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지원 Sep 13. 2020

난장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2

'난쏘공'과 '기생충' 사이 - 난쏘공 다시 읽기

* '난쏘공'의 가난과 '기생충'의 가난 비교는 '난장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1'에 있습니다.


역사는 대게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라는 큰 축으로 나뉘어 흐른다. 또 하나의 큰 축은 육체노동을 하지 않는 자와 육체노동을 하는 자이다. 가난한 자들은 가지지 못한 자이면서 동시에 육체노동을 하는 자이다. 난장이 가족은 늘 땀 흘려 일한다. 영수 영호 형제는 땀 흘려 일하지 않는 자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는 걸 이른 나이에 깨달았다. 이들은 부연 톱밥 더미 안에서, 인쇄 공장에서 피땀 흘려 일했고, 노동자의 땀으로 공장과 경제는 성장했다. 그러나 임금은 오르지 않았고, 잔업과 철야는 당연시됐으며 공장을 가진 자들은 노동자의 항의를 묵살했다. 폐업 위기와 같은 협박으로, 기계의 소음과 칸막이로 노동자들을 철저히 분리시켰고 불만을 제기하는 자는 가차 없이 해고했다. 87년에 이르러서야 전국적으로 노동조합이 만들어지고 하루에 30건이 넘는 투쟁을 일으켜 정규직, 타당한 임금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그때의 노조에 참여했던 이들은 지금 기득권이 되어 20대 노동자와 비정규직의 의견을 묵살한다.


난장이 가족의 형제가 철썩같이 믿었던 계층 상승의 다리는 노동 이전에 공부였다. 하지만 공부조차도 기본적인 의식주가 해결돼야 꿈꿀 수 있는 것이었고, 대학에서 고등 교육을 받기 위해 부모는 소를 팔아야 했다. 좋은 대학에 갈수록 좋은 직장을 가질 수 있었고 등 따숩고 배부르게 살 확률이 높아졌다. 사람들은 점점 소위 ‘인서울’만을 바라보고 달렸고, 고액 과외와 해외 유학은 필수 코스가 되어 갔다. 드라마 ‘스카이 캐슬’에서 그토록 떠들어 대던 학종(학생부 종합 전형)은 아는 교수가 없으면, 적절한 봉사 활동을 도와줄 사람이 없으면, 독서 목록을 만들어 주고 토론을 이끌어 줄 사람이 없으면 이루기 힘든 것이다. 21세기의 개천에서는 용이 태어나지 못한다. 이른바 ‘강남에서 용 나는 사회’다.

'난쏘공' 배경 동네 낙원구 행복동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대학을 계층 세습을 정당화시키는 제도라고 말한다. 자본을 가진 자가 부모의 자본을 그대로 세습 받는다면, 사람들이 불만을 가지겠지만, 공부를 잘해서 좋은 대학에 가 기득권을 누린다면 정당해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공부를 잘한다는 것, 좋은 대학에 간다는 것도 결국 자본과 권력을 가진 자들에게 유리하도록 변해왔다. 요즘 사회에서 수능, 공부가 가장 평등하다고들 하던데, 과연 그럴까? 그런 말들로 부의 세습을 정당화하며 가난한 자들을 비웃어 온 건 아닐까. 작가 조세희는 일찍이 이런 사회를 경고했다. ‘햄릿을 읽고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으면서 눈물을 흘리는 (교육받은) 사람들이 이웃집에서 받고 있는 인간적 절망에 대해 눈물짓는 능력은 마비당하고, 상실당한 것은 아닐까?’라고. 과연 그렇다. 그들은 노동과 교육을 자기편으로 만들며 가난을 손가락질 해왔다.


학교와 사회 제도마저 가난한 이들을 위한 울타리가 되지 못한다. 주변인들에게 가난은 숨겨야 하는 치부이지만, 그나마의 생활을 위한 지원을 받기 위해서 가난을 헤집어 드러내 보여야 한다. 배곯는 초등학생이 급식비를 지원받기 위해서, 돈 없는 취업준비생이 국가의 지원금을 타내기 위해서 내가 얼마나 뼈 빠지게 힘든지를 정량적으로 정성적으로 드러내야 한다. 심지어 때때로 손가락질받기도 한다. 배려 없는 몇몇 선생님은 가난한 학생을 차별하고 때로 모든 반 학생들이 알게 만들었다. 사람들은 왜 세금으로 돈을 주나며, 그걸로 유흥을 즐길지 어떻게 아냐며 부당하다고 말한다. 과거의 가난한 자들은 ‘우리’라는 이름으로 연대할 수 있었지만, 지금의 가난한 자들은 각자가 속한 사회에 숨죽이며 살아간다.

영화 '난쏘공'


그래서 우리는 가난에 대해 생각해봐야 한다. 가난한 자들의 삶을 돌아봐야 한다. 그들의 게으름 탓할 게 아니라, 사회 구조적 개혁의 문제를 논의해봐야 한다. 가난한 사람을 진정으로 위하는 복지 정책은 무엇일지 고민해봐야 한다. 난쏘공의 지섭은 이렇게 말했다. “사람들은 사랑이 없는 욕망만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단 한 사람도 남을 위해 눈물 흘릴 줄 모릅니다. 이런 사람들만 사는 땅은 죽은 땅입니다.” 가난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다면, 당연하게 가난한 자들을 손가락질 하게 된다. “젊었을 때 얼마나 공부를 안했으면, 얼마나 게을렀으면….” 같은 생각이 불쑥 자리 잡는다. 청소 노동자, 마트 판매원, 공장 노동자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라는 생각은 하지 못한 채. 나조차도 무심코 육체노동을 하는 자와 하지 않는 자로 사람들을 구별 짓고 흠칫 놀랄 때가 많다.


우리는 늘 길에서 여러 노동자의 목소리를 듣는다. 기어이 현수막을 앞세우고 파업에 들어가야 겨우 주목 받는 세상이다. 그마저도 외면당하는 경우가 많다. 각자의 자리에서 묵묵히 일하는 대가가 사회로부터의 소외이자, 능력 없는 사람이라는 손가락질이라면, 건강한 사회라고 할 수 있을까. 시간이 지날수록 도태된 사람은 더 깊은 곳으로 도태되는 사회가 되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가난, 빈익빈 부익부, 복지 국가 같은 것들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한다.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난쏘공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가 아니라, ‘난쏘공에 반추해 봤을 때 우리 사회는 얼마나 달라졌는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이다.


작가의 이전글 난장이를 위한 나라는 없다 - 1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