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Drama DAY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inoDAY Mar 19. 2020

넷플릭스 <킹덤 2>, 피에 죽고 피에 살다

<킹덤> 시즌 2 리뷰

1. 몰려오는 역병 환자들을 상대해 치열한 전투를 벌이던 '이창(주지훈)'은 끝내 상주 읍성으로 퇴각한다. 불의의 사고로 식량창고가 불타고 군사들과 백성들이 모두 위기에 빠지자 창은 한양으로 올라가 자신의 자리인 왕위에 오르기로 결심한다. 하지만 문경까지 내려와 함정을 만든 '조학주(류승룡)'와 임산부를 이용해 권세를 누리려는 '중전(김혜준)'은 그의 앞길을 막아선다. 괴물들이 한양까지 들이닥친 가운데 역병과 정적에 맞서 창은 '서비(배두나)', '어영대장(박병은)', '조범팔(전석호)'의 도움을 받으며 자기자신과 왕실, 그리고 나라의 운명을 건 싸움에 나선다.


2019년에 공개되어 열광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던 <킹덤> 시즌 1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정치 드라마와 좀비 아포칼립스 장르가 결합된 신선한 아이디어가 빛났던 작품이었다. 1년 만에 돌아온 <킹덤> 시즌 2 역시 팬들의 거대한 기대를 받고 있었는데, 시즌 2는 시즌 1의 성공이 결코 우연이 아니었음을 증명하는 데 성공하며 그 기대를 충족시켰다. 더 진중해진 정치극과 한층 커진 스케일로 무장한 역동적인 좀비물의 조합은 6편의 에피소드를 정주행 하도록 만들기 충분했다.



2. <킹덤> 시즌 2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한층 더 깊어진 정치 드라마로서의 면모다. <킹덤> 시즌 1의 주된 스토리는 세자 이창이 고통스러워하는 백성들을 직접 마주하고 이상적인 왕으로 성장해나가는 내용이다. 시즌 2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권력이 무엇인지, 그리고 왕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러한 질문에 대한 고민과 답은 드라마의 핵심 소재인 피에 담겨 있다.


<킹덤>에서 피는 작중 권력과 왕을 상징한다. 작중 왕위를 둘러싼 인물들의 대립구도가 그들의 피를 대하는 상이한 태도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조학주와 중전은 피를 갈망하는 괴물들과 다르지 않다. 왜군에 맞서 열세에 몰렸던 조학주는 왕실의 혈통을 지키겠다는 이유로 일반 백성들의 피를 희생시켜 괴물들을 만들어낸다. 왕실의 혈통을 이을 능력이 없는 중전은 임산부들의 아이들을 가로채 자신의 혈육으로 둔갑시키며, 피를 갈망하는 역병 환자들을 이용한다. 왕실의 혈통을 갈망하며, 그 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이든 이용하고 감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들은 좀비나 다름없다.


반면에 이창은 역병을 이용하지 않고 역병을 없애려고 한다. 방계 출신 왕족인 노성군의 후손과 나눈 대화에서도 그는 왕실의 혈통이 중요할지언정 그 피가 왕의 자격을 부여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에게 주어진 왕실의 피를 부정하며, 가장 보잘것없는 피를 조선의 왕으로 세우고, 백성들의 피를 지키기 위해서 싸운다. 피를 갈망하는 자들과 피를 지키려는 이의 사투는 곧 진정한 왕과 권력이 혈통에서 비롯되지 않고 피 흘리는 이가 없게 만들 때 만들어진다는 명제를 다시 한번 일깨운다. 그렇기에 왕실의 혈통을 상징하는 종묘에서 시즌 2의 스토리가 일단락되고, 종묘제례 장면에서 원자가 왕으로서 처음 등장하는 것은 마지막까지 피라는 상징이 지닌 힘을 영리하게 활용한 전개다.



3. 한편 시즌 1부터 보여줬던 지배계층을 향한 비판은 이번 시즌 안에서도 이어진다. 좀비에게 물린 사람을 촌충이 조종한다는 서비의 설명을 듣고 이창은 "이 작은 것이... 이 작은 것이..."라고 되뇐다. 혜원 조 씨라는 극소수 사대부 가문의 통치로 인해서 사람들이 얼마나 고통받고 있는지를 두 눈으로 직접 목격한 바 있으니, 자그마한 벌레가 사람들을 통제한다는 사실은 세자인 그에게 남다른 아픔일 것이다.


또한 비판의 메시지가 서사 안에서 구체화되는 전개도 인상적이다. 중전과 세자의 갈등은 시즌 2를 이끄는 중심 대립구도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둘의 갈등은 각자의 개인적인 정체성과 함께 더욱 효과적으로 제시된다. 중전은 "제가 계집이라는 이유로 언제나 경멸하고 무시하셨죠"라면서 사대부 집안에서 여성의 겪는 어려움을 토로한다. 이창 역시 마지막 순간까지 서자라는 꼬리표를 떼어내지 못한다.


흥미로운 것은 출신이라는 한계를 넘어서는 방식이다. 이창은 서자라는 신분을 인정하고 정체성의 일부로 인정한다. 그래서 그는 본인이 왕이 되지 않아도 그 자리에서 나라와 백성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해 나간다. 반면에 중전은 여성이라는 정체성을 지우려고 애쓴다. 그녀는 자신이  권력을 가질 수 없게 되자 역병 환자들을 이용해 모든 것을 파괴하고자 한다. 이처럼 <킹덤>은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방식의 차이를 통치 방식의 차이로 확장해 가면서 마지막 에피소드까지 극적 긴장감을 유지한다. 또한 사극의 외관을 한 묵직한 정치 드라마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4. 사실 모든 드라마의 두 번째 시즌은 필연적으로 신선함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내포한다. <킹덤>도 마찬가지다. 한국형 좀비물, 사극형 좀비물이 남긴 최초의 충격은 재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시즌 2의 연출로 새롭게 합류한 박인제 감독은 디테일한 연출로 차별화를 꾀한 것처럼 보인다. 이번 시즌에서는 특히 소리를 활용한 연출이 돋보이는데, 보이지 않는 장애물 너머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순전히 소리를 통해 전달되는 장면은 건물 안의 있는 사람들의 시선에서 극도의 공포감을 맛보게 만든다. 또한 스케일을 한 층 키운 것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첫 번째 화에서 펼쳐지는 좀비와의 전투씬, 이후 등장하는 연과 대포를 활용한 전투, 마지막 궁궐 내에서 수직과 수평으로 움직이며 펼치는 좀비와의 사투는 시즌 1에서 볼 수 없었던 스펙터클을 선사한다.


하지만 새로운 시도들이 전부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우선 액션씬의 경우 스펙터클 해지고 규모가 커진 만큼 보는 재미가 보장되지만, 각각의 장면들이 새롭지 않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특히 <왕좌의 게임>의 그림자가 너무 짙다. 얼어붙은 후원에서 싸우는 시퀀스는 얼어붙은 호수에서 와이트들과 싸우는 존 스노우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궁 내부에서 사람들이 좀비들에게 쫓기는 장면은 윈터펠 전투 당시 성 안에서 와이트들에게 쫓기던 아리아 스타크의 모습과 유사하다. 비록 액션 씬은 아니지만, 조학주가 '안현(허준호)'에게 좀비를 처음 보여주는 장면 역시 세르세이에게 와이트를 처음 보여주는 존 스노우를 연상시킨다. 이처럼 여러 장면들에서, 특히 좀비가 등장하는 장면에서 타 드라마와 유사한 부분이 지나치게 많은 것은 분명히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5. <킹덤> 시즌 2는 앞선 시즌에서 남긴 의문점들에 대한 답을 주면서 동시에 이후 이야기를 위한 세계관을 더 공고히 다져야 하는 작품이었으며, 그 목적을 충분히 달성한 것처럼 보인다. 실제로 이 드라마는 좀비가 생긴 유래, 치료법, 생사초의 비밀부터 더 큰 흑막에 이르기까지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피라는 소재 안에 담아 들려준다. 거대한 스펙터클을 뽐내며 회당 20억 원이라는 제작비의 힘을 보여준 점도 인상적이다. '아신(전지현)'이 등장한 순간 무조건 다음 시즌을 봐야만 한다고 느끼게 만드는 드라마, <킹덤> 시즌 2다.  



E(Exceeds Expectations, 기대 이상)

시즌 1에서 없던 문제들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흥미롭고, 섬뜩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