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건우 Aug 22. 2020

밀회 - 고전영화

짧은 만남 - 밀회


데이비드 린 감독 작품. 1945년 작품. 원작 희곡인 Still Life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 영어 제목은  Brief Encounter로 '짧은 만남'이라는 뜻이지만, 한국에서 개봉할 때는 '밀회'라는 제목이었다. 희곡 제목인 '스틸 라이프'나 영어 제목인 '짧은 만남'은 담백하고 중립적인 느낌인데, '밀회'는 불륜을 연상케 하는 자극적 제목이라는 점에서, 배급사에서 흥행을 노리고 지은 제목임을 알 수 있다.

이 영화는 1946년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았으니, 당시 유럽 관객이나 평론가들이 영화의 완성도를 인정했음을 알 수 있다. 시나리오는 감독 데이비드 린과 원작 희곡 작가인 노엘 코워드가 함께 썼는데, 그래서 시나리오의 완성도가 훌륭하다. 현재의 시각으로 보면 너무 점잖고, 결말도 윤리적, 도덕적 선을 넘지 않는 일탈에 불과하지만, 당시의 관객이 볼 때는 남녀 주인공의 애절한 마음이 절절하게 느껴지는 영화였다.

스토리는 단순하다. 평범한 가정주부 로라(셀리아 존슨)은 매주 목요일이면 혼자 외출해서 쇼핑도 하고, 영화도 보고, 차도 마시며 하루를 보낸다. 어느 날, 기차역 대합실에서 한 남성을 보게 되고, 역 플랫폼에 나갔다가 눈에 티끌이 들어가서 괴로워한다. 이때 그 남성이 다가와 자신을 의사라고 소개하고, 로라의 눈에 들어간 티끌을 닦아준다. 이 일을 계기로 두 사람은 함께 차를 마시고, 서로 인사를 나눈다.

로라가 나들이를 하는 목요일이면 두 사람은 편하게 만나 차를 마시거나 영화를 보거나 산책을 한다. 그렇게 친구처럼 만나면서 두 사람은 자연스럽게 서로에게 끌린다. 하지만 로라는 남편이 아닌 외갓남성에게 끌리는 자기의 마음에 죄의식을 갖고, 남편을 둔 아내로서, 아이들의 엄마로서, 가정주부가 가져야 할 현숙함에 대해 갈등한다. 머리로는 당연히 가정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녀의 마음은 이미 의사 알렉(트레버 하워드)에게 깊이 빠져있음을 부인하지 못한다.

알렉 역시 사랑하는 아내와 아이들이 있음에도 로라에게 사랑을 고백한다. 두 사람은 서로 사랑한다는 마음을 확인하지만, 마지막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갈등과 번민을 계속한다. 그러다 알렉이 남아프리카공화국으로 떠난다고 말하고, 로라는 처음 알렉을 만났던 기차역 대합실에서 인사도 제대로 하지 못한 채 떠나보낸다.

로라의 나레이션으로 이어지는 영화는 처음과 끝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지면서 영화의 극적 반전을 보여준다. 짧은 만남, 긴 여운, 식지 않은 사랑의 감정과 이별의 아픔, 가정이 있는 유부남, 유부녀의 불륜의 경계에서 팽팽한 긴장을 느끼는 날카로운 감정 등 이 영화는 '불륜영화(?)'의 클래식으로 불릴만 하다.

1984년에 개봉한 영화 '폴링 인 러브' 역시 많은 부분에서 '밀회'와 비슷하다. 무대는 뉴욕, 메릴 스트립과 로버트 드 니로가 연기한 이 영화는 마치 '밀회'를 리메이크한 느낌이다. 두 사람이 만나는 과정은 크리스마스 선물이 바뀐 것이 계기인데, 기차에서 다시 만나게 되면서 서로에게 호감을 갖는다.

몰리(메릴 스트립)은 디자이너지만 병을 앓고 있는 아버지를 돌보기 위해 일을 쉬고 있는 가정주부로, 남편은 의사지만 부부의 애정은 깊지 않다. 프랭크(로버트 드 니로)는 건축기사로 아내와 아이들을 사랑하는 좋은 남편이자 아빠다. 몰리는 프랭크를 만나면서 남편에게서 느끼지 못한 감정을 느낀다. 두 사람은 기차에서 만나 서로의 애정을 확인하지만, 몰리의 아버지가 사망하고, 몰리가 더 이상 기차를 탈 기회가 없어지면서 두 사람은 다시 남남으로 돌아가게 되지만, 몰리는 애정 없는 결혼생활, 아버지의 죽음 등으로 마음이 변하고, 프랭크 역시 몰리를 만난 이후 결혼생활이 흔들리게 된다. 서로 만나지 못할 것 같은 두 사람은 1년 뒤 크리스마스에 운명적으로 다시 만난다. 이미 서로의 배우자에게 새로 만나는 이성이 있다고 밝힌 뒤여서 두 사람이 결합할 가능성을 보이며 영화는 끝난다.

1995년 개봉한 영화 '매디스 카운티의 다리'도 비슷하다. 같은 제목의 소설이 베스트셀러였고, 이 소설을 바탕으로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이 영화로 만들었다. 주인공은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메릴 스트립. 프리랜서 사진작가인 로버트(클린트 이스트우드)는 매디슨 카운티에 도착해 로즈만과 할리웰 다리를 찍으러 돌아다니다 길을 잃는다. 그러다 우연히 한 농가주택에 멈춰 길을 묻는데, 나온 사람이 프란체스카(메릴 스트립)이었다. 우연히도 프란체스카의 남편과 아이들은 일리노이주 박람회 구경을 하느라 나흘 동안 프란체스카 혼자 있게 된 것이다. 길을 알려주게 된 인연으로 두 사람은 나흘의 시간을 함께 보낸다. 

그렇게 약간의 시간이 흐르고, 로버트가 비가 오는 날, 차를 몰고 다시 프란체스카의 집에 도착해 함께 떠나자고 했을 때, 차의 문을 열려는 떨리는 손과 남편과 아이를 떠나서는 안 된다는 이성 사이에서의 갈등으로 흐느끼는 프란체스카의 모습을 보면서, 관객들은 불륜이지만 아름답다는 말을 할 정도였다.


창작은 많은 경우 작가의 상상을 구체화하는 과정이다. 예술 분야마다 창작의 결과물이 다르게 드러나지만, 작가의 상상력이 물질화, 구체화, 현재화한다는 것은 같다. 소설은 문자를 통해, 영화는 영상을 통해 창작자의 상상을 구체화한다. 이때 창작과 현실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지만, 개연성은 충분하다. 추상 작품의 난해함을 해석하는 방식이 저마다 다른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듯, 문학이나 영화에서 창작을 해석하는 방식 역시 그것을 받아들이는 독자, 관객마다 다른 것은 당연하다.

창작에서 불륜을 소재로 작품을 만드는 건, 현실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겪는 도덕적, 윤리적 딜레마를 의도적으로 건드리는 행위다. 이런 작품을 보면서 누군가는 몹시 불편한 마음이 되고, 누군가는 주인공의 처지를 안타까와 하며, 누군가는 주인공들을 비난한다. 같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도 저마다 윤리, 도덕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이런 소재의 창작을 바라보는 시각 또한 다르게 드러나는 것이다.

어느 시대를 불문하고 모든 창작물은 시대의 경계를 걷는다. 예술과 외설, 도덕과 비도덕, 윤리와 비윤리의 경계를 드러내는 것이 창작자의 역할이기도 하다. 사람들의 윤리의식이 시대에 따라 달라지듯, 창작물도 시대의 인식보다 한 걸음 앞서 나간다. 소설 '롤리타'나 '차탈레이 부인의 사랑' 같은 작품은 당대에 사회적 논란을 일으킨 작품으로, 지금도 문제 작품으로 이름을 남긴 작품이다. 

윤리나 도덕적 기준을 넘나드는 작품은 자칫 선정적, 포르노적 이미지로 남기도 하는데, 예술작품과 외설의 경계 역시 미학의 경계에서 어느 쪽으로 기우느냐에 따라 판가름난다. 당대의 윤리를 뛰어넘는 작품이라도 미학적으로 완성도가 높은 작품은 '예술'의 영역으로 들어온다. 그렇다면 미학적 기준은 변하지 않는 걸까. 당연히 변하지만, 인류의 문명이 본격 시작된 2천여 년 전부터 지금까지, 인류의 가치관, 철학적 질문, 세계관, 사상의 흐름은 본질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이며, 외부의 영향에 쉽게 흔들리고, 자신의 생각 조차도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존재라는 것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면서 지극히 개별적 존재이며, 선함과 악함을 동시에 지닌 양면적 존재이고, 프로이트와 융의 해석처럼 개인의 무의식과 집단 무의식을 동시에 지닌 존재이기도 하다. 이런 인간들이 동물적 충동과 이성적 판단을 동시에 해야 하는 딜레마에 놓이는 것은 당연하고, 동시에 두 사람 이상을 사랑하거나, 사랑하는 감정과 증오하는 감정을 동시에 갖게 되는 것 역시 이상하지 않은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