지 못한 채 오늘날까지 황량한 공터로 남아 있다.


The normal market operation allows businesses to buy blighted private property, fix up, and sell it at a profit. However, when the government takes the lead to ensure profit for businesses at a cost to people like Kelo, can it be defined as “public use”? Also, if a fair market value is the price point where most people will sell voluntarily, can it be called “just compensation” if they don’t wish to sell at the amount offered? These are two challenging questions that come up repeatedly every time eminent domain is discussed for urban renewal.


어차피 개발을 통해 이익이 남는 장사라면 가만히 두어도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참여할 텐데 이처럼 행정기관이 나서 민간에게 이익을 보장해주는 게 과연 ‘공공의 용도’로 볼 수 있는지, 아울러 시세보다 더 많은 돈을 준다면 당연히 팔고 나갔을 가격이 자연스럽게 형성된 시장에서의 주택 가격이라고 본다면 여기에 미치지 못하는 공용수용 보상가를 ‘정당한 보상’이라고 볼 수 있는지, 도심 재개발 문제가 대두될 때마다 회자되는 과제이다.









작가의 이전글 누가 '미국인'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