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칼잡이 JINI Nov 05. 2024

MD의 이해 _ A, Analysis 분석

상품의 흐름, 전 공정의 flow를 이해하고, 세부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MD 전문가? 그런 단어가 있나요?

MD란 직무자체가 전문분야이기도 하지만, 전문분야로서 인정받기도 쉽지 않은 직무인 것 같습니다.

직무의 범위와 역할, 책임과 권한을 이해해야 합니다.


A, Analysis 분석가로서의 역할


식품 MD의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이 맡고 있는 상품의 공정을 이해하고, 그 공정 속의 비용구조를 단계별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비용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상품을 둘러싸고 있는 시장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정보의 체계를 구축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후의 변화, 인건비의 변화, 자동화의 속도, 생산 CAPA, 수율, 물류의 변화, 환율, 사료작물의 현황, 포장기술의 발전, Shelf Life의 중요성 등 직접적 상품을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주변환경의 비용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유통단계의 어느 단계에서 수익을 많이 취하고 있는지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한 단계만 줄인다면 가격을 낮출 수도, 그만큼 수익을 더 많이 챙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상품의 공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정을 단계별로 정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정마다 비용구조가 별도로 존재합니다. 그 비용구조를 자세히 조사해서 반영시켜 놓습니다. 단계별 단가는 매일 업로드할 필요는 없습니다. 월 혹은 분기 정도로 정리하여 놓으면 좋습니다.


아래의 사례는 한우의 비용구조를 표현한 것입니다. 표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3가지를 이해하시면 됩니다.

첫째, 사육기간과 도축/가공을 거치면서 중량변화에 따른 kg당 단가의 변화

둘째, 단계별 비용구조_ 사육단계, 도축/가공단계, 유통단계

셋째, 중량변화에 따른 축산물의 수율변화와 가격의 대비율 

한우를 한 마리 도축하면, 도축으로 인해 두내장, 박피, 혈액방출 등을 통해 지육률은 61% 수준의 뼈를 포함한 2분 도체가 생산됩니다. --> 뼈와 살을 분리하고, 지방과 근막을 제거하 정형 과정을 거치면 정육율은 36% 수주입니다. --> 점포에 입점된 진공포장된 원료육에서 지방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면,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고기의 양은 33% 수준입니다. 살아 있는 한우(생체) 700kg에서 판매할 수 있는 고기의 양은 234kg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송아지 단계의 비용구조는 소가 임신 후 10개월간 먹는 사료와 부대비용이 생산원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원가와는 별도로 거래되는 송아지 경매시장의 단가가 존재하기 때문에 송아지의 단가는 시장거래가로 정리하시면 됩니다. 23년 8월 2주 차 기준 수송아지 기준 352만 원에 거래되고 있네요.

송아지의 시세가 조회는 농협축산정보센터 (https://livestock.nonghyup.com/frdist/mptList.do)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육을 중심으로 본다면 6~7개월령의 수송아지의 단가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24년 9월 기준으로 376만 원 수준으로 23년보다 가격이 24만 원 오른 것으로 보입니다. 송아지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2년 후의 가격이 지금보다는 좋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입식해서 키우는 농가가 조금 더 비싼 가격이라도 구매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사육단계를 보자면, 한우 거세우의 경우 27~32개월 기간 동안 비육을 하게 됩니다. 평균 28개월령이라 했을 때 생체중량 기준 평균 600~700kg 내외로 키울 수 있습니다. 최근 품종개량이 많이 되어 1,000kg에 달하는 중량까지 비육이 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농가에서 사육하는데 필요한 사육비용을 확인해야 합니다. 한우를 기르는데 가장 많이 드는 비용은 송아지 구매 비용과 7개월~28개월, 대략 21개월간 먹는 사료의 비용이 대략 80~85% 수준 구성비를 차지합니다. 사육비용의 산출은 대량 사육의 경우가 1~2마리 기르는 소형 농가보다 비용이 적게 드는 구조입니다.


현재 기준 사육두수, 평균거래가격 등을 그래프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는 축산물이력제데이터랩(https://datalab.mtrace.go.kr/dashboard)이라는 사이트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균치의 경락가격, 사육두수, 지역별 사육두수, 도축 두수 등의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9월 명절에 가격이 상승하고, 10월 11월은 가격이 약간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한우의 사육두수는 336 만두, 최대 사육지역으로는 충남에 65천 두를 사육하고 있네요. 거세우 기준 평균 도축개월령은 31개월 수준이네요.



농촌경제연구원(https://www.krei.re.kr/krei/selectAgrObserveList.do?key=80)에서는 시세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한 시뮬레이션 값을 제공합니다. 수입축산물의 재고, 수입량도 제공하기 때문에 잘 분석하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우사육농가가 많이 힘들겠지요?


오늘은 단계별 가격이 형성되는 과정에서의 분석부문을 알아보았습니다.

원가를 형성하는 과정을 분석한다는 것, 식품 MD의 기본입니다. 제시된 도표상에는 단순하게 정리되었지만, 해당되는 서브데이터는 별도로 복잡한 과정의 단가 형성구조를 각각이 가지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특히, 부산물(우족, 지방, 소머리, 뼈 등)과 비용(도축비, 가공비 등)은 공개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직접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한번 만들어 놓으면 업데이트만 하면 되는 형태입니다.


한우로 예를 들었지만, 축산물은 물론 채소, 과일 등도 단계별로 비용구조를 분석, 기록해 놓으면 유용하게 활 요하실 수 있는 형태입니다.


MD는 회사의 매출과 수익을 책임지는 중요한 직무입니다.

업무에 활용하시면 좋을 듯싶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식품 MD, A_Analysis 분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