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대환 Sep 01. 2020

새를 본다는 것(2)

(2) 새를 공부하려면.....

(1) 일단 찍어야 한다.


1) 단순히 필드 스코프나 쌍안경을 보고 새의 모든 것을 기억할 수 있다면 사진을 찍을 필요가 없다. 이것이 불가능하다면 일단 무조건 찍어야 한다. 공부만을 위해선 그렇게 잘 찍을 필요는 없다. 알아 볼 수 있을 정도로만 찍어도 공부가 가능하다.


2) 난 사람의 기억을 신뢰하지 않는다. 또한 사람의 5감 역시 신뢰하지 않는다. 어디서 어떤 새를 봤다고 질문하는 사람이 있다면 사진을 보여 달라고 한다. 사진이 없다고 하면 더 이상 이야기를 진행시키지 않는다. 불확실한 근거로 논쟁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인천 월미산 - 새를 찍기 위해 위장을 하고 있다.

3) 사진을 보면 그 사람의 새를 보는 수준을 알 수 있다. 이건 사진을 잘 찍느냐 못 찍느냐의 문제가 아니다. 새 마다 새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부위별로 다르다. 따라서 사진에 그 부위가 나타나 있으면 그 사람은 어디를 찍어야 하는지 안다는 것이고 이것은 그 사람의 수준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2) 도감을 읽어라.


1) 대부분의 사람들은 도감을 보기만 한다. 물론 이 부분도 필요하다. 그러나 보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부분이 많다. 읽어야 한다. 무엇을 설명하는지 읽지 않고 내용을 이해할 수는 없다. 도감은 그림 맞추는 책이 아니다. 다만 요령을 설명하자면 도감에 있는 사진이나 그림 중 특별한 표시(보통은 화살표)를 확인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부분에 이 표시가 그려져 있다. 그리고 그 표시가 왜 있는지 도감을 확인해야 한다.


2) 우리나라의 조류 연구 수준은 정말 낮은 수준이다. 왜 이렇게 수준이 낮은지에 대해선 구지 자세히 설명하지 않겠지만 가장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은 외국에 비해 역사가 짧다. 이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따라서 모르는 부분이 많으니 해야 할 일도 많다고 생각하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다.


3) 도감보다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은 없는가? 있다. 좋은 스승을 만나는 것이다. 매우 어려운 부분이지만 가장 빠른 시간 안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어떤 면에선 이 부분도 능력이라면 능력이기 때문에 옳은 결정이 빠른 성취를 이룰 수 있다.

keyword
작가의 이전글 새를 본다는 것(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