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유치전략' 시리즈를 시작하며
사업의 요체는 돈을 벌기 위한 것이고, 아이러니하게도 그 돈을 벌기 위해서는 돈이 있어야 한다.
돈을 벌기 위한 기본 장치를 구축하고, 제품 또는 서비스를 만들어서 시장에 내놓기 까지 버틸 여력을 주는 것 역시 ‘돈’이라는 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태생적으로 돈이 많은 사람들이야 신경쓸일도 없다. 사실 그런 사람은 돈을 벌려고 사업을 할 이유조차 없을수도 있겠지만...(아니다, 돈 많은 사람이 더 많은 돈을 원할수도 있겠다) 대부분의 창업자는 돈이 부족하다. 알토란 같은 시드머니가 바닥나는 일은 순식간이다. 그 많은 돈이 다 어디로 갔을까? ...모든 창업자가 푸념하면서 털어놓은 공통적인 얘기들이다.
그래서 자금조달이라는 단어가 생겼나 보다. 조달調達; ‘자금이나 물자 따위를 대어 줌’이라는 의미다. 더도 덜도 없이 맞는 말이다. 하지만 사업의 영역으로 넘어오면 ‘유치’라는 말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이 말이 좀 묘하다.
‘유치誘致’; ‘꾀어서 데려오거나 행사나 사업 따위를 이끌어 들인다’고 사전이 뜻을 풀어놨다. ‘꾀어서’가 있으니 어감이 이상야릇하기도 하지만, 이말이 ‘투자유치’라는 말과 매번 어울려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리 이상할 것도 없다.
왜냐하면 투자投資라는 말이 ‘이익을 얻기 위하여’ 어떤 일이나 사업에 자본을 대는 것이라는 뜻이기 때문이다. 어차피 돈을 대는 사람도 자기의 ‘利益’을 ‘꾀하기’ 위해 투자하므로 창업자가 이에 대해 애써 미안해하거나 선제적 부채를 느낄 필요는 없다.
‘투자유치’의 이러한 含意를 짚어보는 것은 이 말이 가지는 경제적 확장성 때문이다. 돈 많은 사람들에게는 1억원이 하찮을지도 모르나, 그 돈이 뛰어난 사업가의 수중으로 들어가면 수십억, 혹은 수천억을 벌어들일 수 있는 종잣돈이 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창업자와 투자유치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현대 창업에 있어 기술과 팀, 그리고 네트워크가 중요하다. 하지만 그 바운더리 전체를 아우러는 것이 바로 자금의 조달이다. 어쩌면 이것이 스타트업 ceo의 가장 큰 능력중의 하나일지도 모른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우수한 팀과 기술은 돈이 있으면 충분히 조달할수도 있겠기에 말이다.
이 글은 스타트업에게 투자유치가 중요하다는 말을 하기 위해 쓴다. 그래서 이 기획 시리즈를 투자유치가 필요한 스타트업이나 중소벤처기업의 CEO, 소상공인 자영업자, 혹은 자금조달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겠다.
투자유치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투자자들에 대한 이해, 투자시스템의 구조, 그리고 최근의 벤처투자동향과 투자트렌드를 읽어내는 기술 같은,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최종 단계에서 투자유치가 성사되지 않은 것을 많이 보아왔다. 투자자와 기업간의 서로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 시리즈가 바로 그 간극을 메워주는 길잡이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우선 투자유치시스템을 살펴보는 것으로 글을 시작한다. 투자가 이뤄지는 구조를 먼저 파악해야 보다 효과적으로 투자유치에 성공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최근 투자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들의 리스트를 확인했다. 이는 최근의 투자동향 및 투자트렌드를 알 수 있는 가늠자이기에 반드시 짚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 투자 사례’를 보는 것은 그 어떤 이론보다 효과가 있다.
또한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이 투자를 잘 받기 위한 ‘전략’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성공적인 투자유치를 위해서는 투자유치의 단계, 벤처펀드, 출자구조 등 투자유치에 위한 기본적인 지식과 상황에 대한 인지가 필요하다. 동시에 벤처캐피탈의 투자현황, VC를 공략하는 투자유치전략도 꼼꼼하게 따져볼 것이다.
다음으로는 투자유치 실전에 임했을 때 도움이 되는 지식을 다루려고 한다. 이 부분은 실전 IR 활동에 반드시 필요한 ‘투자유치용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이 전반적인 내용을 채울 것이다. 투자자를 앞에 두고 회사의 사업내용을 설명해서 투자자금을 이끌어내는 IR은 매우 중요한 행위이다. 효과적인 IR을 위한 Tip을 정리했다.
마지막으로 투자과정 중 필연적으로 거치게 되는 기업가치분석이나 경영권 방어를 위한 지분율에 대한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하지만 이 부분은 개괄적인 것만 설명했다. 왜냐하면 이 시리즈는 투자를 유치하는 방법론적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지분율 계산, 경영권방어기술, 밸류에이션 측정 등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자세히 써도록 하겠다.
과거처럼 저돌적으로, 무작정, 앞으로만 돌진하는 시대는 지났다. 지금은 공부하지 않는 CEO는 사업을 영속적으로 이어가지 못하는 시대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