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wpw Oct 09. 2019

낙오의 경험

냉소, 조소, 읍소, 연소

"죽이는 SNS를 만들러 왔습니다"



특이한 일이다. 국비지원 교육과정은 받는 내가 말하긴 뭐하지만 1차 지식노동자 보급체계에 가깝다는 게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생각한다. 공고를 나와서 생산직 실습 보내는 거랑 비슷한. 그런 면에서 죽이는 SNS라는 건 마치 동네 복싱체육관에 등록한 학생이 복싱은 왜 배우고 싶어요?라고 했을 때 메이웨더 좀 줘 패려고요. 와 같은 느낌이 든다. 젊은이의 패기는 즐겁지만 시선에는 냉소가 서리고, 직업병처럼 웃는 강사는 역시 직업병처럼 웃으며 열심히 해보라는 말을 남긴다. 열심히.



세상 사람들은 간혹 지식노동이 당장 열심히 하면 가능한 일이라고 믿는 것 같다. 혹은 사회가 전반적으로 그렇다고 믿게끔 하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냉정하게 보자면, 지식노동도 육체노동도 완전한 초심자를 위한 판은 없다. 노가다도, 청소도, 출장뷔페도 근무 첫날, 이튿날, 일주일, 한 달 정도는 온몸이 비명을 지르고 피로감이 전신을 짓누르며, 요령껏 쉬고 요령껏 일하고 요령껏 효율적으로 몸을 굴리는 일은 그 이후의 일이다. 몸을 꾸준히 단련하거나 써 온 사람은 한 달이 하루나 이틀로 줄어들 수 있고, 몸을 전혀 쓰지 않은 사람은 꽉 차게 한 달이 걸릴 뿐이다. 그리고 어떤 절박한 이유가 없다면, 대체로 후자는 한 달이 되기 전에 다른 일을 하러 떠난다.



그 친구는 지식노동에 있어서는 정확히 같은 상황이었다. 대체로 지식활동을 어떤 식으로든 꾸준히 해 온 사람들은 경험적으로 자신의 학습능력을 파악하고 있고, 모르는 것을 익히는 자기만의 방식들을 나름대로 체화하고 있다. 누군가는 여러 번 읽는 걸로, 누군가는 쓰는 걸로, 누군가는 쓰고 읽고, 설명하고, 개념도를 그리고, 문제를 풀고, 복습 시간은 얼마나 잡아야 하고, 오늘 미루면 내일 얼마나 버벅 일지를 알고.. 그 사이 어딘가에서 적당히 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그 친구는 아니었다. 모르는 것을 이해하기 힘들어했고, 이해하기 위한 작업 역시 더뎠다. 누가 봐도 열심히 한다고 말할 수 있었지만, 누가 봐도 할 수 있다고 여기지는 못했다.




하루 9시간이 넘는 지식노동을 강제받는 상황에서, 그 친구는 자신에게 할 수 있다는 말을 해 준 강사를 붙잡고 펑펑 울었다. 이미 교실에서는 지식노동에 익숙한 이너 서클 그룹의 냉소와 비웃음에 한참 노출되어 있었고, 또 다른 나머지에게는 그 친구의 질문이나 버벅거림이 방해처럼 느껴졌으며, 이도 저도 아닌 이들에게는 그저 프로젝트에서 엮이고 싶진 않은데.. 하는 소극적인 거리두기를 통해 고립되어 있었고, 누구에게도 얘기할 수 없는 그러한 공기와 자신을 짓누르는 이해하지 못한, 따라가지 못한 지식의 양에 무릎을 꿇은 것이다. 열심히 하는데, 열심히 하는데 안됩니다. 뭇사람들은 거기에 또 한 번 냉소를 보냈고, 나는 웃지도 울지도 못한 채 찡그린 얼굴을 삼을 뿐이었다.




낙오의 경험은 어떤 것인가. 그건 공포이기도 하고 혐오이기도 하다. 스스로의 가치는 땅바닥 위로 철퍼덕하며 떨어지고, 힘겨운 존엄의 포기이기도 하다. 그 모든 것을 잃어버리고 있다는 공포는 이를 악물게 한다. 이를 한번, 두 번, 세 번, 네 번 악물다가 이내 낙오해 버릴 때에는, 죽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낙오의 경험이 없는 이는 축복받은 것이다. 나 역시 어떤 순간에 낙오를 한 경험이 있었고, 다만 운이 좋아 잘 지나왔다는 생각을 한다. 이를테면, 나이 서른이 다 된 이가 누군가를 붙잡고 펑펑 운다는 것은, 낭떠러지에 떨어지기 직전인 나를 제발 구해달라는 비명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으레 그렇듯, 시스템은 낙오자에게 낙오하게끔 만든다. 그것이 모두에게 공적 이익을 가져다주므로- 강사는 그 사람이 될 때까지 기다려줄 수 없고, 사람들은 그 사람의 낙오에 아무런 관심이 없다. 그것이 내가 아니라 오로지 다행일 뿐. 그것이 '공적'이라는 이름이 붙을만한 이익인지는 사실, 동의하고 싶지는 않다.




강사는 결국 열심히 하다 보면 언젠가는 될 거라는 말을 남긴다. 그리고 나는 그 말에 동의하고 싶었다. 대체로, 처음 접하는 영역도 들이받다 보면 어느 정도의 시간이 쌓이고 마련이고, 그러다 보면 점점 되게 된다. 저 사람은 그때까지 절망하지 않을 수 있을까? 그 시기는 언제 오게 될까. 모두의 삶이 달랐던 만큼 모두에게 다른 시간은 과연 그에게 언제쯤 손을 내밀어 줄까. 이런저런 생각에 잠길 때 즈음, 그에게서 아직 통곡의 기운이 가시기도전에 사람들의 원성 어린 눈빛과 함께 진도를 나가기 시작한다. 나 역시, 프로젝트로 비추어지는 화면을 따라 바삐 손을 움직인다. 나의 낙오가 지금이 아님을 안도하며. 비릿하게 상해 가는 마음을 숨기며.


작가의 이전글 친구의 진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