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요 Oct 12. 2021

에이전시에서 일하면 좋은 점

UX 에이전시에서 일한지 2년이 돼간다. 주변에서 에이전시에 일하는 건 어떤지 많이 궁금해하길래 곰곰이 생각해보니 대체로 좋다는 결론이 나왔다. 특히 첫 회사로 만족스러워 '에이전시에서 일하면 좋은 점'을 주제로 가져와봤다.



주식을 하기에 좋다. 

다른 말로 하면, 트렌드를 읽기 좋다. 경제 흐름을 읽는 혜안도 없고 돈도 없는 주린이지만 여윳돈이 생기면 프로젝트 관련 종목에 고민 없이 투자할 정도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금융 서비스 프로젝트가 한창 많을 때는 금융 관련 주에, 메타버스 프로젝트를 할 때는 메타버스 유망주에,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할 때는 디자인 시스템을 잘 갖춘 선진사에, 클라우드 매니징 서비스를 기획할 때는 클라우드 주식에 투자하는 식이다. 나만의 IT 테마주가 완성되는 셈이다. 주식으로 화두를 텄지만, 유사한 성격의 프로젝트가 시기에 따라 물밀듯이 들어오는 것을 보면 최근 이슈가 뭔지 자연스레 알게 된다.



수많은 변수에 강제 노출된다. 

겪을 적에는 힘들지만 적응력이 심히 좋아지며 변수에 따라 새로운 방식을 시도할 수 있어 재미있다. 짧은 싸이클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도 플러스 요소다. 꼭 타바타 운동을 하는 것 같다. 클라이언트, 일하는 팀원, 프로젝트의 목표와 기간, 과제의 범위나 성격, 인더스트리, 디자인 툴 등 동일한 것 하나 없이 매번 다른데, 특히 누구랑 일하느냐에 따라 퍼포먼스가 신기할 만큼 달라진다. 때문에 프로스펙티브 때 팀원들의 성향/가치관에 맞게 포지션을 정하고, 적절한 업무 프로세스와 협업툴을 고르는 시간을 중요시하는 분위기다.

내가 어떤 성향의 팀원과 잘 맞고 안맞는지, 안맞다면 무엇 때문인지, 그렇다면 나는 어떤 팀원이 되고 싶은지 고민하기 좋은 환경이라고 생각한다.



마감이 있다.

끝이 있다는 것이 생각보다 짜릿하다. 그때마다 전환점이 생긴다 해야 하나. 보통 일 년을 훌렁훌렁 보내다가 새해가 밝으면 마음가짐을 다시 하는데, 이보다 훨씬 짧은 주기로 새로 시작하는 기분을 누릴 수 있다. 대뜸 9월 말부터 다시 사는 기분을 느낄 수 있는 것, 에이전시의 장점이다. 물론 현실적으로 바로 다음 프로젝트에 투입돼서 숨 쉴 틈이 없을 때도 많지만, 프로젝트 사이 갭이 있으면 자기 계발을 하며 충전도 할 수 있다. 브런치도 그렇게 시작할 수 있었다.



긱 집단에 속한 기분이 든다.

UX 에이전시에 올 정도면 해당 분야에 대한 호기심과 열정이 강할 확률이 백이프로다. 점심 시간에 모여 주식 수익률에 대해 한탄하다가도 MTS 앱의 사용성에 대해 논하고, 인스타그램 피드를 같이 보다가도 업데이트된 기능에 주목하는 긱들이 모여있다. 그들은 재택이 장기화되자 줌에서 더 나아가 디스코드와 개더에서 모임을 추구하는 IT 친화적인 사람들이기도 하다. 왠지 성향 자체도 도전적이고, 논리적으로 접근하고 이야기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주를 이룬다. 공통 분모가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정말 많이 배운다.

매거진의 이전글 클라이언트가 주로 쓰는 디자인툴 알아보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