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석천 기자의 칼럼집 '정의를 부탁해'를 읽으면서 어린 내가 말을 건넸다
몇년 전이었다.
광화문에서 식사를 마치고 일행과 헤어진 후 세종문화회관을 향해 걸어가고 있었다.
스타벅스 앞을 지나는데 갑자기 교보문고 광화문점에 걸린 대형 글귀가 눈에 들어왔다.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아직 내 속에 있을까. 아니면 사라졌을까.
그 글귀를 보는 순간 내 모습이 초라해지면서 갑자기 알 수 없는 감정이 밀려왔다. 사무실로 돌아 가는 택시안에서도 계속해서 그 글귀가 떠올랐다.
10여년 전 처음 사회로 나왔을때 합리적이고 올바른 사고방식으로면 뭐든지 통하리라고 생각했다.
정직이 최선의 미덕이라는 믿음으로 지금까지 버텨왔다.
어찌 타협이 없었으랴.
반드시 성공하겠다는 욕심이 없었던 건 아니다.
그러나 둥글어지고 부드러워지는 만큼 새로운 생각앞에서는 꼰대가 되어있는건 아닌가 반성하게 된다.
찍어누르는 상관에게 짖이겨있는 서글픈 중년의 현재 모습이 남아있다.
그 위에 수수께끼 내기와 발표, 토론을 좋아해서 인기가 많았던 초딩시절 나의 모습이 오버랩되었다.
타협으로 점철된 나의 모습은 물론 자의는 아니다.
사회가 그렇게 만들었다.
그러나 어릴적 나였던 아이에게는 부끄러운 모습이다.
인터넷에서 자료를 찾아보니 이 글은 파블로 네루다의 <44>라는 시였다.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아직 내 속에 있을까 아니면 사라졌을까?
내가 그를 사랑하지 않았다는 걸 그는 알까
그리고 그는 나를 사랑하지 않았다는 걸?
왜 우리는 헤어지기 위해 자라는데
그렇게 많은 시간을 썼을까?
내 어린 시절이 죽었을 때
왜 우리는 둘 다 죽지 않았을까?
만일 내 영혼이 떨어져 나간다면
왜 내 해골은 나를 쫓는거지?
우연히 들른 교보문고에서 제목에 끌려 책을 손에 쥐고 나온 순간! 다시금 그때 교보문고 글판에서 본 파블로 네루다의 글이 떠올랐다. 아무래도 '정의를 부탁해'라는 제목 때문인가보다.
과연 요즘 세상에 정의라는게 존재하는가.
더욱이 언론의 기능을 제대로 하는가가 의심스러운 상황 아닌가. 중앙일보 기자라는 직함과 너무 다른 제목에 의야했다.
한때 정의에 불타던 어릴적 나의 모습, 그러나 지금 정의 따위는 믿지 않는 현재의 나의 모습이 그래서 자꾸 오버랩되는건지 모르겠다.
머릿말을 읽으면서 이런 나의 부정적인 생각이 조금씩 긍정으로 바뀌어갔다. 절반을 넘기면서 기자의 톡쏘는 비판에 감동을 받았다.
매너가 신사를 만든다면 기자는 사건을 만드는 것입니다.
칼럼을 쓰면서 목격했던 총리실 사찰, 국정원 댓글, 세월호 참사 같은 사건들이 저를 만들었습니다.
법조 분야를 담당해온 저로서는 일련의 사건들을 씨줄로, 권력의 생리와 검찰의 기능, 사법의 역할을 날줄로 삼아야 핬습니다. 소심한 데다 정의롭지도 못한 제가 정의를 이야기하게 된 것고 그 때문일 것입니다.
이 책은 25년차 배테랑인 권석천 기자가 쓴 '시시각각'이라는 칼럼을 묶어낸 것이다.
일반적인 칼럼과 많이 다르게 어떤 때는 '흑산'의 김훈 필체를 흉내내서 쓴 글도 있고, 어떤 때는 자신을 바라보는 어떤 청년이 되어 쓴 글도 있다.
마치 블로그에 올린 개인 글 같은 느낌이랄까? 형식도 틀도 자유롭지만 세상을 바라보는 논조만은 날카롭게 벼리어있다.
맨 처음 등장하는 칼럼 '세월호 이후의 세상'에서 권 기자는 '대부분의 인간이 스스로를 착하고 좋은 사람이라고 착각한다'고 말한다. 이어지는 말에서 우리가 사는 현실이 얼마나 이중적이며 정의롭지 못한지를 지적한다.
자녀의 성공을 원하는 우리가 아이들에게 가르치고 있는 것도 스스로를 속이는 능력에 가깝다.
술자리에서 "계층 상승 사다리가 사라졌다"고 개탄하면서도 내 스펙이 아들딸에게 세습되는 건 당연하게 여긴다.
아이들도 알아차렸을 것이다.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바라거나,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다가는 이 사회에서 갑으로 살기 힘들다는 사실을.
오늘 한상균 민주노총 대표가 자진해서 조계사에서 나왔다. 경찰이 벌떼처럼 몰려서 잡겠다고 난리다.
국정교과서문제부터 물대포로 시민의 목숨을 위급하게 만들었던 청와대.
마스크를 쓰지 말라고 하는 알수없는 뉴스들을 접할때마다 세상 돌아가는게 안타까웠다.
기득권층에서 누구 하나 쯤은 시원한 말 한마디 해줬으면 했던 MB정권 시절. '안철수의 생각'이라는 책으로 우리를 위로했던 안철수도 이번에는 실망스러웠다.
아버지로서, 아이들에게 다시금 대한민국이 부끄러운 시기에 위로가 되는 책을 만나 얼마나 다행인지...
사회는 비판을 하고 토론하는 만큼 성장한다.
이 책을 통해 세련되고 건전한 비판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