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북스톤은 어떻게 #베스트셀러 만드는가

북스톤과 일하기 전, 솔직히 나는 궁금했다. 인원이 많지도 않은 출판사에서 어떻게 책은 그렇게 자주 나오는지, 책을 읽지 않는 시대라고들 하는데 베스트셀러 만드는 비법 같은 것이 있는지 기타 등등 많은 것들이.


#자기만의트랙 함께 작업하는 시작점에는 이런 호기심이 (잠시) 있었는데, 얼마전 나를 생각하는 진심이 한가득 담긴 엄청 긴 메일을 받고 새삼 깨닫게 됐다. 몇번을 곱씹어 반복해 읽고, 바쁜 일과 중 후루룩 답장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드는 소중한 메일. 북스톤 에디터님으로부터 온 메일이었다.


책이 나온 이후, 나는 사실 더 전투 모드가 되었고 좀 더 뻔뻔해지려고 노력했다. 조증 구간 지나며 한편으로는 안달복달 - 에디터님이 이렇게 애쓰시는데 책을 읽어주시는 분들이 더더더 많아졌으면, 가지랩에 혹시라도 소홀할까 서운할까 경계하고 등등 이리저리 바쁜 마음 - 이기도 했는데, 그런 나를 진정시키며 응원하고, 더 나아지기 위해 무엇을 했으면 좋겠는지 꾹꾹 눌러 담은 메일.


쉽지 않은 것을 알기 때문에,

이렇게까지 나보다 나에 대해 더 고민할 이유가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너무너무 고맙고 반성되고 감동.


북스톤의 비법은, 나의 짧은 생각으로는


• 함께 일하는 저자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고

• 저자에게 맞는 방식으로 책을 쓸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

> 예를 들어, 나는 글쓰기보다 말을 잘하는(?) 관계로

1. 이분들 앞에서 강의를 하고

2. 클로바노트로 녹음

3. 텍스트 변환

4. 그 텍스트를 기반으로 다시 구조를 짜고

5. 구조에 맞게 콘텐츠를 얹으며 살을 만들고

6. 디테일에 디테일을 더하는 작업

• 언제고 솔직하고 투명한 피드백,

• 콘텐츠의 홍수 시대에 '무엇을 다르게 할 수 있을까' 고민

• 일로 만났지만 어느새 우리가 일로 만난 사이인가 잊게 만드는 친밀감

• 무엇보다 진심으로, 함께 일하는 상대가 잘되길 바라는 마음과 응원.


잘한다 잘한다 박수치며 호응해주시는 김연희 대표님이 없었으면, 북토크 할 때마다 그림자 같이 함께 하며 청중들의 반응을 관찰하고 나에게 피드백 해주시는 이은규 에디터님이 없었으면, 나는 안달복달만 하다 새까맣게 타버렸을지도.


운이 참 좋다.


생각해보면,

변곡점의 포인트에 나를 이끌어주고 성장시켜준 분들이 늘 있었다. 정말이지 너무나 고마운 분들.


혼자 해서 되는 일은 없다.

내가 잘나서 되는 일이 아니다.


진심을 알아보고,

진심을 담아 일을 하는 사람이 되어야지.


#자기만의트랙

매거진의 이전글 직장인의 전문성이란 무엇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