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교실남 Nov 13. 2023

수업시간에 제발 좀 떠들어주세요!

매주 토요일 오전, 우리 학교에서는 주말한글학교가 운영이 된다. 한글학교의 주목적은 한국 국적의 아이들에게 한국문화를 경험하게 하고 한글을 가르치는 것이다. 주말한글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대부분은 6~13세의 한국 국적을 가진 다문화 가정 학생으로, 재중이다 보니 부모님 중 한 분이 중국인인 경우가 많다.


한글학교의 반은 수준별로 구분되며 총 5개로 나뉜다. 오로지 한글 실력으로  반을 나누기 때문에, 나이는 고려되지 않는다. 때문에 우리 반처럼 5학년 아이와 7살 아이가 한 반에 있는 경우도 있다.


내가 운영하는 반은 한국어 실력이 제일 좋은 아이들이 모인 반이다. 기본적인 한국어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초1학년 수준 이상의 문장 쓰기와 언어구사능력이 가능하다. 반이 수준별로 나뉘었다고는 하지만 반 안에서도 개인차가 있다. 어떤 아이는 초등학교 1학년 수준인 반면, 어떤 아이는 4~5학년 수준인 아이도 있다. 기본적인 한국어 소통만 된다 뿐이지, 아이들 실력이 다 제각각이기에 개인별 학습 수준에 맞추기가 힘들 때가 많다. 다행히 우리 학교의 경우 아이들 한 명 당 고등학생 봉사선생님 한 분이 배치되어서 부분적으로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 반은 전체 수업 수준을 2~3학년 수준으로 유지하되, 봉사 선생님이 아이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거나 심화하는 형태로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한글학교의 아이들은 나이, 학습 수준뿐만 아니라 주중에 다니는 학교도 다 제각각이다. 어떤 아이는 중국 로컬학교를, 어떤 아이는 캐나다 학교를, 또 어떤 아이는 한국국제학교를 다니는 등 한 반에 다양한 학교 출신 아이들이 모여 있다. 때문에 작년에 같은 한글학교 반을 하지 않은 이상, 서로 얼굴을 모르는 경우도 있다.


아이들을 한 번이라도 가르쳐본 분들은 이해하실 거다. 7살에서 12살까지 나이와 학습 수준, 특성이 다른 아이들을 모아놓고 수업을 하는 게 얼마나 힘들다는 것을. 무엇보다 한 번도 저학년 담임을 해본 적이 없는 나는 7~9세 저학년 아이들을 대하는 것이 너무 어려웠다.


보통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주기는 학습자의 나이에서 2분을 더하거나 뺀 것과 같다. 예를 들어 7살 아이의 경우 주의집중력 주기는 5~9분이다. 특히 우리 반의 저학년 아이들은 5~6분에 한 번씩 집중력을 잃고 수업을 방해했다. 배고프다고 수업 방해, 한글 공부가 지루하다고 방해, 잠 온다고 수업 방해, 수업이 너무 재미있다고 수업 방해, 자기만 발표 안 시켜준다고 수업 방해, 옆에 봉사 선생님이 마음에 안 든다고 수업 방해... 무엇보다 문제는 이 5~6분의 주기가 아이들마다 동일한 것이 아니라, 번갈아 나타난다는 것이었다. 어느 순간부터 고학년 아이들의 수업 태도도 저학년 아이들에게 전염되었다. 때문에 우리 교실은 언제나 개판 오 분 전이었다. 교실은 엉망인데 진도는 나가야 했고, 아이들을 달래고 달래 가며 겨우 수업을 이끌어갔다. 수업이 끝나고 나면, 그날도 어김없이 나와 봉사 선생님들은 오후에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방전이 되었다. 그 황금 같은 토요일에 말이다... 대책이 필요했다!


사실 이 사달이 난 것에는 교사인 내 책임이 컸다. 아이들과 적당한 거리를 둬야 하는데 초반부터 너무 친해졌다. 초장에 수업시간에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명확히 하면서 수업 분위기를 잡아야 하는데 친해지고 싶다는 이유로, 수업을 재미있게 하고 싶다는 이유로 많은 것들을 허용해 준 탓이 컸다. 하지만 이제 와서 수업 분위기를 위해 이미 친해진 아이들과 다시 거리를 두는 것도 애매했다. 오히려 역효과만 날 것 같았다.


"어떻게 하면 이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까?"


문제상황을 180도 돌리고, 뒤집으면서 한참을 고민하다, 갑자기 아이디어가 하나 떠올랐다.

'수업 시간에 아이들에게 조용히 하라고 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떠들어달라고 하는 건 어떨까?'


다음날 토요일, 한글학교 수업이 시작되었다.

"얘들아, 오늘은 선생님이 수업 방식을 바꿔보려고 해. 여기 앞에 스톱워치 보이지? 스톱워치에 나와있는 35분의 시간 동안 너희들이 떠들지 않고 조용히 수업을 잘 듣는다면, 수업을 끝내고 바로 쉬는 시간을 줄게. 근데 수업 중간에 한 명이라도 떠드는 사람이 있으면 1분씩 스톱워치의 시간을 추가하는 걸로 하자. 어때?"


공부 시간의 경우 아이들이 딜을 할 것이 뻔했기에, 일부러 35분이라고 높게 말했다. 아니나 다를까, 한 아이가 내 제안에 이의를 제기했다.


"선생님, 재미있을 거 같아요. 근데 35분은 너무 길어요. 25분으로 하면 안 돼요?"

"맞아요. 선생님, 너무 길어요. 25분으로 해요."


"음... 그러면 28분은 어때? 이 정도면 선생님이 엄청 양보한 거다?"


"네! 아싸!!! 얘들아 28분만 집중해 보자! 28분만 견디면 우리 쉬는 시간이야. 파이팅!"


(28분의 시간에 만족한 아이들)


그렇게 아이들과 나의 내기가 시작되었다. 수업이 시작된 지 10분. 아이들을 보고 봉사 선생님들의 눈이 휘둥그레졌다. 이전과 다르게 너무나도 아이들의 수업태도가 좋아졌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발표는 물론 평소에 싫어하던 받아쓰기도 열심히 해내고 있었다.


흐트러진 주의를 바로잡기 위해 3~4분에 한 번씩 아이들에게 일부러 말했다.

"얘들아, 제발 떠들어줘~~~ 수업 시간이 부족하잖아. 제발 떠들어주렴. 선생님이 이뻐해 줄게."


"안 돼요. 열심히 할 거예요. 얘들아, 선생님한테 속지 마.(그럴수록 더 열심히 하는 아이들)"


하지만 습관은 하루아침에 바뀌기는 힘든 법. 중간중간 살짝 떠들거나 수업 방해를 하는 행동을 보이는 학생이 있으면 1분씩 추가를 했다. 결국 28분으로 시작한 수업은 40분 중 38분을 채우고서야 끝나고 말았다. 놀라운 것은 이 와중에도 아이들이 성취감을 느꼈다는 것이다.

"얘들아, 고생했어. 선생님한테 안 속았어."

"와... 겨우 일찍 끝냈네. 그래도 잘했다."


더 놀라운 것은 평소보다 1.5배 이상 교재 진도를 나간 것이다. 누구 하나 수업 방해하는 사람 없이, 모두가 높은 주의집중력을 유지했기에 가능한 수치였다.



선생님이 아이들이 떠들 것을 권유(?)하는 얼핏 보기에 괴상한 이 수업... 한 달 전 가능성을 확인한 뒤, 지금까지도 계속 이 수업 방식을 유지하고 있다.

"제발 떠들어주세요."

"떠들어줘서 고마워. 1분 추가^^"

"수업 시간에 제발 장난 쳐주렴."


여전히 아이들은 높은 주의집중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결과는 대성공!


열심히 공부하는 주말한글학교 아이들의 모습


매거진의 이전글 아이가 똑똑해진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