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tthew Min 민연기 Nov 13. 2016

FC를 통한 ESC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문제점

FLIGHT LOG

3x5045 BL 프로펠러가 나의 저렴한 Gartt 모터에는 무리였나 봅니다. 이륙하다가 조작 미숙으로 땅으로 곤두박질치면서 잠깐 프로펠러가 땅에 걸렸다고 생각하기가 무섭게 모터 내부에서 반짝하는 불과 함께 연기가 납니다. 

안돼애애애애애애

다행이 ESC는 망가지지 않은 것 같아 망가진 모터만 하나 주문해서 연결했는데 전혀 응답이 없습니다. 슬프게도 문제의 프로펠러만 멀정하고 모터와 ESC가 같이 임종하셨습니다. 

안돼애애애애애애애애

새 ESC를 설치하면서 다른 ESC들의 펌웨어도 모두 업그레이드를 해줍니다. 전에는 항상 펌웨어 툴을 이용해서 업그레이드를 했는데 최근 Betaflight가 업그레이드되면서 별도의 툴 없이 FC를 컴퓨터에 연결해서 ESC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졌습니다. 그렇게 된다고 들었습니다. 
https://oscarliang.com/flash-esc-via-cleanflight-fc/
기존에는 ESC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하려면 별도의 툴을 연결해서 USB를 통해 컴퓨터로 연결해야 했습니다. 

Turnigy USB Linker for AquaStar/Super Brain from hobbyking.com

그런데 2015년부터 FC에 USB를 연결해 바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방법이 Betafilght에서 지원이 되기 시작했습니다. ESC는 항상 FC와 연결되어 있으니까 FC에 USB 케이블만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정말 간단해집니다. Atmel 칩셋에 SimonK Bootloader가 적용된 ESC만 빼고요. 저는 싸다고 쉽게 물건을 사는 그런 사람이기 때문에 Atmel ESC에서 벋어날 수 없어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었는데 그게 가능해진 거죠. 그렇게 된다고 들었습니다. 

잘 보면 ATMEL 이라고 인쇄되어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업그레이드에 중요한 정보인데 어디에도 써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ESC가 망가진 김에 FC를 통한 ESC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시험해 봅니다. ESC 펌웨어 업그레이드 툴인 BLHeli Suite를 실행시키니 ESC를 인식합니다. 전엔 항상 ESC를 분리해서 아슬아슬하게 펌툴에 선을 연결해서 했는데 바로 인식하니 첫 호버링에 성공했을 때 기분을 기억해 냈습니다. 그리고 업그레이드를 위해서 배터리를 연결하는 순간

첫 호버링에서 추락해서 대파한 기체가 떠오르기 시작합니다.

ESC는 FC의 신호를 모터의 회전 속도로 전환할 수 있게 해주는 부품입니다. ESC의 신호 처리 속도가 비행성의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더 빠르고 부드럽게 동작하게 만들기 위해 새로운 펌웨어를 만들고 있습니다. 가장 최신 기술이 적용된 펌웨어는 BLHeli-S입니다. 새로 ESC를 구입하시는 분은 BLHeli-S가 지원되는지 확인하세요.


ESC (Electronic Speed Control)

                                                                   

Google을 찾아 보니 저와 같은 에러를 경험한 사람이 한 명 있는 듯합니다. 어쩌면 좋을지 모르겠다는 문의에 아무도 명확한 답을 주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하는 질문이 아닌 것 보면 이번에도 내가 지독하게 운이 없는 게 아닌가 지난 시간의 수많은 삽질이 떠올라 우울해집니다. 

3일 밤 3일 낮을 밥을 먹고 일도 하고 잠을 자고 만화책도 읽으면서 고민해 본 끝에 혹시 ESC에 신호선만 연결하고 (-) 선을 연결하지 않은 것이 이유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OPTO ESC는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와 (-) 그리고 신호 선과 또 다른 (-) 선 이렇게 4개의 전선이 연결되는데 (-) 는 그라운드라고 전기 신호의 전압의 기준이 되는 선이기 때문에 ESC 내부에서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별도로 연결하지 않았는데 혹시 그것이 문제가 아닌가 의심이 든 거죠.

ESC에 (-) 선을 연결합니다

혹시 잘못 연결되지는 않았을까 테스터기로 확인까지 한 후에 배터리를 다시 연결했더니 다시 "Connection to Flightcontroler failed!" 심지어 끝에 !(느낌표)까지!

배터리를 연결했을 때 생기는 문제인 거 보면 전원에 원인이 있는듯합니다. 이 시스템에 들어오는 전원은 배터리에서 공급하는 전원과 BEC를 통해 FC에 공급되는 5VDC 그리고 USB를 통해 FC로 들어가는 5VDC가 있는 거죠 혹시 컴퓨터의 (-) 와 배터리의 (-) 가 같지 않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어 이번엔 BEC 연결을 끊어 보았습니다. 

아아, 새로 구입한 ESC만 14.0 버전이 설치돼 있습니다. 


14.6으로 모두 업그레이드합니다. 


BLHeli 옵션들은 사실 크게 손댈 것이 없습니다. 다만 Motor Timing이 다르면 모터가 과열한다거나 덜컥거린다고 합니다. 모터 종류에 따라서도 설정의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통상 회전속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 2300kv 모터 : Medium
- 2600kv 모터 : Medium High

혹시 비슷한 경우가 생겨서 고생하시는 분 있으시면 포기하지 마세요. "나쁜 아이는 없습니다. 나쁜 부모가 있을 뿐입니다" 라는 말처럼 기계는 사람을 속이지 않아요. 골탕 먹일 뿐이죠.              



더 많은 드론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 FPV미니드론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php?bid=13584005


작가의 이전글 FC와 ESC 간의 디지털 통신 : DSHOT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