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anghoon Kim Jun 02. 2020

알리바바의 직급체계를 알아보자

기준을 잡아 드립니다 밑줄 쫙

최근 중국 기업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많아졌다. 해외 기업들이 대부분 마찬가지이지만 정보가 충분하지 않고 한국처럼 과장 부장 같은 직급이 아니라 회사마다 암호 같은 표기로 직급 레벨을 표현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면접을 본다거나 오퍼를 받을 때 해당 직급이 어느 정도 레벨인지 알기가 쉽지 않다.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감을 잡을 수 있도록 알리바바 직급체계를 기준으로 어떻게 직급의 높낮이를 체크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전문가(Professional)와 매니지먼트(Management) 

일단 크게는 전문가와 매니지먼트 투 트랙으로 분류된다. 전문가는 말 그대로 특정 직군의 스페셜리스트가 선택하는 트랙이고 매니지먼트는 관리자/경영 쪽으로 성장할 경우에 선택하게 된다. 외국인의 경우 임원급을 제외하고 대부분 P트랙을 선택하게 된다.


알리바바의 직급 체계


표기방식은 트랙 알파벳 첫 글자와 숫자를 조합하여 P5, M5 같은 형식으로 표현한다. 숫자가 높을수록 높은 직급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위 이미지에서 굵게 표현된 부분, 즉 P5~P10, M3~M8까지가 주요 직군 분포라고 이해하면 된다. M9는 总裁(총재) 레벨로 거의 계열사 CEO 정도의 높은 직급이다. 대학을 갓 졸업한 주니어 디자이너의 경우는 대부분 P5로 시작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P6은 시니어 디자이너, P7부터 디자인 전문가라는 타이틀이 쓰인다. 직급의 높낮이를 굳이 비교한다면 위의 이미지처럼 P6M1이 대응하여 같은 레벨로 보면 된다.


디렉터 레벨이 몇부터 시작하는지 확인하자 밑줄 쫙

알리바바 기준으로 P9/M4가 总监,즉 디렉터의 권한을 가진 직급이다. 면접이나 오퍼 협상 시, 디렉터가 어떤 숫자인지를 파악하고 기준으로 보면 기준을 잡기 쉽다. 알리바바 기준 P7부터는 시니어 전문가 레벨이므로 높은 직급에 속한다. 디렉터 전 단계인 P8/M3부터는 거의 디렉터의 업무를 한다고 봐도 무방한데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면 P9/M4부터는 팀 예산을 직접 관리하게 된다. 즉 업무에 필요한 예산부터 팀원 보너스 및 주식 등을 직접 관리하게 되는 것이다. 2014-2015년의 경우는 이 권한이 P8에게도 오픈되어 연봉 테이블, 스톡옵션 분배 등 다양한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었다. 텐센트, 넷이즈 등 다른 중국 회사는 체계 자체는 비슷하지만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다. T3-2, T3-3, M2-2 등으로 표시한다.


 

이상으로 알리바바의 직급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았다. 중국 회사와 협상 시에 조금이나마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다. 다음 시간에는 알리바바의 연봉체계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작가의 이전글 알리바바를 초토화시킨 메신저 딩딩 DING TALK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