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나온 시간들 Nov 23. 2023

아버지의 기저귀


아이 셋을 키우느라 기저귀를 무던히도 많이 갈았던 기억이 있다. 큰아이와 둘째는 24개월 터울, 기억은 희미하지만 둘째가 태어나고도 6개월 정도 지나서야 큰애가 기저귀를 뗀 것 같다. 둘째와 막내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기억을 더듬어 보면 한 아이당 하루에 5~6번 정도 기저귀를 갈아준 것 같다. 배앓이를 했던 날은 10번 가까이 기저귀를 갈았던 적도 있었다. 한 아이가 약 30개월 정도 기저귀를 한 셈이니 900일 동안 대강 5000번 정도, 세 아이 합치면 약 15,000번 기저귀를 간 셈이다.


난 아이들이 좋아 기저귀 갈아주는 것을 마다하지 않았다. 아마 3분의 1 정도는 내가 기저귀를 갈아주었으니 최소한 5,000번은 기저귀를 갈았을 것이다. 막내가 기저귀를 떼고 났을 때 더 이상 기저귀를 갈아주는 일은 없을 것이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나에겐 다시 아이 2명이 더 생겼다. 큰 아이는 아버지, 작은 아이는 어머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얼마 전부터 세월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아이가 되어버렸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는 그 모습에 마음이 아팠지만 나로서는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아버지는 이제 엄마하고 나, 누나 정도만 알아볼 뿐 다른 사람은 인지하지 못한다. 두 달 전만 해도 걸음을 걸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걷는 것은 불구하고 서 있는 것도 못하신다. 척추가 더 이상 제 역할을 하지 못해 하반신을 전혀 못 쓰신다. 아버지 기저귀를 갈기 시작한 것은 그때부터였다. 처음엔 당황스러웠지만 오래전 아이들의 기저귀를 갈았던 것처럼 이제는 아버지 기저귀 가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렸다.


자주는 아니더라도 일주일에 한 번 아버지 목욕을 시켜드린다. 한 가지 어려운 점은 내가 아버지를 들기 힘들다는 것이다. 아이들은 가벼워 번쩍 안아 씻기고 목욕이 끝나면 다시 번쩍 안아 욕조에서 나올 수 있어 어려움은 없었다. 하지만 나보다 몸무게가 더 나가는 아버지를 욕조에 넣어 씻겨드리는 것은 결코 만만치가 않다.


며칠 전에도 욕조에 물을 가득 담은 후 아버지를 씻겨드렸다. 샴푸로 머리를 두 번 감겨드리고 몸 구석구석을 부드러운 타월로 비누칠을 해 닦아드렸다. 목욕을 끝내고 물기를 닦은 후 기저귀를 하고 옷을 입혀드렸다. 의사가 가르쳐 준 대로 주사를 준비해 배꼽 밑 지방이 많은 부위에 알코올을 바른 후 주사를 놓아드렸다. 주사가 아프지도 않은 지 아무런 반응도 하지 않으신다.

"아버지, 목욕하고 나니 개운하지. 이제 푹 주무셔요."

아버지는 대답대신 눈만 깜박이셨다. 아버지 두 손을 이불속에 넣은 후 이불을 턱밑까지 끌어당겨 덮어드렸다.


방문 옆에 있는 조그만 보조등을 켠 후 형광등을 끄고 문을 닫고 나왔다. 그래도 밤에 잠은 잘 주무신다. 밤뿐만 아니라 낮에도 식사하시는 시간만 빼면 거의 주무신다. 마치 금방 태어난 아기처럼 하루종일 주무신다.



<세월이 무거웠지만>



유리창 사이로 찬바람이 들어옵니다

발끝이 시려 양말을 신었습니다

계절이 더디 가기를 바랐건만

너무도 빨리 지나가고 있습니다

세월의 무게가 이다지도 클 줄 몰랐습니다

다가오는 계절이 두렵기만 합니다

또 어떤 것을 잃을지 무섭기조차 합니다

나에게 온 모든 것들이 떠나간다는 걸 알면서도

내면의 담담함에 나 자신 놀라면서도

잡고 있는 끈을 놓을 수가 없었습니다

다가오는 겨울이 지나면 다시 꽃이 피겠지만

예전의 봄은 아닐 것입니다

나에겐 이제 생의 치열함도

의미와 가치를 찾는 열정도

무언가를 주장하고 싶은 마음도

사라진 지 오래가 되었습니다

그저 오늘 존재함으로

더 이상 바라는 것은 없습니다

아무 말 없이 오늘을 지내고

있는 듯 없는 듯한 내일을 살아갈 뿐입니다

의지의 날들이 그동안을 지탱했지만

이제는 그 의지에도 자유를 주렵니다

별을 바라본 이유가 있었겠지만

그 이유도 무상함을 알았습니다

그래도 아름다웠던 순간들이 있었으니

오래도록 잊지 않을 것입니다



만남과 헤어짐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너무나 사랑했기에 헤어짐이 가슴을 아프게 한다.

얼마 전 아버지 영정사진을 옷장 안 나만 아는 곳에 잘 간직해 놓았다. 그 위로 장례식에 입을 검은 양복과 하얀 와이셔츠 그리고 넥타이를 걸어놓았다.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나는 아버지 장례식을 치러야 할 것이다. 쉽지는 않겠지만 그날 많이 울지는 않을 생각이다. 이승에서 아버지는 힘들고 어렵게 사셨지만 아무것도 없을 저승이 더 나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때가 언제일지 알 수는 없지만 나는 그날까지 아버지의 기저귀를 열심히 갈아드릴 생각이다.


작가의 이전글 무상게(無常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