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늘 Feb 23. 2024

글은 어떻게 삶이 되는가 김종원


글은 어떻게 삶이 되는가 김종원     

2022년 김종원 작가는 11권의 책을 냈다. 1년에 11권의 책이라니 쉬지 않고 쓰는 글쟁이라 할 수 있겠다. 독자 입장에서는 작가의 책을 사서 읽고 있는데 신간이 또 나오니 독자가 글을 읽는 속도 보다 작가가 쓰는 속도가 더 빠르다 할수 있겠다. 김종원 작가는 어떻게 그렇게 많은 글을 쓸 수 있는 걸까? “순식간에 당신의 글쓰기 능력을 높이는 비밀”을 이 책에서 알려준다.     


“아는 만큼 보이지만 

보는 만큼 알게 되며

그래서 보는 능력이 

곧 쓰는 능력을 결정한다.”     


 보는 만큼 알게 된다는 것의 본질은 보는 안목을 기르라는 것이다. 1분 1초도 그냥 스치지 말고 더 가까이 다가가서 더 깊이 보라는 말이다. 보라는 것은 나만의 깊은 사색을 넣어서 보는 것이다. 글을 쓸 때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려는 마음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 글을 쓴다면 독자는 진심을 알아보게 된다. 쓰는 사람은 독자에게 자신의 지식이 아닌 자신만의 시각을 선물해야 한다. 나를 대면하고 나 자신의 언어로 삶을 살아내는 것이다. 일상에서 일어나는 상황의 순간을 나만의 시선으로 깊이 바라보며 사색을 한다. 시를 쓸 때도 오래 바라봐야 그 대상이 사랑스러워지는 것처럼 나만의 속도와 나만의 방식으로 저장된 장면을 간직하고 그들 중 가장 빛나는 것을 골라 시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삶을 관대하게 바라보면 타인의 삶을 들여다 볼 수 있다.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것이지만 귀한 것을 가려내어 나의 시선을 가지는 것이 글을 잘 쓰는 방법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더러는 매일 글쓰기를 다짐했다가 세월만 흐르고 글을 쓰지 못할 때도 있는데, 그 또한 괜찮다. 나만의 속도로 글을 써나가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김종원 작가는 “세상에 글을 쓰지 않는 사람은 없다. 쓰거나, 쓸 준비를 하고 있으니까.” 라 했다. 글을 쓰지 않는 순간도 글을 쓰기 위한 준비의 시간이라 생각해 보면 어떨까. 글이 안 써질 때는 보는 안목을 기르는 것이다. 여행을 가면 내가 보아야 할 것은 무엇인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만한 어떠한 것을 얻을 수 있는지 관심을 가지고 글 쓰는 준비를 해보자. 단순한 자료나 정보만을 요약한 글이 아니라 누구를 위해 글을 쓸 것인지 초점을 맞추고 사랑하는 마음을 담아 쓴다. 즉 누군가 필요로 하는 글은 반드시 그에게 도움이 되는 글이다. 그 마음이 사랑이며 그 마음을 주기 위해 글을 쓴다. 세상은 다양한 사람이 존재하기에 완벽한 글도 없고 내 글이 완벽하기를 바라지 말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글은 읽는 사람이 편안해지고 기분이 좋아질 뿐 아니라 자신을 성장시키는 글이 된다. “어떤 가치가 있는지 찾아내고, 더 나은 형태로 바꾸고, 나만의 언어로 표현한다.” 내가 쓴 글은 나의 스타일 대로 나오는 것이지만 결국 타인을 위해 쓰게 되고 동시에 나를 위해 쓰게 된다. 그러므로 글쓰기는 나를 성장시키는 것이 된다. 모든 독자를 만족시킬 수 없지만 단 한 명에게 도움이 된다면 그것이야말로 내가 글을 써야 할 이유가 된다.

 김종원 작가는 강조한다. 도움을 주려는 마음을 가진자는 글을 쓰며 두 가지를 얻을 수 있다. 하나는 세상에 아름다운 것을 전했다는 기쁨이고 나머지 하나는 아름다운 것을 전할 수 있을 정도로 수준이 높아진 자신의 내면을 만날 수 있다는 행복이다. 자 이제, 글 쓰는 능력을 더 성장시키기 위해 사랑하는 마음으로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글을 전하고 성장한 내면을 만나러 펜을 들어보자. (1247)

작가의 이전글 파도를 보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