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은 Nov 15. 2018

#27. 데일리, 싱가폴 핀테크 어워즈 top10 선정

[DAYLI의 daily] 데일리에서 커뮤니케이터로 살아가기

데일리금융그룹이 지난 14일, 싱가폴에서 열린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발'의 '핀테크 어워즈'에서 '글로벌 경쟁 부문 top 10'에 선정됐습니다. 


짝짝짝, 고맙습니다!


지난 12일부터 5일 간 싱가폴에서 열리고 있는 '싱가포르 핀테크 페스티발'은 아세안 최대 규모의 핀테크 비즈니스 행사입니다. 싱가포르 통화청(MAS)이 주최하고, 싱가폴 은행연합회(ABS)의 주관 및 PwC의 후원으로 2016년 처음 개최됐죠. 지난 해 행사의 경우 전 세계 109개국에서 5천여 개사의 3만여 명이 참가했고, 올해는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4만여 명이 참여하는 등 아세안을 대표하는 핀테크 전문 비즈니스 행사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핀테크 어워즈는 본 행사 내에서도 단연 주목받는 코너입니다. 싱가폴 내 금융기관, 컨설팅사, VC, 핀테크 기업 등 약 50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이 임팩트(Impact), 상호호환성(Interoperability), 실용성(Practicality), 독창성 및 창의성(Uniqueness & Creativity) 등을 기준으로 '가장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을 매년 선정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어워즈에는 전 세계 40여개 국에서 총 514개 핀테크 업체가 신청했습니다. 수상은 1)ASEAN OPEN(동남아 대기업 포함), 2)ASEAN SME(동남아 중소기업) 3)Singapore Founder(싱가폴 스타트업) 4)Global(글로벌) 등의 총 4 부문으로 진행됐는데요. 데일리금융그룹은 이중 글로벌 경쟁 부문 top 10에 선정됐답니다. 


이로써 데일리는 지난 달 24일  다국적 컨설팅 그룹 KPMG와 핀테크 분야 벤처 캐피탈사 H2벤처스로부터 ‘올해 최고의 핀테크 기업(2018 Fintech 100)’으로 선정된 것에 이어 두 번째 수상 소식을 알리게 됐습니다.


수상만으로 기업의 가치를 증명할 수는 없지만, 동남아 핀테크 허브인 싱가폴에서 전 세계 기업들과 견주어보고 한국의 핀테크로 데일리가 이름을 함께 올리게 됐다는 점은 무척 자랑스러운 일이었습니다. 핀테크로 보다 나은 금융산업을 만들어 나갈 수 있도록 늘 정진하겠습니다. 앞으로의 데일리의 행보도 기대해 주세요 :D (다음주 19일, 데일리금융그룹의 전사 채용 소식이 오픈되오니 함께 하고픈 분들의 많은 기대 부탁 드려요. 속닥속닥)


전세계 수많은 핀테크 기업 가운데 수상하게 되어 무척 영광입니다. 데일리는 독자적인 기술력를 바탕으로 한국뿐 아니라 다수 국가의 금융산업 내 비효율을 개선하고 혁신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글로벌 금융산업 발전에 보탬이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신승현 데일리금융그룹 대표 축사 中 -


데일리금융그룹 최근 관련 기사▼


[DAYLI의 daily] #27. 데일리, 싱가폴 핀테크 어워즈 top10 선정 <끝>



DAYLI 매거진 보러가기

데일리의 핀테크가 궁금하다면 : Fintech in DAYLI

데일리의 일상이 궁금하다면 : DAYLI의 daily

데일리의 사업 뒷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신승현의 백스테이지




데일리금융에서 일하는 보통 사람입니다. 핀테크가 바꾸게 될 우리 일상에 대해 호기심이 많습니다.


데일리금융그룹은 2015년 2월에 설립된 국내 최대의 핀테크 기업입니다. 인공지능 및 블록체인, 로보어드바이저, 금융 플랫폼, 암호화폐 등 금융혁신에 필요한 서비스 및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고객의 일상이 풍요로워지는 금융을 전 세계에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데일리와 핀테크에 대한 다채로운 이야기, 디스토리(홈페이지) 바로가기

데일리금융 페이스북 보러가기

데일리금융 블로그 보러가기


매거진의 이전글 #25. 신용보증기금, 미래발전자문단에 데일리금융 선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