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운 일이다. 어느 틈에 세계 수준에 가 있는 한국인들이 있다. 손흥민과 이강인 선수가 그렇고 류현진 투수는 물론 BTS 일곱 청년들이 그렇다. 지금도 그러하지만 생각해 보면 이전에도 한국인들은 문화와 예술, 그리고 스포츠 분야에서는 이미 빼어난 기량을 표출해 왔다. 비디오아트 백남준은 앞선 감각으로 미술의 판을 흔들었으며, 정경화, 정명화, 정명훈 남매는 클래식 음악계를 한동안 쥐락펴락하였다. 분데스리가는 차범근 선수의 흔적을 기억하며 박지성 선수의 후광도 눈이 부시다. 김연아, 박찬호, 황영조, 조수미, 싸이 등을 거쳐 박찬욱과 봉준호 감독에 이르러 만개하고 있다. 반면, 우리 사회와 정치는 1990년대 초 구소련의 붕괴와 함께 저물어 간 이념의 잣대에 아직도 서슬이 퍼렇다. 왜 그러는 것일까? 정치와 사회도 문화나 예술처럼 변화와 발전을 보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보수와 진보 또는 우와 좌로 갈라서 대결을 벌이던 이념의 분단 현상은 사실상 지구 상에서 한반도 이외의 지역에서는 그리 쉽게 발견되지 않는다. 완전히 소멸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지난 세기 냉전의 소용돌이만큼 첨예하게 대치하는 일은 거의 없는 게 현실이다. 우리에게 그럴 까닭이 있다면, 아직도 극복하지 못한 분단의 현실이 아프게 다가오기 때문이 아닐까. 오천 년을 함께 살았고 (겨우) 칠십 년을 나뉘어 살았다는 대통령의 표현이 있었지만, 그 칠십 년 단절의 세월이 이처럼 뛰어넘기 힘든 철벽을 가져다주지 않았는가. 분단의 벽을 우리가 넘을 수 있을 것인지는 우리가 이를 넘기 위하여 무엇을 하고 있는지를 살피면 알 수 있지 않을까. 아니, 우리는 정녕 분단을 해소하고 싶은 것일까? 닳아버린 표현, ‘통일’은 아직도 우리에게 소원이 맞는가? 질문은 각자에게 가능하다. 나는 통일을 바라고 있는가. 남과 북은 하나가 되어야 하는가.
등 돌린 사람들이 다시 함께 하려면, 아무리 힘들어도 만나야 한다. 어색하고 거북하며 비위가 틀려고 셈법이 맞지 않아도, 꾸준히 만나 겨루고 맞추며 나누어야 하지 않을까. 끝내 밀어붙여 이루어내기가 어렵고 힘들기는 운동과 음악, 미술과 문화에도 마찬가지가 아니었을까. 가무에 능한 민족이어서 그런 분야에 일가를 이루어 왔다면, 21세기에는 소통과 화합에도 새 역사를 써 내릴 수 없을까. 예술과 문화가 주로 ‘개인’의 기량에 달린 일이었다면, 이제는 ‘집단’으로 민족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함께 모으는 기량을 발휘할 때가 되지 않았을까.
나라와 백성을 위해 일한다면서, 정치인들은 명분과 실리를 따진다고 한다. 포항 지진으로 집을 잃은 백성은 아직도 천막에 머문 지가 550일이 훌쩍 넘겼다. 속초를 산불이 매섭게 쓸고 간 기억도 계절을 넘긴다. 어려운 경제는 날이 갈수록 국민의 삶을 어렵게 한다. 이제 그쯤 했으면 함께 할 명분도 서로 만들어 주고 각 당의 실리도 적절히 챙길 만하지 않은가. 남북이 만나야 하듯이 당신들도 나라를 위하여 만나야 한다. 국민이 당신들을, ‘나라야 산으로 가도 철밥통 지키며 싸움만 하는 이상한 사람들’로 보기 시작했다는 걸 알고는 계시는가. 문제를 풀기 위해서 남북도 만나야 하고 여야도 만나야 한다. 해결의 가닥은 만나야 잡힌다.
운동선수가 훈련에 땀을 흘리고 예술가가 혼을 불사르며 최고의 작품에 도전하듯이, 이제는 우리 정치가 걸작을 낳아주기 바랄 뿐이다. 이 땅의 백성이 가무에만 능하겠는가. 편 가르기와 패거리 정치에 능했던 만큼, 바른 정치와 선한 펼침에 몰두해 주시라. 믿고 맡긴 국민이 옛날과는 다르다. 당신의 모습에 진정이 실려있는지 국민이 알고 있다. 얼른 만나고 당장 섬겨 주시라. 국민은 오늘보다 나은 정치를 만나볼 자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