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eokc Mar 09. 2022

'잡았다, 네가 술래야' 1

책을 읽기 전에_성격장애 이해하기

책 '잡았다 네가 술래야'는 경계성 성격장애를 가진 사람에게 영향을 받는 사람을 위한 책이다. '경계성 성격장애'라는 것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그런 성향을 가진 사람과의 관계에서 생겨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두 사람이 공동 저자인데, 폴 T. 메이슨은 미국 위스콘신 주의 카운슬러로 10년 이상 경계성 성격 장애가 있는 사람과 그 가족들을 치료해왔다. 랜디 크리거는 경계성 성격 장애가 있는 남자친구를 만난 후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여러 사례를 수집했고, 경계성 성격 장애자와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 직접 사이트를 만들고 이메일 토론 그룹도 운영하고 있다. 국내 번역도 공동으로 진행되었다. 김명권은 한국영성심리상담센터 소장, 정유리는 심리학 전공자이다.


'경계성 성격장애'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그 상위 개념인 '성격장애'에 대해 찾아봤다.


*성격장애 Personality Disorder

개인의 행동양상과 성격이 생활전반에 있어 지속적으로 사회적으로 주요한 기능 장애를 일으켜 자신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고통을 초래하는 것을 말한다. 외부를 지각할 때 경직되고 부적응적인 패턴을 보인다.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고 일상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어려움을 겪지만 대게는 자신이 정상이라고 믿는다. 그들은 다른 세계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회, 교육 및 가족활동에 참여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는 태도 때문에 사회적 관계, 만남, 직장 또는 학교에서 문제를 야기한다. 자신이 고립된 느낌 때문에 우울증과 불안감을 갖는다.


성격장애는 유사한 특성과 증상에 따라 세 개의 클러스터로 그룹화된다.


*성격장애의 종류

Cluster A: Suspicious(수상한)

편집성 성격장애: 의처증을 보이고,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비난하는 것 같아하는 소심한 사람

조현성 성격장애: 친구가 없고, 사회적 교류를 하지 않는 정서적으로 메마른 사람

조현형 성격장애: 마술적 사고, 괴상한 행동과 옷차림, 이상한 지각경험, 교류하기 힘든 사람

Cluster B: Emotional and Impulsive(감정적이고 충동적인)

반사회성 성격장애: 양심의 가책을 못 느끼는 범죄자

경계성 성격장애: 타인에 대해 좋은 생각과 나쁜 생각이 왔다 갔다 하다 자살시도를 하는 사람

연극성 성격장애: 화장이 진하거나 옷차림이 화려하며 과장된 행동을 하는 사람

자기애성 성격장애: 잘난 척을 하고, 높은 지위를 나타내는 학위 증명서 등에 치중하는 사람

Cluster C: Anxious(불안한)

회피성 성격장애: 남들과 친해지고 싶은데 거절당할까봐 다가가지 못하는 사람

의존성 성격장애: 마마보이, 마마걸

강박성 성격장애: 완벽주의자


세 개 클러스터에 대한 위의 간단한 설명으로 부족하다면, 자세한 세부 설명을 다음에서 확인하면 된다.


Cluster A: Suspicious(수상한)

편집성 성격장애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다른 사람을 매우 불신하고 의심하며 악의가 있는 것으로 해석해 원한을 품는 경향이 있다. 타인에게 적대적이고 완고하며 방어적으로 대한다. 어린 시절 심각한 굴욕을 경험해 스스로를 무력하다고 느끼며 파괴당할지도 모른다는 공포를 가지고 있어 타인을 신뢰하지 못하며 농담이나 지적을 공격적으로 받아들인다. 자신의 부정적인 요소는 왜곡하거나 바깥으로 투사해서 방어하므로 과장된 자기 표상만 남는다. 자연스러운 감정조차 바깥으로 투사시켜버린 탓에 본인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 알 수 없게 된 경우가 많다.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대화를 차단하는 방어기제가 작동한다.

조현성 성격장애 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외부의 현실과 자신의 내면 세계를 확실하게 분리하며, 관계 형성이나 사회적 상호 작용에 관심이 없고 혼자만의 비현실적인 세계에 빠져있다. 이는 창의성에 영향을 준다고 보기도 한다. 성적 경험을 포함해 거의 모든 분야에서 즐거움을 느끼지 않으며 타인의 호의나 피해에도 냉담하며 감정표현이 제한적이다. 유전적인 요인이 크며,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유년기 시절 보호자가 존재하지 않아 방어기제로 현실과 분리된 자기만의 내면 세계에서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된 것으로 본다. 대체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나 가끔 사회에 부적합하고 결함이 있어 고립되었다고 느끼며, 자신이 인생의 주역이 아니라 관찰자이고 껍데기 안에 갇힌 존재로 느끼기도 한다.

조현형 성격장애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마술적인 사고, 기이한 믿음과 지나치게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언어, 착각을 포함한 유별난 지각 경험, 사회적 관습에 부합하지 않는 인지 및 지각의 왜곡, 기인한 행동으로 관계를 잘 맺지 못하고 친밀한 관계를 불편해해 직계 가족 외에는 친구가 없다. 친밀해져도 과도한 사회적 불안은 줄어들지 않는다. 초자연적 현상에 몰두하며 자신은 남들과 다르며 예지력, 독심술, 타인을 조종하는 능력 등이 있다고 믿는다. 본인을 신 등의 특별한 존재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비현실적인 왜곡으로 피해의식과 불안, 우울감이 나타나기도 하며, 성격장애 중 유일하게 약물 치료에 반응한다.


Cluster B: Emotional and Impulsive(감정적이고 충동적인)

반사회적 성격장애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타인의 권리를 경시하고 침해하며 법적으로 도덕적으로 사회 규범이나 권위를 불신하고 존중하지 않는다. (심리학 사이코패스, 소시오패스). 반복적인 범법 행위, 거짓말, 충동성, 공격성을 보인다. 타인과의 공감 능력이 떨어지며 책임감과 죄의식을 느끼지 않는다. 자신이 상황을 지배하려고 하고 그것이 안 될 경우 극도의 적개심을 직접적으로 드러낸다. 감정과 공감능력을 담당하는 전두엽과 측두엽이 발달되지 않은 유전적 성향과 어린 시절 학대가 결합되어 만들어 지며, 학대의 트라우마로 과도한 충동성과 폭력성을 보이는 경향이 강하다. 행동 억제 수준이 비정상적으로 낮아 위험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하며 알코올이나 약물을 남용할 수 있지만 감정 중추가 발달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마약이나 도박 등 정서적 의존성은 발생하지 않으며 타인과 애착 관계를 형성하지 못한다.

경계성 성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대인관계, 자아상, 정서적인 면에서 극도로 변덕스럽고 불안정하며 만성적인 공허감, 분노, 극단적인 양극성을 보인다. 세상에 혼자 고립되어 불안하고 겁에 질린 감정 상태이며 타인에게 보호받고 싶은 욕구와 상처받고 싶지 않은 심리가 동시에 발현되어 모순된다. 사랑, 인정, 관심에 목마르지만 타인을 경계하는 양가감정 때문에 괴롭다. 인간의 이중성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타인에 대해 과대이상화와 과소평가를 오간다. 호감을 느끼면 극단적으로 감정을 쏟아붓고, 그것이 거절당한다고 느끼면 마음을 감추기 위해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극도의 폭력성을 보인다. 100번을 잘해도 한번 잘못하면 버림받았다고 망상하고 방어적인 반응을 보이며, 그렇게 해도 상대가 떠나지 않기를 바란다. 사회적 가면이 발달해 있으며 자신을 나쁘게 생각한다는 것 만으로 죽을 정도의 고통으로 느끼며, 버림받을 것 같다는 생각만으로 거짓말이나 배신, 폭력을 행해버린다. 타인의 상황에도 쉽게 흥분하고 슬퍼하는데, 감정의 레벨이 높은 것으로 타인에게 정서적인 타격을 아무렇지 않게 줄 정도로 공감능력은 저하되어 있다. 이성을 담당하는 전두엽 손상으로 자제력이 부족해 자기파괴적이다. 사치, 폭식, 불안전한 성행위, 폭음, 도박, 자해, 자살과 같은 위험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할 수 있고 그러다 갑자기 초연한 모습이 된다. 스펙트럼이 넓고 깊어서 충동형, 분개형, 자벌형, 위축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어린 시절 지속적인 학대와 보호가 반복되는 불안정한 패턴을 내면화시킨 결과 자신이 언제 내팽개쳐질 지 모른다는 불안감을 극단적으로 염두해 놓은 상태. 거기에 애정결핍의 욕구가 결합되었다.

연극성 성격장애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과다한 감정표현 및 주의를 끄는 과장된 행동이특징이다. 다른 사람을 극적으로 또는 성적으로 도발해서 관심을 끌려고 한다. 자신의 실제 감정과 행동의 동기를 몰라 대인관계가 피상적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쉽게 받으며 비판이나 인정에 매우 민감하다.

자기애성 성격장애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자신이 다른 사람들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실제보다 자신의 업적을 과장하는 경향이 있으며 자신의 매력 또는 성공에 대해 자랑한다. 다른 사람에게 동정심이 없다.


Cluster C: Anxious(불안한)

회피성 성격장애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거절에 매우 예민하고, 자신이 부적절하고 열등하며 매력이 없는 느낌을 갖는 경향이 있어 사회적으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 다른 사람들의 비판에 집착하고 새로운 활동에 참여하거나 새로운 친구를 사귀지 못한다.

의존성 성격장애 Dependent Personality Disorder: 보호받고자 하는 욕구가 지나쳐 자신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타인에게 끊임없이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자기비하적이며 상대의 무리한 요구나 신체적, 언어적 학대를 용인해버린다.

강박성 성격장애 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 질서와 완벽성, 통제에 집착해 고집이 세고 완고하며, 융통성이 없이 세밀한 것에 집착한다. 참을성과 인내심이 부족하며 상대방과 의견이 다르면 공격한다. 대인관계에서 윗사람에게 복종하며, 아랫사람은 복종하기를 원한다.


이제 성격장애에 대해 어느 정도 파악한 것 같으니 본격적인 책 읽기에 들어가야겠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