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론테처럼 Feb 07. 2022

바비 인형보다 책을 더 좋아했던 여자아이

글로 밥 벌어먹는 삶의 시작

나의 직장 생활은 변화의 연속이었다. 인턴 기자, 논술 강사, 교육 프로그램 연구원, 첨삭 전문가, 출판 편집자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직업들을 하나도 묶을 수 있는 말이 무엇일까 한참을 고민해 왔다. 한마디로 나를 정의하자면 나는 ‘글로 밥 벌어먹는 사람’이다.


어린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나에겐  ‘ 있었다. 사실  기억은 나지 않지만, 부모님의 말씀을 빌리자면 나는  책과 함께하며 성장해 왔다. 어린 시절, 경기도에 살았던 나는 엄마 손에 이끌려 기차를 타고 서울에 있는 광화문 교보문고에 자주 갔다고 한다. 앨범에서도 교보문고에서 혹은  박람회에서 책에 집중하고 있는  모습을 종종   있었다.      


심지어는 이런 일도 있었다. 초등학교 1학년 때에 담임 선생님이 엄마를 호출하신 적이 있었다고 한다. 쉬는 시간에 학급문고의 책을 읽다가 책에 너무 빠져들어서 수업 시간까지 그 책을 읽었던 게 화근이었다. 선생님이 주의를 주었는데도 그때뿐, 다시 읽던 책에 빠져들어 읽었던 어린이였다고 한다. 엄마가 학교에 온 것과 나에게 주의를 준 것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그때 읽었던 책이 <장화 신은 고양이>와 <눈의 여왕>이었던 것은 선명하게 기억이 난다.      


초등학교 3학년 때에는 만화로 된 세계명작동화 전집을 사달라고 부모님께 졸랐던 기억이 난다. 가정통신문에 적혀 있는 책의 권수가 20권이 넘는 것을 보고 어떤 작품들인지도 모르는 그 책들을 읽고 싶다는 욕구와 희망에 부풀어 부모님을 졸라서 전집을 득템할 수 있었다. 그때 나는 <죄와 벌>, <노인과 바다>, <대지> 그리고 <폭풍의 언덕>을 만화로 먼저 읽었다. 주인공이 어떤 감정을 갖고 그러한 행동을 했는지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때로는 히스클리프의 광기에 슬픔을 느끼기도 했고, 노인의 처절한 사투에 무서움을 느끼기도 했다.     


책을 많이 읽었던 유년 시절 속, 내 이름을 단 첫 번째 책은 6학년 때 출간되었다. 그것은 바로 내가 편집위원으로 참여했던 수학여행 안내 책자였다. 6학년 전교생을 위해 만들어진 안내 책자에는 수학여행을 가게 될 공주와 부여의 유적지와 유물에 대한 정보, 관광 코스에 대한 세밀한 일정을 담고 있었다. 안내 책자 편집위원 경험을 토대로 학급문집을 만드는 데도 참여했던 기억이 난다. 본가에 고스란히 남겨진 30여 권의 일기장을 포함한 이 기록물들은 글쓰기의 자양분이 되었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고등학교 시절까지 친구와 함께 나누었던 교환일기와 주고받았던 편지들 또한 글쓰기를 떼려야 뗄 수 없는 자연스러운 행위로 만들어 주었다.    

  



한 권에 300원 하던 만화책을 빌려 읽었던 중학교 시절을 지나 고등학교 시절에는 기숙사와 독서실에서 해리포터 전집을 친구들과 돌려 보았던 기억이 있다. 국어 영역 고득점을 위해 읽었던 한국문학 작품들은 참 재미가 없었다. 청소년 시기에는 어떤 책이든, 어떤 글이든 나에게 흥미를 느껴야지만 곁에 두었다.     


학부 시절에는 자발적인 흥미로 책을 읽을 시간은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영어영문학을 전공하고, 국어국문학을 복수 전공하다 보니 매일 읽어야 할 작품들이 정말 많았고, 수업 시간마다 작품을 읽고 원페이퍼 에세이를 쓰는 경우가 많았다. 대신 쓰고 싶은 글들을 많이 썼던 시기이기도 했다. 영화 리뷰와 일기뿐 아니라 기자를 준비하면서 ‘쓰기’와 관련된 다양한 대외활동을 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내 인생에서 가장 빛났던 시기였다는 생각을 한다. 이러한 쓰기 경험을 바탕으로 한 주간지의 인턴 기자로 활동하면서 수많은 보도자료를 접하며 매주 5편의 프리뷰 기사를 쓰기도 했다.  




이처럼 어린 시절부터 학부 시절까지 쌓아온 다양한 독서와 글쓰기 경험들은 ‘활자’를 다른 사람들보다 친밀하게 여기는 성향을 가진, ‘글로 밥 벌어먹는 사람’이 되게 해 주었다. ‘쓰는 행위’ 자체에 두려움 대신 편안함을 갖게 했고, ‘읽는 행위’ 속에서 터득한 다양한 어휘들을 통해 누군가의 글을 매끄럽게 고치는 능력을 갖게 해 주었다.


‘글로 밥 벌어먹는 사람’이 되려면 읽고 쓰기는 기본이다. 당신이 ‘활자 밥벌이’에 관심이 있다면, 일주일에 2-3번은 책을 읽고, 매일 SNS에라도 한 문장이라도 쓰길 권한다. 나 역시도 언어의 무한한 한계를 느껴 여전히 책을 읽고, 쓰면 퇴고하는 과정을 수없이 거친다. 읽고 쓰는 것들이 쌓이고 쌓이다 보면 당신에게 스며들어 글로 밥 벌어먹는 삶의 시작이 되어줄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자소서에서 빼고 넣어야 할 것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