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nonymoushilarious Jul 31. 2023

그는 그렇게 산이 되었다.

영화 '여덟개의 산'

간만에 마이너한 영화를 보았다. 정말 러닝타임이 긴 영화였는데, 그만큼 여운도 긴 영화였다. 한 남자의 어린 시절부터 청년을 넘어 중년을 향해 가는 나이까지를 그린 영화인 만큼 꽤나 대서사시인데, 영화는 고요한 분위기를 놓지 않는다. 마치 우리네의 인생의 대부분은 별일없이 흘러간다는 듯이. 별일 없이 흘러가는 듯 보였지만 고뇌의 끈을 놓지 않았던 주인공의 치열함은 결국 그에게 삶을 선사했다. 비로소 만족할 만한 사람도 얻고,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곳도 생기는 희노애락 말이다.


1. 어릴 적 친구에 대한 기억이란

나도 10대때의 기억을 점령하고 있는 친구들이 있었다. 내 10대에 주된 기억에 그들이 남아있다. 내 생일 축하 파티에 놀러오던 그들, 가끔은 쓸데없는 기싸움을 하기도 하던 그들처럼 피에트로에게도 브루노는 유년 시절의 강렬한 기억이었다. 재미없는 도시가 아닌, 예상할 수 없는 일이 가득한 자연에서의 삶을 당연하게 여기던 브루노는 피에트로에게 신기하고도 대단한 아이였을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자연과 산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으로, 피치 못하게 헤어졌을 때에도 꾸준히 서로에 대한 기억을 놓지 못했다. 그만큼 서로에 대한 기억이 강렬했고, 서로를 좋아했고, 헤어짐이 아쉬웠기에 기억이 오래갔던 것인지도 모른다.


2. 사람에게는 각자의 때가 있다.

피에트로는 브루노와의 갑작스런 이별 이후, 많이 방황하는 모습을 보인다. 정석 엘리트 코스를 권하는 부모에게 반항을 하고, 내외하면서 살다가 어느 날 아버지의 죽고 나서야 집에 돌아온다. 그야말로 불효자가 따로없다. 그 이면에는 친우였던 브루노의 인생에 함부로 개입해 둘 사이를 가로막았다는 불만도 있었을 것이고, 틀에 박힌 길을 가고 싶지 않은 그의 모습을 받아들여주지 않은 부모에게 본 때를 보여주고자 하는 마음도 있었을 것이다. 그렇게 아버지의 죽음이 브루노와 피에트로, 그 둘을 다시 연결시켜 주었는데, 둘은 아버지의 유언과도 같았던 산 속 집을 지으며 다시 새로운 우정을 쌓아나간다. 그 과정에서 브루노는 본래 자신의 터였던 시골, 자연과 함께하며 생계를 유지할 방법을 찾아낸다. 목장을 지어 자신만의 유토피아를 만들 생각을 했던 것이다. 참으로 그다운 생각이었다. 거침없이 자신의 뜻을 펼쳐내는 그를 보며 피에트로는 조바심에 사로잡힌다. 아직 아무것도 되지 못한 나 자신에 대한 자책, 친구에 대한 부러움 등이 그를 고뇌에 빠지게 하려던 찰나, 그는 브루노의 응원을 받고 다시 글을 쓴다. 그리고 나 자신을 찾기 위해 찾아간 히말라야에서 사랑하는 여자도 만나고, 그의 인생에 화양연화가 찾아온다.

하지만 참 인생은 간사하게도 피에트로에게 봄을 주면서도 브루노의 인생에는 겨울을 준다. 이번에는 브루노가 피에트로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의 모습과 비교하면서 절망의 늪으로 빠져들어간다. 그 교차점을 보면서 '인간은 다 자신의 때가 있구나'라고 느꼈다. 브루노의 화양 연화, 피에트로의 화양연화, 그 시기가 같을 수만은 없다는 당연한 이치를 보면서 괜히 씁쓸했고, 가슴이 아팠다.


3. 산에게 던진 각기 다른 질문

피에트로는 산에서 자아를 찾았다면 브루노는 산에서 살고 있지만 인간이 만들어 놓은 세계 속 규칙에 맞춰 살려다 보니, 가랑이가 찢어져 버렸다. 둘 다 산에서 자신의 답을 찾았지만 산에게 묻는 질문이 달랐고, 그에 따른 답과 결과도 달랐던 것 같다. 피에트로는 산에서 아버지를 발견했고, 자신이 이해하지 못했던 아버지를 이해하며 자신의 한계를 뚫고 나갔다면, 브루노는 산이 만든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자신의 우물 안에서 허우적댄 것은 아니었을까 생각했다. 도시 사람인 피에트로에게 산은 새로운 정답을 선사해 줄 수 있는 곳이지만 브루노에게 산은 고향이지만 자신이 뚫고 나가야 할 한계점이기도 했다. 브루노의 조상은 자연을 벗어나 본적이 없고, 도시 속 인간의 삶보다는 자연 속에서 자급자족이 더 익숙한 사람들이었기에 브루노에겐 그것이 더욱 익숙했을 것이다. 하지만 자연도 자급자족만으로는 생존할 수 없기에 인간의 언어를 배워야 한다. 브루노는 자신의 한계를 이겨내기 위해 약간의 교육이 필요했고, 그 지점을 피에트로의 부모는 궤뚫고 있었지만 브루노의 아버지가 그 기회를 날린다. 그저 자연이 좋았던 어린 피에트로에게는 그런 부모의 행동이 브루노의 인생을 망친다고 생각했겠지만 피에트로와 브루노는 엄연히 입장이 달랐던 점을 생각하면 그들의 부모는 오히려 현명한 판단을 했던 것인지도 모른다.


이 둘을 보면서 느낀 것은, 모든 사람이 같은 곳에 있어도 누군가는 오답을 발견하고, 누군가는 정답을 도출해 낸다는 것을 느꼈다. 그렇다면 오답을 발견한 사람은 영원한 실패자일까? 아니다. 그 사람의 답은 다른 곳에 있을 것이다. 피에트로의 답이 산에 있었던 것처럼 어쩌면 브루노의 답은 도시에 있었을지도 모른다.


4. 동네 산의 꼭대기를 정복해 산이 되어버린 브루노, 그를 기억하는 피에트로

피에트로는 브루노와 술을 마시면서 자신들의 아지트와도 같은, 그 오두막이 지어진 산을 정복한 자가 브루노고 자신은 그 산을 제외한 여덟개의 산을 정복한 사람이라면 둘 중 누가 더 우월할까를 대결한다. 이 대사가 이해될 듯 말 듯 했는데, 아무리 피에트로가 히말라야를 오르고, 명산에 올라도 그에게 있어 마음 속 에베레스트는 브루노와 놀고, 집을 함께 지었던 그 뒷산인 것이다. 그의 마음 속 에베레스트를 쥐고 흔드는 브루노는 다른 어떤 명산을 다녀온 그보다도 더 우월한 존재로 보였던 것이 아니었을까 생각한다.


영화 마지막에 등장하는 대사처럼, 그는 다시는 그 뒷산을 올라가지 못하고, 다른 낯선 산들만을 해매고 다닐 것이다. 피에트로에게 그 뒷산은 곧 브루노이기에, 낯선 산들을 해매며 브루노를 향한 미안함, 슬픔을 게워낼 것 같다. 청년이었던 피에트로에게 아버지가 자아를 찾는 이정표가 되어 주었다면, 중년에 나이에 다가서는 피에트로에게 브루노가 그의 인생의 이정표가 되어줄 것이다. 피에트로 마음 속의 에베레스트, 마음 속 중심이 되어 그의 남은 인생 산행의 별빛이 되어 길을 밝혀주고 길을 안내해 줄 것이다.


아, 이 영화는 산을 담아내는 카메라 무빙이 정말 장관이다. 보실 분들은 참고하시길.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진부하다고 하기엔 그저 웃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