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봉반장 Jun 09. 2020

#3. 출판 기획서 작성하기

나의 첫번째 책 출간기

출판사에 투고할 때는 원고만 달랑 보내서는 안된다.

반드시 출판 기획서를 함께 첨부해야 한다.


출판 기획서는 한마디로

내가 작성한 원고가 왜 세상에 나와야 하는지 출판사에 설득하는 문서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원고의 장점과 유사한 책들과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출판사로부터 채택될 확률이 높아진다.

(출판사도 땅파서 장사하는 곳이 아니기 때문에 돈이 될만한 책인지 아닌지(?)

 실리를 따지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이다.)




자 그렇다면 출판 기획서에 담겨야 하는 내용들을 하나씩 알아보자!


1. 제목과 부제

제목과 부제에는 원고 내용을 가장 적절히 함축하는 단어 또는 문장 형태로 작성한다.

인쇄하기 직전 까지도 가장 고심하는 부분이 바로 책의 제목이다.

작가의 아이디어만으로 작성된 책 제목이 

출판사의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시선을 사로잡을 수 있다면

계약을 이끄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2. 저자 소개

컨텐츠 전문가로서 책의 주제와 관련된 경력 활동을 중심으로 작성한다.

주요 이력 및 활동 이외에도 강연 경력, 미디어 소개, 특이사항 등을

최대한 상세하게 기술한다.

꼭 내세울 만한 것이 없더라도 어떻게 포장하고 꾸미느냐에 따라  

있어 보이는(?) 저자 소개 글을 만들 수 있으니 너무 솔직하게 작성하지 말자.


3. 시장 환경 및 기획 의도(책의 탄생 배경, 존재 이유)

저자인 내가 왜 이러한 주제로 원고를 쓰게 되었는지

이 책이 얼마나 독자들에게 필요하고 사랑받을 수 밖에 없는지

출판사에 어필하는 영역이다. 

시장 상황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기획의도가 설득력이 있어야만

출판사에서 연락을 줄 것이다.


4. 타겟 독자층

책의 예상 독자층은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범위가 넓어도 정확하게 기재해야 한다.

(단순히 중년층이 아니라 재테크에 관심있는 30~40대 직장인 이라고

작성하는 것이 좋다.)

주요 독자층 뿐만 아니라 잠재 독자층까지도 함께 기술하면 100점!


5. 경쟁도서 분석

경쟁 도서가 있다는 것은 독자의 필요와 구매 욕구가 있다는 뜻이므로

아예 없는 것보다는 출판사를 설득하기에 더 좋다.

경쟁도서의 특징과 현황만을 나열해서는 안되고 

장점과 단점을 반드시 함께 기술하자.


6. 핵심 컨셉

기존 경쟁도서와는 어떤점이 더 낫고 어떤점이 다른지(차별화 포인트)

반드시 언급해야 한다.

앞선 시장환경 및 기획의도와 다른 점은

기획의도가 책이 탄생하게 된 배경이라면 

핵심 컨셉은 책의 핵심 포인트를 설명하고 부각하는 것이다.


7. 마케팅/홍보 전략

저자 본인이 도서를 통해 홍보할 수 있는 채널을 모두 소개한다.

판매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무조건 기술하자!

최근에는 출판사 쪽에서 일방적으로 마케팅/홍보를 진행 하지 않고

저자가 함께 마케팅/홍보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외에도 권위자가 이 책의 추천사를 써줄 수 있다든지

인플루엔서를 통해 홍보를 할 수 있다면 더할나위 없다.


8. 목차

목차는 책의 뼈대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목차는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

대부분의 편집자는 목차를 통해 책의 틀과 구성을 확인한다.




원고와 함께 첨부한 출판 기획서가 출판사 담당자의 마음에 안들면

원고는 사실상 볼 필요도 없다고 느낀다. 


실제로 원고를 열어보기 전에 출판 기획서만으로도 

책을 계약을 할지 말지가 결정된다.




나의 첫번째 출간 책은 바로 <필요할때 꺼내 보는 기획서 작성법> 입니다!!! ^^ 
많은 사랑 부탁 드려요~!!! :)


교보문고 구매하기 클릭!



알라딘 구매하기 클릭!














매거진의 이전글 #2. 내게 맞는 출판사 찾기 - 출판사List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