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롱은 오늘도 석탄을 캔다. 그는 오늘도 열심히 석탄을 캐어 배달한다. 그는 건실한 석탄 운송 업체를 운영하는 가장이기 때문이다. 그의 가족은 그를 아버지로서 인정해주고 화목함을 유지한다. 하지만 어느 날 한 수녀원에 강제로 끌려가는 어린 여자를 보고 그의 평온한 일상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그의 안온한 일상이 무너지며 마을에서 금기시되어온 일을 시도하기 시작한다.
1. 결핍이 그저 나쁘게만 흘러가진 않는다.
영화의 시점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펄롱의 어린시절, 그리고 가장으로서 건실히 살고 있는 현재 시점. 계획에 없던 임신을 하게 된 여자들이 가족들의 수치로 여겨져 수녀원으로 보내지는 일이 비일비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 그녀들을 보며 빌은 자신의 어머니를 반추한다. 항상 아버지에 대해 물어보았지만 시원한 대답을 들을 수 없었던 그의 어린 시절을 돌아보며, 수녀원에 끌려가듯 들어가는 소녀를 보며 자신의 어머니를 생각했던 것 같다. 현재의 펄롱의 자상함이 어디에서부터 온 걸까 의심이 들 만큼 그의 어린시절은 몸은 안락했으나 마음은 가난했던 시절이었는데, 자신의 과거를 되돌아보게 만드는 수녀원 속 소녀는 그의 안온한 삶에 돌을 던진다. 직감적으로 그는 수녀원에서 벌어지는 일이 심상치 않음을 느낀다. 소설을 읽진 않아서 그가 마을에서 수녀원이 일으키는 소동이 얼마나 많은지 알고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도 지역 사회에서 수녀원이 행하는 권력이 막강한 것은 알았던 것 같다. 수녀원의 소녀를 구출하면 자신이 위험해진다는 것을 알면서도 계속 그는 계속 그 소녀를 구출하고 싶어서 고통에 휩싸인다.
그의 어린시절은 결핍이라는 단어로 정의할 수 있겠다. 결핍은 한 사람의 인생의 고통을 선사하지만 삶이란 참 간사해서 행복만 할 수 없고 고통이 지나고 그 고통에서 얻은 인사이트가 있어야 비로소 행복이라는 것에 가까워진다. 펄롱이 아버지가 없었지만 그를 보살펴준 삼촌의 존재가 있었고 어머니를 일찍 여의었지만 윌슨 부인의 지원이 있었기에 온전히 자랄 수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모가 줄 수 있는 애정이 부재했던 탓에 결정적으로 채워지지 않는 외로움이 분명 있었을 것인데, 그의 마음 속 깊이 자리잡은 결핍은 그의 인생의 고통이면서도 앞으로 나아가는 원동력이 되어 지금의 가정을 이루었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펄롱의 인간성에 박수를 쳐주게 된다. 이런 밑도 끝도 없이 착한 캐릭터, 참 좋다.
2. 그를 움직이게 한 건 그저 어머니 때문이었을까.
수녀원에 끌려가는 소녀를 보며 그는 그의 어머니를 떠올린다. 그가 착한 심성을 가졌다고만 하기엔 그의 과거가 그 소녀에게 감정이입을 안 할 수 없다. 홀로 자신을 키워온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이 그 소녀를 돕고 싶다는 마음으로 귀결된 것이 아닐까. 아니면 자신도 그 소녀와 비단 다르지 않은 처지였는데, 자신은 운이 좋아 윌슨 부인에게 거두어졌기 때문에 일종의 부채의식이 있었던 걸까. 이런 생각은 그가 자신의 아내와 이야기를 나눌 때 스쳤던 생각이다. '당신은 가난함을 모른다'는 뉘앙스의 아내의 말은 그의 삶이 안온했기 때문에 현실을 잘 모른다는 말로 들렸기 때문이다. 그의 아내의 말도 틀리진 않다. 힘든 것을 안다고 해서 모든 인간이 선의를 베풀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힘든 것을 처절하게 겪은 사람일수록 다시는 그 시절로 돌아가지 않기 위해 오히려 이기적인 선택을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 소녀를 볼 때, 그가 자신의 어린시절을 떠올렸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의 기본 바탕인 선함이 발동했기 때문일 거라고 생각한다. 그저 과거 때문만은 아니었을 것 같다. 자신의 과거 속 무력했던 자신과는 달리, 지금은 행동할 수 있는 어른이 되었기 때문에 자신과 비슷한 결의 고통을 겪고 있을 사람들을 도와주고 싶은 일말의 그의 선한 성격에서 나오는 선의였을 것이다.
3. 종교라는 이름의 폭력
우선 종교를 가지신 많은 분들이 욕하실 수도 있겠지만 나는 종교가 선함의 종착역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종교를 가지는 사람들이 모두 선한 마음에서 시작하지만 그 방식이 모두 선하다고 생각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특정 신을 믿으며 자신의 선함을 어필하는 사람은 결국 자신의 선함에 자신이 없는 사람이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본 적이 있다. 오히려 나에게 있어 선한 사람이란 개념은 유일신을 믿고 말고와 상관없이 자신에게 이득이 되지 않을 어떤 꺼려지는 일을 군말없이 하는 사람들에게 적용된다. 그게 바로 펄롱이다. 그를 말리는 사람들도 이기적이라고 할 순 없다. 그의 인간성을 모두 알고 있기 때문에, 그가 온전히 좋은 사람으로서 평판을 지켜나갔으면 하는 마음이기 때문에 이들도 그렇게 악한 존재로 비춰지진 않았다. 지역 사회에서 평판이 어떻게 보면 삶의 전부일 수도 있기 때문에, 그 생리를 알고 있는 사람으로서는 그의 평판이 망가져 그를 오래 보지 못하게 되는 것이 안타까웠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그들의 입장이 이해돼 그들이 처한 상황이 참 마음이 아팠다.
영화에서 제대로 나오진 않았지만 수녀들은 임신한 소녀들의 덜미를 잡아 착취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모습을 보며, 영화 '스포트라이트'를 생각했다. 종교의 세계에는 선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집단이라는 대외적 이미지를 이용해 사람들을 간혹 이용하기도 하고 그들을 착취하기도 하는 사람들이 있기도 하다. 아무래도 순결에 대한 강요등 그로 인한 억압적인 측면도 분명 존재하기에 억압이 심해지면 가끔 돌연변이들이 나오는 법이다. '스포트라이트' 속 동성애를 감추려는 사제들이나 여기 수녀들이나 종교가 가질 수 밖에 없는 투명한 순결함에 대한 집착이 만들어낸 일종의 돌연변이같은 괴물들인 것이다. 그건 종교의 문제라기 보다는 어떤 정확한 규율이 요구되는 집단에서 으레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일인 것이다. 가끔 펄롱과도 같은 내부고발자 포지션의 사람들이 있기에 아직은 세상은 그렇게 파멸하지 않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아직 파멸하지 않았다면 계속 살아볼 가치가 있다는 것을 영화를 보면서 생각하게 되었다. 10번의 고난이 와도 한 번의 행복이 온다면 그 삶은 살아볼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닌가 뭐 그런 생각을 하면서 영화를 보았기 때문에 영화를 보는 내내 희망이라는 단어가 계속 떠올라서 이 조용한 영화를 보면서 흐뭇하게 볼 수 있었다. 펄롱은 평범하게 살고 있지 못한 사람들에게 평범하게 살 권리를 선물한 것 같았다. 사소함을 누릴 수 있는 삶이 복된 삶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던 그의 마음이 전해져 참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