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창업 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나무 Apr 15. 2018

우리는 모두 인생의 어느순간 창업자가 됩니다

그렇게 인생의 주인이 되어간다


오늘 브런치에 창업일기라는 매거진을 만들었습니다.


제가 인생에서 정한 목표 중의 하나가 창업입니다라고 마음속의 이야기를 말하며 시작하는 첫 글입니다.


저는 아직 창업을 하지는 않았지만, 심지어 그 창업의 시점이 언제가 될지조차 지금은 묘연하지만 창업일기라는 주제로 저 개인의 창업을 위한 일기를 쓰고자 합니다.
이 글들은 무엇보다 저를 위한 기록이 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모두 언젠가는 모두 스스로 인생의 주인이자 창업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창업에 대해서 생각한 것은 약 10년 전부터인 것 같습니다. 어쩌면 막연한 로망처럼 마음에 자리잡았죠.

“나도 언젠가는 나의 일을 하리라,
그리고 지금 하는 일들은 모두 피가 되고 살이 되는 경험이 될 것이다.
이 경험과 배움을 잘 쌓아서 언젠가 아주 작은 모습으로라도 나의 일을 통해 세상을 변화시키리라.”

하는 생각을 하며 커리어를 쌓아온 것 같습니다.

물론 저는 그 생각을 사람들에게 굳이 감추거나 하지 않았고 공공연하게 나는 창업을 할거야 라고 말하고 다녔기 때문에
심지어 오랜만에 보는 지인들은 도대체 언제 창업할래, 너 그 창업한다는 소리 10년전부터 하지 않았니 하며 농을 합니다.

저는 지금 다니고 있는 회사가 그런 의미에서 매우 감사한 곳입니다.
마치 저에게는 창업사관학교같은 곳이랄까요?

물론 창업을 이미 하신 선배님들은 저의 이 말을 들으시면 코웃음을 치시겠지만 저에게는 지금 회사가 이전에 다녔던 네 곳의 회사들과의 창업을 준비한다는 측면에서 차이점과 의미를 지닙니다.


두가지로 요약해보자면

1.내가 있는 이 곳 현지 로컬 중국회사라는 것
2.처음부터 끝까지 내 사업인것처럼 해볼 수 있다는 것

저는 지금까지 12년간 회사를 다닌 경력 중에서 마지막 3년에 해당하는 지금 다니고 있는 중국 회사에서 이 두가지를 크게 배운 것 같습니다.

그 12년 중에서 10년을 중국에서 일했고,
중국에서 일한 3곳 중에서 유일하게 중국회사인 이 곳에서 저는 중국이라는 로컬 내수 시장에서 해볼 수 있는 것들을 마음껏 해봤습니다. 그것도 한국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도가 주어지고 능력제이고 제가 맡은 업의 분야가 프로듀서중심제(Project Manager) 가 모든 사업을 처음부터 맡아서 business development 사업개발을 해야하는 업무라서 더 그런 느낌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중국에서 창업을 하고싶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어요.


그래서 언제가 될지 모를 “창업” 일기를

지금, 시작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창업은 일의 기쁨과 슬픔의 진폭이 커지는 일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