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alf Sep 01. 2022

게으른 배움

9월 1일

젠장, 일기 쓰기 습관을 기르겠다 어제 다짐했는데 벌써 귀찮다고? 너도 대단하다. 후딱 써버려 30분 만에.


    9월 1일 개강. 이제 학부에 다닌 지 벌써 6학기가 됐고, 제법 과목들에서 전문적인 냄새가 나기 시작한다. 다른 친구의 말에 따르면 타 단과대 OT는 강의계획서를 한번 읽어주고 끝난 대지만, 물리학과는 어림도 없다. 교수님들은 첫 수업을 대게 수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학을 가르쳐주거나, 아니면 듣는 과목의 과학사적 맥락을 설명해주신다. 물리학과에 재학하면서 아무 교수나 수업할 수 있는 수업은 이미 다 들었다. 말하자면 역학, 전자기학 같은 과목 말이다. 가장 기초 학문들은 자신의 전공에 무관히 교수님들이 쉬이 설명하실 수 있다. 하지만 핵물리학, 일반 상대론처럼 제법 머리가 큰 과목들은 자신의 연구분야가 아니면 수업하기 부담스럽다. 교수가 돼보진 않았지만, 수업하시는 교수님의 연구는 대게 가르치는 과목에 뿌리를 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그런지 고학년 과목일수록 수업에는 수십 년을 통해 길러온 직관과 잠깐 엿보이는 교수님의 젊은 열정이 느껴진다.

    우리나라 과학 교육의 문제 중 하나는 중요한 과학 지식을 너무 맥락 없이 배울 수 없는 환경이라는 것이다. 선생에게 교수의 혜안을 바라는 것은 문제이지만, 과외를 하다가도 열불이 뻗힐 때가 많다. 맥락은 과학사에 놓여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당대 과학자들의 치열한 고민과 수준 높은 담론에서 기인한다. 지식은 중요하지만, 암기할 필요는 없다. 인터넷에 세상이 담겨있는데 왜 이상기체 방정식을 알아야 한단 말인가? 오늘 '열과 통계물리' 때 나는 적지 않은 충격을 받았다. '줄의 일당량', '카르노 기관', '깁스의 자유에너지', '캘빈(절대온도 단위)' 등 어디서 본 듯한 이름들이 한 지붕 아래 있다는 사실은 교육과정이 얼마나 압축적인지 깨닫게 하였다. 교육부와 과학부(이런 말은 없겠지만)가 어디까지 가르쳐야 하나 투닥거리다가 "그래, 내가 졌어. 아주 얕게 배워도 괜찮으니 제발 우리 아이들이 깁스라는 이름을 들어보게 해 줘."라고 애원하는 과학부가 생각났다. 압력, 부피를 왜 물리에서 배워야 하는지, 통계물리가 어째서 매력적인 학문인지 오늘 교수님의 직관을 들으면서 내가 여태 얼마나 게을리 학습했는지 깨달았다. 압축의 피해자, 내지는 가해자였다. 당시에는 아마 그것이 최선이었을 것이다. 고등학생이 뭘 알겠는가. 그럼에도 비판적인 사고가 아닌 납득과 암기의 영역으로 접근한 내 자신이 부끄러웠다. 말하자면 너무 쉽게 배웠달까. 19년도 콜로퀴움 때 다른 교수님이 한 말씀이 기억나는 밤이다. "모르죠. 지금은 잘 이해할 수도 없는 초끈이론이 20년 뒤에는 고등학생 교과서에 있을 수도 있죠."


    다른 이야기. 일기가 너무 내가 했던 생각/말 중심으로 전개되는 것이 고민이다. 나에게 소중한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기억하고 싶어 쓰게 된 일기인데, 막상 집에 돌아오는 길에 되돌아보면 언제나 장면 주인공은 고정되어 있다. 어떻게 하면 남의 말을 더 잘 기억할 수 있을까. 애인 사이나 친구 사이 대화를 기억하려 하는 노력이 본질을 가릴까 봐 더 적극적인 노력을 못하기도 한다. 뭐 쓰다 보면 기억력이 좋아지길 바라며, 굿나잇. 

작가의 이전글 삶의 엔트로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