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다름 Dec 30. 2020

21. 나의 2020년을 보내며

  탈도 많고 일도 많고 변화도 많았던 일 년이었다. 내가 우울증 때문에 병원에 다니고, 약도 먹고 휴직을 하게 될 줄이야 누가 알았을까. 나도 몰랐던 일이었다. 지금은 시간이 좀 지나 덤덤해졌다. 흘러가는 시간이라는 게 정말 무섭다. 지금도 가끔 그때를 생각하며 몸서리쳐질 때가 있다. 그래도 담담해지고 힘들었던 기억이 잊혀 간다는 게 신기하기만 하다. 지난 2년 동안 좋은 기억들 뒤로 얼마나 힘들었는지 나는 안다. 매일 밤 눈물로 밤을 지새우고, 먹은 것들을 다 게워내고, 어디서나 무표정할 수밖에 없었던 그때의 나. 의지할 사람을 만나면 눈물부터 쏟던 나였다. 나 자신에게 고생 많았다는 말밖에 해줄 말이 없다.     


  내 삶에서 큰 전환점이 된 27살이었다. 아마 내년도 그럴 것 같다. 2021년에는 더 나은 내가 되어있을지 나는 모른다. 아마 올해보다, 그동안보다 더 힘들어할 수도 있다. 새로운 것에 도전한다는 게 얼마나 힘들지 아직 가늠이 안 간다. 그래도 이제는 그만 숨고, 그만 피하고 내 발로 나아가 봐야지. 내 삶은 내 것이라는데,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간 적이 없었다. 반성은 그만하고 움직여보자.     


  해보고 싶었는데 하지 못한 것들도 많이 해봤다. 휴직도 하고, 글도 써보고, 그 글을 누군가가 읽고, 오프라인 독서모임으로 책에 대한 얘기도 나눠보고, 책 읽느라 밤도 새보고, 목공도 배워보고, 새로운 꿈을 위해 공부도 해봤다. 굵직한 것 말고도 자잘하게 도전해 본 것들도 많다. 처음 휴직 버킷리스트를 쓸 때 이걸 다 지울 수 있을까 싶었다. 연초에 세우는 계획처럼 어느새 사라져 가는 그런 것들이 되지 않을까 걱정했다. 그런데 몇 달이 채 되지 않아 대부분을 이루었다. 생각보다 나는 할 수 있는 에너지가 있는 사람이었다. 지루한 장마 같던 오랜 연애도 끝내고 새로운 사람도 만났다. 매번, 연애를 하고 사람을 만나면서도 새로운 것들을 배우는 중이다.     


  앞으로 해볼 것들도 무궁무진할 거다. 올해가 끝난다고 모든 게 끝나는 건 아니지만, 올해는 정말 삶을 다시 태어나 살아가는 느낌이었다. 아직도 배울 게 많고 행복할 거리도 분명 작지만 있을 거다. 그러니까 조금 더 살자. 고생했어. 조금만 더 힘 내보자.      


  이제는 우울증 완치 후 일기를 쓰고 싶다. 나 스스로 이 병으로부터 벗어나고 있다는 걸 느낀다. 아무 생각 없던(건 아니지만 덜 심각했던) 학창 시절처럼 하루하루에만 집중하며 살자.


                     살. 자. 살고 싶어서 사는 사람이 되면 좋겠다. 작다면 작고 크다면 큰 일이다.    

  

  고생 많았습니다. 나뿐 아니라 이 글을 읽는 모두가 고생 많았습니다. 분명 우리는 앞으로도 고생길이 열려있을 거예요. 여러 명이 말하더군요. 삶은 고통이라고. 그래도 누군가 삶을 같이 위로할 때, 고통만은 아닐 거라고 믿습니다. 당신을, 나를 위로할게요.      

매거진의 이전글 20. 아직 흔들리는 중입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