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꾸이란 Oct 24. 2021

K-pop 온라인 콘서트 ②

팬데믹 이후 K-pop 콘서트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사진 출처: Freepik


온라인 콘서트는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많은 이점을 사이버 공간의 특징과 공유한다. 


먼저, 시공간적 제약이 없다. 사이버 공간은 언제, 어디라도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한 사람들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의 접근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최근의 K-pop은 글로벌 팬덤을 중심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특정한 국가적, 문화적 바운더리 안에만 존재하지 않는다. 온라인 공간이 아니고서야 이들을 하나의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는 방법은 마땅히 없다. 따라서, 시공간적 제약의 부재는 해외 팬들의 접근성을 크게 높여 이들의 참여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가격적 이점이 있다. 생산자들은 전체적인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물론 온라인 콘서트도 서버 이용료, 인프라 구축을 위한 초기 투자 비용 등 추가적인 비용 소비가 있다. 이를 감안하더라도 현장 공간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 운영 비용과 이동을 위한 비용이 현저히 낮아지고, 오프라인 콘서트와 달리 티켓 판매 수량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수익성을 상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오프라인 콘서트보다 저렴한 가격에 온라인 콘서트를 소비할 수 있다. 오프라인 콘서트는 그 특성상 재생산이 어렵고 표준화가 불가해 자연스럽게 티켓 가격이 높게 책정될 수밖에 없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몇 십만 원에도 거래되는 티켓들은 소비자들에게 당연히 하나의 장벽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온라인 콘서트의 경우에는 순수한 티켓 가격만 비교했을 때 훨씬 합리적인 선에서 판매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즉각적인 소통이 가능하다. 정보 통신의 발달과 함께 가히 초연결 시대라고 부를 정도로 사람들은 인터넷 공간에서 즉각적인 소통을 할 수 있게 됐다. 온라인 콘서트에서 사람들은 다른 팬들과 직접 소통하며 진행 중인 콘서트에 대한 감상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콘서트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팬들은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이러한 즉각적인 소통을 더욱 극대화한다.


하지만, 사실 이러한 온라인 매체적 특성만으로는 온라인 콘서트가 팬데믹 이후에도 지속될지는 불투명하다. 즉, 오프라인 콘서트가 가능한 상황이라면 "굳이" 온라인 콘서트를 무리해서 개최할 이유가 두드러지지 않는다. 그렇다면 K-pop은 어떻게 온라인 콘서트 만이 갖는 효용성을 효과적으로 살릴 수 있었을까?


③에서 계속

작가의 이전글 팬데믹과 함께하는 학생의 삶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