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작된 축제의 뒤안길
<프로듀스> 사태에 관한 후기
프로듀스 그룹은 어떤 존재였을까? 엠넷 아이돌 오디션 <프로듀스> 시리즈로 탄생한 그룹들을 말하는 것이다. 지난여름 투표 조작 사태가 벌어졌고 사태의 윤리적 오점은 재론할 여지 없다. 다만 이 방송이 한국 아이돌 시장의 지축을 흔든 것도 사실이다. <프로듀스> 시리즈가 재개되긴 불투명해 보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 방송이 남긴 것은 무엇이었는지 정리해 볼 필요성을 느낀다.
<프로듀스> 시리즈는 시범 격으로 시작된 첫 시즌부터 시즌4까지 여지없이 성공을 거뒀다. 방송 시청률과 화제성은 갈수록 줄었지만 방송의 코어 팬덤, 그러니까 데뷔 그룹의 팬으로 이어지는 시청자는 적지 않았다. 그 증거로 아이오아이, 워너원, 아이즈원, 엑스원은 나중에 배출된 그룹일수록 음반 판매량이 컸다. 아이즈원은 아이오아이의 초동 음반 판매량을 두 배 이상 경신했고, 엑스원의 데뷔 앨범은 워너원의 모든 앨범보다 초동 판매량이 높았다. 말하자면, 시즌 1과 시즌 2로 탄생한 그룹이 대중성과 팬덤을 모두 확보했다면, 시즌3과 시즌4는 코어 팬덤에 특화된 그룹이었다. 시즌3에선 일본 걸그룹 AKB48 멤버들이 연습생으로 참가하며 한일 합작이 시도됐는데, 매너리즘에 빠지기 쉬운 오디션 방송 시리즈가 취할 수 있는 획기적 포맷 변환이었다.
이 방송이 아이돌 시장에 미친 영향 중 가장 큰 것을 꼽으라면 새로운 아이돌 소비자의 유입이다. 매 시즌 아이돌 팬덤 시장에 발을 들인 시청자, 기존 아이돌 팬덤의 여집합이 있었다. <프로듀스 48>의 경우 한일합작이라는 포맷이 남성 시청자들에게 큰 호기심을 끌어냈다. 인터넷 남초 커뮤니티에서는 어느 시즌 못지않은 열기가 조성됐었다.
<프로듀스>가 산업 생태계에 미친 영향 역시 한 가지로 규정하기 힘들다. 절대다수 참가자가 ‘중소 기획사’ 연습생이고, 데뷔 그룹으로 활동하는 기간 동안 CJ ENM 산하 레이블에 차출/임대된다. <프로듀스> 시리즈는 중소 기획사 그룹을 아이돌 인력 자원을 제공하는 하청 업체로 거느렸다. 다만 기획사들에 대한 착취라거나 중소 기획사들의 자생성을 뺏어간다고만 정리하기 힘든 복잡성이 있다.
<프로듀스> 방송은 데뷔 당락자를 가리는 시스템이지만, 방송에 출연하는 것 자체로 출연자와 기획사가 얻어가는 이득이 있다. 방송 노출을 통해 인지도를 얻고 경연 과정을 거쳐 개인 팬덤을 확보한다. 꼭 데뷔하지 못하더라도 두 가지 자산을 확보할 목적으로 연습생을 참가시킨 기획사도 있었을 것이다. 합격을 위한 청탁뿐 아니라 연습생을 자사의 데뷔 그룹으로 남기기 위해 합격시키지 말아 달라고 하는 청탁도 있지 않았겠냐는 이야기가 나온 맥락이다.
언젠가부터 중소 기획사 걸그룹이 대형 기획사 걸그룹만큼 성공을 거두는 건 불가능에 가까운 미션이 되었다. 그 시점은 <프로듀스>의 론칭 시기와 포개진다. 하지만 <프로듀스>가 일으킨 부작용에 앞서 아이돌 시장이 대중적 확장성을 잃고 팬덤 세일즈가 강화된 점, 음원 차트 질서의 교란과 같은 구조적 환경이 변수로 깔려있다. 걸그룹의 경우 보이 그룹에 비해 코어 팬덤이 훨씬 약할 수밖에 없는데 대중적 수익 모델이 약화되면서 예전만큼 성공하기 요원해진 것이다. 그 증거로 보이그룹의 경우에는 같은 기간 동안 플레디스의 세븐틴과 같이 비 3대 기획사 아이돌이 성공을 거두는 모델이 등장했고, 뉴이스트처럼 <프로듀스> 방송의 효과를 등에 업고 부활한 케이스도 있다. <프로듀스> 시리즈는 산업적 흐름 상 자립할 기반이 약해져 가는 기획사들을 자신의 생태계 안에 거느리고 일정한 낙수 효과를 구하게 하는 반半종속 시스템을 만들었다.
<프로듀스> 그룹들이 균열을 가한 건 3대 기획사 중심의 시장 질서이기도 하다. 각 중소 기획사에서 선별된 인적 자원, 방송과 매니지먼트를 연계하는 수직계열화의 힘을 통해 대형 기획사에서 배출한 탑 아이돌에 버금가는 대중성과 팬덤 파이를 확보한 채 데뷔했다. 꼭 방송 때문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프로듀스> 방송이 시작된 시기 전후로 대형 기획사의 신인 보이 그룹은 예전만큼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2월 17일 컴백한 아이즈원 역시 초동 앨범 판매량을 탑 남자 아이돌에 버금 가는 35만 장을 기록하며 역대 걸그룹 초동 기록을 두 배 이상 갱신했다. 물론 그 균열이 시장의 다양성으로 이어진 것이 아니라 공룡들이 활보하던 들판과 밀림에 새로운 공룡이 나타나 각축을 벌인 것이다.
<프로듀스> 방송이 아이돌 시장을 할퀴고 간 상흔은 여기에도 있다. 경연 과정에 조작이 있음이 드러났지만, 개별 연습생 팬덤이 연습생을 데뷔시키기 위해 수면 위와 아래에서 과열된 경쟁을 벌이는 ‘원픽’ 시스템은 방송의 진행 과정을 지배했다. 경쟁의 참가자들은 여론전과 안티 행각 등 손에 피칠갑을 하며 싸웠고 방송 이후에도 은원 관계가 남았다. 앞선 시즌으로 데뷔한 그룹을 다음 시즌의 그룹이 밀어내며 매니지먼트 자원을 승계받는 시스템 상, 데뷔 그룹 팬덤들 관계 역시 어그러질 소지가 크다. 기존 시장의 파이를 가지고 있던 아이돌의 팬덤, 프로듀스 그룹의 성공을 손 빨고 구경해야 하는 아이돌의 팬덤에게도 프로듀스 그룹의 성공은 곱게 보일 수 없었을 것이다.
레드오션이 된 시장의 이해관계가 집중되고 소용돌이치는 한 복판이 <프로듀스> 시리즈였다. 이 욕망과 증오의 소용돌이가 프로듀스 사태를 빌미로 아이즈원을 매장하려 드는 온갖 팬덤의 응어리 진 여론전으로 터져 나왔다. 아이돌 팬덤 문화의 정글과 같은 속성은 이 방송을 기점으로 한층 얼룩지고 참혹해졌다. <프로듀스>가 영영 막을 내린다 해도, 이 망령이 보편적 팬덤 문화의 아비투스로 고착되지 않도록 해원하는 성찰의 씻김굿이 필요하다. 그게 가능한 일일까? 솔직히 비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