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늦가을, 여기저기서 연례행사처럼 보도블록 교체 공사가 한창이었다. 2021년 국가 예산안은 558조원이다. 국가 주요기관부터 작은 지자체까지, 원칙에 따라 예산을 세우고 집행하는 것이 정상적인 국가다. 그런데 며칠 전까지 내가 잘 딛고 다녔고, 또 멀쩡해보이던 보도블록이 폐기물이 될 운명으로 내팽개쳐져 있었다. 몇 년은 거뜬히 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도 파헤쳐진 모습을 보니 씁쓸한 마음이었다. 하지만 이와 정반대로, 지난 가을 내가 낸 세금이 제대로 쓰이는 모습을 보았다.
“저기 헬기 온다!”
당시 옆에 있던 응급의학과 교수님이 먼저 소리쳤다. 병원 옥상 헬리포트에서 헬기로 이송될 중증외상 환자를 기다리고 있었다. 몇 십분 전 지방의료원 응급실선생님과의 통화 내용을 머릿속으로 떠올렸다. “7살 아이, OOO, OOO 소견 있습니다. 너무 낮은 혈압 수치. 골절, 또 출혈 소견들….” 여러 출혈과 골절이 있어 심각한 상태였다. 많은 의료진이 모였다. 심각한 상태이기에 하나 된 마음으로 헬리포트에서 모든 준비를 마친 후 기다리고 있었다.
착륙하고 나면 아이를 맞이하고 어떤 상태인지 확인하면서 동시에 일사분란하게 판단, 처치해야 한다. 기도 유지가 잘되며 숨을 잘 쉬고 있는 지, 혈압과 의식은 괜찮은 지 확인해야 한다. 다발성 손상일 경우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두 확인해야 하며, 지나친 저체온에 빠지지 않게 해야 한다. 이렇게 내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다시 내가 답했다. ‘그렇지, 책에 이렇게 쓰여 있고 나도 스승님께 이렇게 배웠고, 얼마 전 나 또한 전공의 선생, 학생들에게 같은 말을 했었지.’
아이는 양팔에 수액을 달고 여기저기 깁스를 한 채 가만히 누워있었다. 몇 분 후 응급실, 외상소생실에서 X-ray, CT 검사를 통해 부러지고 피가 나는 곳과 골절부위를 알게 될 것이다. 나는 앞서 내 스스로에게 묻고 고민하고 답한 것들을 아이 얼굴과 몸 전체를 보며 순서대로 체크했다.
아이는 인공호흡기에 호흡을 맡긴 채 몸에 주렁주렁 달린 굵은 관으로 피와 수액을 맞으며 중환자실에서 일주일을 버텼다. 어려운 수술들을 이겨낸 아이는 일반병실로 옮겼다. 아이와 손 잡고 말을 나누며 24시간 함께 할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기뻐하는 아이 어머니의 눈빛을 보며 처음 헬기가 내리던 순간이 떠올랐다.
달력 두 장이 넘어갔을 때쯤 아이는 퇴원을 했다. 권역외상센터가 있는 이곳 병원에서 아버지의 차를 타고 두 시간 거리에 있는 집으로 돌아갔다. 이십여 분 동안 헬기로 날아온 길을 이제는 빠르고 신속하게가 아닌, 가족과 함께하는 행복한 드라이브처럼 즐기며 돌아갔을 테다.
나와 같은 외상외과의사는 ‘만약’이라는 가정을 가장 싫어한다. ‘만약 이 환자가 조금 빨리 권역외상센터로 도착하거나, 한 시간 빨리 수술했다면 살 수 있지 않았을까’, ‘만약 환자가 헬기를 타지 못하고 몇 시간 동안 앰뷸런스를 탔으나 치료 받을 병원을 찾지 못해 헤맸다면 어땠을까’ 등 이런저런 생각에 아찔하기만 하다.
2021년 국가 예산중에서 보건복지부, 그 중 중증외상환자를 한명이라도 더 살리는 데 쓰이는 권역외상센터 예산은 631억원이다. 사람 목숨은 돈으로 값어치를 매길 수 없을 만큼 고귀하다. 하지만 국가 예산이 적소에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집행될 경우 더 많은 생명을 살릴 수 있다. 세금이 잘 쓰인다면, 돈으로 생명을 구할 수 있다.
2022년, 그후 2023년 복지부 예산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물론 그 중 복지에 관련 예산, 보건 예산을 별도로 편성되어 있을 것이다. 어느 것이 우선인지, 무엇을 먼저 해야하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모든 사람의 생명, 단 한 사람의 생명을 더 살리는 것이 최우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