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eah Oct 23. 2018

7가지 키워드로 알아보는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

Take-aways from San Francisco Blockchain Week

지난 5일부터 12일까지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SFBW)가 열렸다. 블록체인 위크란 전 세계 주요 도시에서 열리는 프로젝트, 개발자, 투자자들의 포럼이다. 지난 7월에는 한국에서, 9월에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바 있다.


메인 스테이지에서 열리는 여러 세션, 패널 토론 외에도 프로젝트와 기관에서 단독 행사를 열기도 한다. 이번 샌프란시스코 주간에 개최된 모든 행사는 이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San Francisco Blockchain Week 2018 by Hashed


Sean Pavone, iStockphoto

이번 블록체인 위크에서의 ‘핫 키워드’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전통 투자 대가들의 암호화폐 투자


거래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ICO 투자액이 전년 대비 90% 이상 감소한 데 비해[1], 전통 투자 대가들의 유입과 크립토 헤지 펀드의 출현이 늘어나고 있다[2].


얼마 전 예일대학교 기금을 운영 관리하는 데이빗 스웬슨(David Swensen)이 크립토 펀드 안데르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와 크립토 헤지 펀드 패러다임(Paradigm)에 투자한 뉴스가 연일 화제다. 스웬슨은 1985년 약 1조 원의 기금으로 시작해 현재 33조 원가량으로 성장시켜 “예일대의 워런 버핏”이라고도 불린다. 이어 하버드, 스탠퍼드, MIT 등에서도 뒤따라 암호화폐 펀드에 투자했다[3].


지난 15일에는 애플의 공동 창업자 스티브 워즈니악(Steve Wozniak)이 블록체인 벤처 캐피털 EQUI Global을 공동 창립했다[4]. EquiToken을 이용해 비기관 투자자의 투자 또한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 가운데 이번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에 트위터, 우버 등에 투자한 나발 라비칸(Naval Ravikant)이 주요 연사로 참석했다. 나발은 크립토키티, 코빗 외에도 스토리지를 임대해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치아 네트워크(Chia Network),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Vault12 등에도 투자한 바 있다.


전 세계의 크립토 벤처 캐피탈 유명 인사들이 한 자리에 모인 세션도 있다. 에어비앤비, 슬랙, 드롭박스 등에 투자한 리팩터 캐피탈(Refactor Capital)의 데이빗 리(David Lee), XRP 캐피탈마이클 애링턴(Michael Arrington), 해시드알렉스 신(Alex Shin) 등이다. 이들은 글로벌 시장을 보는 관점과 대륙별 블록체인 발전 양상의 특징에 대해 이야기했다.


Alex speaking at Block72 meetup



시큐리티 토큰(Security Token)


시큐리티 토큰이란 투자 계약으로 구성된 토큰을 말하는데, 이렇게 증권형 상품으로 취급될 수 있는 토큰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정책 방향이 결정되지 않았다. 얼마 전 미국 의회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유틸리티 토큰과 시큐리티 토큰을 구분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의 제시를 요구한 바 있다[5]. 많은 암호화폐에서 유저가 기여를 하면 보상을 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의 설립이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에서는 유틸리티 토큰과 시큐리티 토큰을 비교 대결하는 세션부터, 이더리움 발행 기준 ERC1404를 소개하는 세션이 준비되어 있었다. ERC1404란 증권형 상품인 시큐리티 토큰의 특성을 반영해, 기존 토큰과 다르게 자유로운 송금에 제한을 둔 새로운 이더리움 발행 기준이다.


이번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앞으로 나올 대부분의 플랫폼 코인이 시큐리티로 분류될 수도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정 사업의 성과에 따라 보상을 제공받는 방식으로 손익이 결정되기 때문이 주된 이유로 보인다.


반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시큐리티가 아닌 유틸리티 토큰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SEC의 고문 변호사(Senior Counsel) 재커리 팰론(Zachary Fallon)은 “비트코인은 투자 기회가 없었으며, 오직 네트워크의 보안을 담당하던 채굴자만 비트코인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하위 테스트를 통과하지 않는다(증권이 아니다)”라고 말했다[6]. 앞선 6월 SEC의 법인 재정 디렉터 윌리엄 힐만(William Hinman) 또한 이더리움은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현재의 거래, 탈중앙화 수준을 보면 증권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7].


참고
1) 자본시장법 상 금융투자상품이란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회피할 목적으로 현재 또는 장래의 특정 시점에 금전, 그 밖의 재산적 가치가 있는 것을 지급하기로 약정함으로써 취득하는 권리로서, 그 권리를 취득하기 위하여 지급하였거나 지급하여야 할 금전등의 총액이 그 권리로부터 회수하였거나 회수할 수 있는 금전등의 총액을 초과하게 될 위험(투자성)이 있는 것”
2) 자본시장법 상 투자계약증권이란 “그 투자자와 타인 간의 공동사업에 금전등을 투자하고 주로 타인이 수행한 공동사업의 결과에 따른 손익을 귀속받는 계약상의 권리가 표시된 것”




시공간 증명(Proof of Space and Time)


퍼블릭 블록체인 중 스페이스메시 등의 시공간 증명은 이번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작업 증명(PoW), 지분 증명(PoS)에 이어 새로운 합의 방식이다. 대표적으로 비트코인이 채택하고 있는 작업 증명 방식은 블록 생성 권한을 부여하고 보안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채굴’ 과정에서 과도한 전력을 낭비해 비판의 대상이었다[10].


반면 시공간 증명은 기기의 잉여 저장 공간(storage)을 블록체인에 임대해 주는 방식으로 블록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저장 공간을 얼마나 오래 임대했느냐에 따라 생성 권한이 부여된다. 저장의 증명은 현재 스페이스메시와 치아 네트워크, 파일코인 등이 사용하고 있다.




블록체인 방향성에 대한 고민

투기심리 완화로 거래량이 감소하는 가운데 블록체인 업계는 문제점을 찾아 해결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듯하다.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에서는 블록체인으로 전 세계 형평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민주주의에의 적용은 어떻게 될 지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또한 디앱, 새로운 합의 방식(consensus)이나 사용되고 있는 기술의 개선 제안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디앱(dApp)


디앱 순위 사이트인 댑레이더에 따르면 이더리움과 이오스 상위권 디앱은 대부분 도박, 게임, 거래소에 집중되어 있다. 바이낸스 랩스 CEO 엘라 장(Ella Zhang)은 “암호화폐 산업은 실제 사례를 통해 대중에게 다가가야 한다”며 “현재 산업이 겪고 있는 문제들을 블록체인을 활용해 해결하는 실제 사용 예시를 찾으려고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8].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에서는 이더리움 파운데이션 소속이었던 존 최(Jon Choi)를 비롯하여 ‘블록체인이 콘텐츠 제작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가’, ‘디앱이란 무엇인가’ 등의 세션이 진행됐다.



퍼블릭 블록체인


우리나라에도 널리 알려진 쿼크체인(Quarkchain), 질리카(Zilliqa) 외에도 스페이스메시(Spacemesh), 솔라나(Solana), 코다 프로토콜(Coda Protocol), 클레이튼(Klaytn) 등이 소개됐다. 특히 클레이튼은 해시드가 파트너로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는 카카오의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컨소시엄과 퍼블릭 노드의 장점을 활용해 블록체인의 고질적인 속도 문제에 도전한다. 이번 샌프란시스코 블록체인 위크에서 첫 개발자 밋업을 개최해 클레이튼의 비전, 기술, 프라이빗 테스트넷 론칭 소식을 전했다.


Hello, Klaytn in SF



정보 보호 기술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인터넷 서버-클라이언트 모델과 다르게 누구나 거래 내역을 조회해 볼 수 있다. 때문에 공개를 원하지 않는 일부 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고, 2016년 제트캐시(Zcash)의 등장으로 zk-SNARK가 널리 알려졌다.


zk-SNARK란 간결하고, 비 상호작용적인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Succinct, Non-interactive ARgument of Knowledge)의 약자다. 간단히 말하자면, 상대방에게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정보를 노출하지 않으면서도 해당 정보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블록 전파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오아시스 랩스(Oasis Labs)의 돈 송(Dawn Song)은 첫째 날 메인 스테이지에서 zk-SNARK를 이용한 ‘확장 가능한 프라이버시 보호 스마트 컨트랙트’를 발표하며 블록체인 위크를 열었다. 코다 프로토콜, 이더리움 또한 zk-SNARK를 기반으로 한 레이어2의 확장 및 개인 정보 보호의 도입을 알린 바 있다[9].



레이어2 솔루션


이더리움의 zk-SNARK 기반 레이어2 확장과 더불어 추가 레이어를 활용하는 세션들도 눈에 띄었다. 블록체인의 느린 속도를 해결하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로 레이어2를 사용한다. 트랜잭션을 주로 처리하는 레이어를 분리하고, 이를 요약한 값만 블록에 저장하는 식이다. Liquidity Network는 이중 지출(double-spending)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 레이어를 사용한다. 기존의 지불 채널 시스템을 개선해 2명 이상의 여러 참여자가 저렴한 수수료로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Hashed at San Francisco Blockchain Week.





면책조항. 이 글은 매우 개인적인 의견을 담고 있으며, 해시드의 철학이나 다른 멤버들의 생각과 다를 수 있습니다. 글을 올리기 전에 최대한 내용을 신중하게 검토하지만, 읽는 이는 항상 정보를 주체적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이 글에서 제공하는 정보의 이용 또는 비이용으로 인한 피해, 또는 부정확하거나 불완전한 정보 이용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인용한 내용에 대해서는 미주에 출처를 표기하며, 별도 출처 표기가 없는 이미지는 저자를 포함한 해시드가 직접 제작한 것입니다. 잘못된 내용에 대한 지적과 다양한 피드백을 환영합니다.



References

[1] Helms, K. (2018, October 9). ICO Activity Down 90% This Year, Research Shows. Retrieved from https://news.bitcoin.com/ico-activity-down/

[2] Mizrahi, A. (2018, October 15). Research: 1 of 5 New Hedge Funds in 2018 Is a Crypto Fund. Retrieved from https://news.bitcoin.com/research-1-out-of-5-hedge-funds-launched-this-year-is-a-crypto-fund/

[3] Victor, J. (2018, October 10). Harvard, Stanford, MIT Endowments Invest in Crypto Funds. Retrieved from https://www.theinformation.com/articles/harvard-stanford-mit-endowments-invest-in-crypto-funds

[4] Partz, H. (2018, October 15). Apple’s Steve Wozniak Co-Founds Blockchain-Focused Venture Capital Fund. Retrieved from https://cointelegraph.com/news/apples-steve-wozniak-co-founds-blockchain-focused-venture-capital-fund

[5] 김지윤. (2018, October 1). 미 국회의원들 “ICO를 투자 계약이라고 봐야 하나요?” Retrieved from https://blockinpress.com/archives/9362?fbclid=IwAR3b7Kdnn7q4YYBPVfszGg8nvK5NKPyv3U6YoS50NWiZZaJqvfrHfUSB86E

[6] Mearian, L. (2018, June 14). SEC official says Ethereum is not a security, freeing it from oversight. Retrieved from https://www.computerworld.com/article/3269875/blockchain/sec-decision-on-ethereum-cryptocurrency-could-affect-others-funded-by-icos.html

[7] Hinman, W. (2018, June 14). Digital Asset Transactions: When Howey Met Gary (Plastic). Retrieved from https://www.sec.gov/news/speech/speech-hinman-061418

[8] PR: Contentos Announces investment from Binance Labs. (2018, October 3). Retrieved from https://news.bitcoin.com/pr-contentos-announces-investment-from-binance-labs/

[9] josojo. (2018, September 15). Plasma snapp — fully verified plasma chian. Retrieved from https://ethresear.ch/t/plasma-snapp-fully-verified-plasma-chain/3391

[10] Proofs of Space Time ASICs. (2018, June 18). Retrieved from https://spacemesh.io/post-asic/



작가의 이전글 지속가능한 한국 채굴형 거래소를 위하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