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염소 Mar 05. 2024

부가의문문 만들기

염소의 영어공부 이야기 46

이번에 배울 것은 부가의문문이다.

부가의문문은 평서문으로 말하고, 뒤에 약간의 추임새(?)를 넣어 의문문으로 만들어주는 형태인데, 

크게 보면 의문문이지만 반 이상을 차지하는 형태가 평서문이므로 

의문문이 부가적으로 들어가 있다 하여, 부가의문문으로 불린다.


우리도 보통 ‘이거 진짜 좋아, 그렇지?’라고 말하는 것처럼 

부가의문문도 그렇지? 그렇지? 정도로 해석하면 될 것 같다.


‘이거 진짜 좋아’라고 하는 문장을 영어로 일단 만들어보자. 

It is really good.라고 했다면, 뒤에 ‘그렇지’를 붙여줘 보자.

이때는 평서문 문장 주어 동사를 활용해서, 

의문문의 형태로 그리고 앞에 나와있는 평서문과 반대의미로 만들어주면 된다. 


It is의 위치를 먼저 가져오고, 의문문 형태로 바꿔보자. > Is it?

그런 다음 반대 의미로 만들어줘야 하니까, Is not it? 발음하기가 힘드니까 > Isn’t it?

그리고 다시 평서문과 함께 붙여서 이야기해 주면 된다.


It is really good, isn’t it?

이렇게 만드는 게 부가의문문이다.


만약 과거라면? It was really good, wasn’t it?


만약 주어가 복수라면? 

They are really good, aren’t they?

They were really good, weren’t they?


만약 평서문이 부정문이라면? 

It is not really good, is it?

They are not really good, are they? 이렇게 바꿔서 써주면 된다.


Be동사가 주어일 때는 이렇게 쓰이지만, 

일반동사라면? 그리고 조동사나 완료시제라면 어떻게 될까? 이것도 사실 똑같이 해주면 된다.


He plays the piano, doesn’t he? 

play라는 일반동사의 시제가 현재니까 does로 나오는 것이다. 


부정문이라면,

He doesn’t play the piano, does he?


과거형이라면,

He played the piano, didn’t he? 

He didn’t play the piano, did he?


이런 식으로 현재완료도 조동사도 쓰면 된다.

일단 현재완료와 조동사는 have p.p, 조동사 + 동사원형인데, 

위에서 보니까 does play 이런 상황에서 play는 부가의문문으로 쓰이지 않고, does만 쓰였다. 


이처럼 She has worked for so long. 일 때, 그냥 has not she? > hasn’t she? 이렇게 붙이면 된다. 

We have learned English since yesterday, haven’t we?

We haven’t learned English since yesterday, have we?


조동사라면, You can go back to school, can’t you?

조동사 부정문이라면 It would not help me a lot, would it? 이렇게 작성하면 된다. 




작가의 이전글 선택의문문 만들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