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경치사냥꾼 Jan 26. 2022

격리인듯 격리아닌 격리같은 격리

아파트는 무적권 전용 84

결혼기념일을 일주일 앞두고 우리 부부는 각방을 쓰기 시작했다. 코를 곯든 이를 갈든 꼭 붙어 자던 우리를 갈라놓은 것은 바로 코로나, 정확히는 오미크론이다. 권태기가 아니라 천만다행이다. 지난 주말 아내는 생전 하지 않던 기침을 달고 살았고 부모님과 가족사진을 찍고 와서는 몸살이 걸린 듯 아프다고 했다. 촬영에 혼신의 힘을 쏟아서 그런거 아냐? 라고 별거 아닌 듯 물어본 것과 달리 다음날 PCR 검사를 받은 아내는 결국 양성 판정을 받았다. 있을 잘할걸 들릴 때 말할걸, 이 아니라 오미크론은 감기보다 흔해진 바람에 자택격리가 기본이였다. 사실상 확진 이틀 후 보건소에서 연락이 왔고 그마저 격리에 대한 정확한 안내마저 없었으니 이것이 바로 K-방역.

우리집은 초소형 아파트로 방 두개 화장실 하나가 전부다. 그말은 즉슨, 자택격리를 하되 둘이 같이 격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좁은 집에서 분리 격리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국평 아파트였다면 안방에 화장실이 딸려 있어서 격리하기에 안성맞춤이었을텐데, 역시 모로가도 아파트는 국평인 전용 84다. 분명 1인 가구의 증가로 소형 아파트가 선호된다고 했었는데 코로나가 뒤집어 놓았다, 내 속을.  그렇게 우리 부부의 따로 또 같이 생활이 시작되었다.


격리 인듯 격리 아닌 격리 같은 격리, 란 말이 딱이다. 서로 마스크를 쓰고 있고 대화와 접촉을 자제하고 식사도 따로 한다. 반면 양치질을 하고 세수를 하고 볼일을 보는 화장실을 같이 쓴다. 옮지 않는게 더 어려운 일이지 않을까 싶다. 옮을 것이라는 전제 하에 시작된 격리. 이별할 것을 예견하고 시작한 사랑같은 느낌. 거진 24시간을 전용 49라는 좁은 공간에서 같이 머무른다. 옮지 않고 다음주에도 그 다음주에도 음성 판정을 받는다면 이제 날 스트롱가이로 불러다오. 새해를 맞이하여 미라클모닝을 외치며 아침마다 팔굽혀펴기를 한 보람이 생기겠구만.


이 안타깝고 우스꽝스러운 날들이 사실 싫지만은 않다. 아내를 위해 삼시세끼를 챙겨주는 일, 아내가 괜찮은지 걱정해주는 이들의 마음을 전해받는 일, 무엇보다 아내와 꼭 껴안고 자던 날들을 그리워하는 일. 이 모든 일들이 전에는 겪어보지 못한 감정을 느끼게 해준다. 어쩌면 이 격리의 시간이 결혼기념일을 일주일 앞둔 우리에게 서로 더 아껴주고 더 사랑하며 살라고 다독여주는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격리의 끝에 아내를 꼭 안아줘야겠다.

작가의 이전글 김밥 마는 여자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