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라쿠나 Apr 28. 2021

스크린 밖에도 '초원이'가 있었다

2019월 3월 1일의 수습일기

“아니, 우리 애도 초원이같은 영화를 하나 찍어야 된다는 생각이 든다니까…” 서울 금천경찰서 앞에서 만난 A씨는 연락처를 물을 때마다 그 말을 반복했다. 자폐성 장애가 있는 아들의 이야기를 세상이 좀 들어줬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영화 〈말아톤〉처럼 말이다.


 자폐성 발달장애인 B(25)씨는 지난해 7월 서울 금천구 마을버스에서 내리면서 여고생 2명과 20대 여성 1명의 상반신을 만졌다. 이 일로 박씨는 지난 달 1일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이날 어머니 A씨는 금천서 여성청소년계에 아들의 신상등록을 하러 왔다. 성범죄 초범일 경우 신상공개가 아닌 신상등록 처분이 내려진다. 신상등록은 일반인은 열람할 수 없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만 하는 일종의 경고 조치다.


 A씨는 자폐성 장애인들이 성범죄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집착이 강해서, 화를 주체하지 못해서. 성 충동을 제어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하자 도벽이 생겼다고 했다. 빵, 음료수에서 돈까지. 피해자들과 합의하기 위해 돈을 달라는대로 줄 수밖에 없었다. 만원은 10만원이 되고, 15만원은 40만원이 됐다.


 “돈을 주는 건 낫죠. 성적인 문제는… 어렵죠. 해결해 줄 수가 없으니까요.” A씨는 상처입은 피해자들에게 무조건 용서하라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했다. 맞는 말이었다. 그 전까지 민원인의 말을 이끌어내기 위해 ”피해자들이 너무하다, 아픈 사람인데 이해해줘야 하는 거 아니냐”고 했던 내가 부끄러워졌다.


 B씨는 지금 충북의 한 정신병원에 입원해 있다. 집에 묶어만 둘 수도 없는 노릇이고, 집행유예 기간에 사고를 치면 가중처벌이 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방법을 택했다는 것이다. 정말 이게 최선일까. 추가로 취재를 해보니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지적장애인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있다고 한다. 비약물적 치료를 통해 성범죄를 사전에 예방하는 방식이다. 국내에는 그런 프로그램이 없다. ‘도가니법’처럼, 또 한 번 세상을 변화시킬 영화가 필요할지도 모르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