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공중곡예사 Aug 08. 2018

절판되어 아쉬운, ‘라디오 사연’ 같은 책

달빛 책방

달빛 책방 (조안나, 나무수)


절판되어 아쉬운, 도서관에서 발견한 ‘라디오 사연’ 같은 책


《달빛책방》은 제목에서도 어느 정도 알 수 있듯이 메타북, 책에 대한 책이다. 예전에 메타북을 고를 때, 읽을 책을 편하게 고르기 위해, 또는 책의 중요 내용만 보기 위해, 안 읽은 유명 책들도 읽은 것처럼 보이기 위해 읽었다. 읽은 이유는 이렇지만 정작 메타북을 구매할 때 작용한 건 저자였다. 공부도 많이 하고 강연도 많이 한 저자가 골라주는 책이 더 좋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작가는 일본드라마 ‘심야식당’을 말하면서, 혼자 새벽에 책을 읽다 잠드는 사람들을 위한 책이라고 소개한다. 그리고 목차는 ‘실연의 상처를 달래고 싶을 때’ ‘집에 가기 싫은 날’ ‘열심히 일한 당신, 한밤에 술친구가 필요하다면’과 같이 부제목처럼 나를 저격한 소제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목차를 보고 나는 이 책이 일본드라마 ‘심야식당’처럼 하루를 마치고 혼자 남게 되는 늦은 밤에 외로움을 감싸줄 것처럼 느껴졌다. 소제목 아래는 소개할 책 제목과 그 책의 작가 이름이 쓰여 있는데 눈이 가질 않는다. 본문을 읽고 난 후 책 제목과 작가 이름이 굳이 눈에 띌 필요가 없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메타북을 읽을 때마다 부족한 느낌이 들었다. 작가가 A라는 책의 작가를 소개하고, 줄거리를 알려주고, 읽은 후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등을 이야기한다. 그 글을 읽고 나면 A라는 책이 궁금해서 당장 읽고 싶은데 ‘당장’ 읽을 수가 없다. 그래서 괴로웠다. 나중에 그 A라는 책을 찾아보면 그때만큼 읽고 싶은 마음이 들지도 않고 흥미도 줄어든다. 그래서 메타북은 읽을 때마다 무언가 부족함을 느꼈는데, 이 책은 그런 느낌이 덜하다.


작가의 경험담, 또는 공감이 가는 이야기 등을 바탕으로 내용이 이루어져 있어서 《달빛책방》 작가와 소개하는 책의 연결고리가 강한 것이 이 책의 특징이다. 이 점 때문에 소개한 책이 당장 옆에 없어도 글이 완성된 느낌이 든다. 그리고 책을 소개하는 ‘정보성’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닌 심야식당에 찾아온 사람들을 대하듯 ‘위로’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기에 소제목의 욕구를 심리적으로 충족시켜준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하루를 마친 후 밤에 잠자야 하는데, 잠들기 아까운 사람. 그런데 책이랑은 친하지 않은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예전에 잠들기 전에 라디오로 세상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잤다. 이 책의 글은 그런 ‘라디오 사연’ 같다. 공감하고 위로받고 싶은 분들에게 추천한다. 책 속 인상 깊은 문장을 나누며 글을 마친다.


그들은 행복하고 나는 불행하다. 미니홈피나 블로그, 페이스북 속 사람들은 모두 바쁘고 행복해 보인다. 텔레비전 속 연예인들은 화려하고 풍족하고 유쾌해 보인다. 오늘 난, 하루 종일 세수도 않고 방 안에만 처박혀 있었는데 가끔씩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는 이들에겐 바쁜 척 했다. 그래 놓고 문자 소리에 깜짝깜짝 놀라 휴대폰을 끌어안는다. - 228쪽


사실, 경쟁에 치이고 업무에 시달릴 때는 권태를 느낄 시간도 없다. 그러나 문제는 일이 없는 주말이나 휴일에 여가를 즐길 체력조차 남지 않아 무기력해질 때다. 이렇게 열심히 살아서 뭐하나 싶어지는 순간, 우리는 허무의 늪에 빠진다. '왜 사는가'란 질문에서 도망가고만 싶다. - 230쪽




2018. 01.  씀

매거진의 이전글 무례한 사람들의 에피소드를 얘기하며 위로해 주는 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