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inoDAY Jul 23. 2020

넷플릭스 <7월 22일>, 영화가 고통을 재현하는 이유

<7월 22일> 리뷰

2011년 7월 22일 오후 3시 반에 노르웨이의 수도 오슬로의 정부청사에 폭탄테러가 발생해 총리실 건물이 크게 파손되고 7명의 사망자와 19명의 부상자가 나왔다. 같은 날 오슬러 북서쪽 30km에 위치한 우퇴위아 섬에서는 총기난사 테러가 발생했다. 우퇴위아 섬은 당시 집권 여당인 노동당 청년캠프 행사가 열린 장소였고, 700명이 넘는 10~20대 청소년이 캠프에 참여 중이었다. 고립된 장소에서 테러의 범인인 아네르스 브레이비크는 아무런 방해 없이 68명의 청소년을 죽였다. 2018년에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폴 그린그래스 감독의 <7월 22일>은 바로 이 노르웨이 테러 사건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7월 22일>처럼 비극적인 사건을 소재로 하는 영화들은 언제나 해당 사건을 얼마나, 또 어떻게 보여줄 것인지에 대한 딜레마에 빠진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관음증적인 성격을 지닌 엔터테인먼트라고 할 수 있다. 관객들은 철저히 제 3자의 시각에서 카메라에 담긴 인물들의 삶의 단면을 감상한다. 문제는 스크린에 펼쳐지는 인물들의 삶이 아픔과 고통으로 가득할 때다. 카메라는 사람들을 관찰할 수 있을 뿐, 그들이 도움을 필요로 하더라도 결코 도울 수 없다. "누군가의 상처를 엔터테인먼트로써 바라만 보는 것이 윤리적인 일일까?"라는 의문에서 자유롭지 못한 것이다. 특히 그 상처가 가상이 시나리오가 아닌, 실제로 있었던 사건이라면 해당 사건을 재현해서 관객들에게 오락으로 제공하는 영화의 윤리성에 대해서는 더더욱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전쟁 영화의 걸작이라고 평가받는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오프닝 시퀀스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의 상황을 가장 완벽히 구현해 강렬한 스펙터클을 보여주는 장면이라고 평가받는다. 영화는 관객들이 이 장면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느끼기를 바란다. 그래야만 전쟁의 본질에 대해 고민하고 조국을 위해 희생하는 주인공들의 행동에 개연성이 생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때문에 <라이언 일병 구하기>는 재현의 윤리를 잊었다는 비판도 받는다. 꼭 제2차 세계 대전이 아니더라도 전쟁터에 복무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 오프닝 시퀀스는 보는 것만으로도 트라우마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아무리 철저히 고증을 하고 생생한 카메라 구도로 당시의 상황을 보여줄지라도 관객들은 결코 전쟁터를 실감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러한 재현은 철저히 기만이라고 볼 수도 있다. 비처럼 쏟아지는 포탄과 총을 맞고 다리가 잘려 나간 군인들의 비명소리는 스크린 속의 가상에 불과하다. 영화를 보면서 다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렇기에 의자에 앉아서 고통스러운 이미지와 음성을 접하는 것만으로는 결코 그 현장을 알고 있다고 말할 수 없고, 이는 타인의 고통을 소비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그렇다고 해서 영화가 타인의 고통과 아픔을 다루지 않는다면 그 또한 문제다. 영화의 존재가치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극 예술을 카메라에 담은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극 예술의 시작이 등장인물의 고통과 비극에서 비롯된 강렬한 페이소스와 카타르시스에 기반을 둔 그리스 비극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당연한 일이다. 실제로 타인의 고통에 공감할 수 있는 길을 그 어떤 미디어보다 생생하고 쉽게 열어준다는 점은 영화의 가장 뛰어난 장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7월 22일>은 왜 영화가 때로는 비윤리적이라는 비판을 감수하면서까지 고통스러운 사건들을 재현해야 하는지에 대해 적절한 답변을 내놓은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초반부만 놓고 보면 이 영화 역시 재현의 윤리를 잊은 듯 보인다. 테러를 준비하는 범인의 모습, 테러가 발생한 정부청사, 범인이 우퇴위아 섬에 들어가는 과정과 그 안에서 벌어진 학살극, 무방비로 죽고 부상당한 학생들과 수많은 유가족들의 눈물과 비명까지 영화는 감독 특유의 핸드헬드 기법을 활용해 결코 길지 않지만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당시의 상황을 전달한다. 이 대목에서 <7월 22일>은 분명 반인류적 범죄를 오락으로 소비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그러나 이 영화의 구성은 테러 사건의 고통스러운 이미지와 음성을 왜 되살려야만 했는지를 분명하게 제시한다. '7월 22일'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고, 테러의 전후 사정과 흐름을 구체적으로 짚는 것과 별개로 영화의 초점은 테러가 아니라 테러 이후 피해자들의 삶에 맞춰져 있다. 실제로 작중 테러를 묘사하는 장면은 2시간 중 첫 30분을 넘기지 않는다. 대신 영화는 총격을 당해 뇌수술을 받은 '빌야르(요나스 스트란 그라블리)'와 그의 가족이 살아가는 모습과 범인인 '아네르스(아네르스 다니엘센 리)'가 재판을 준비하는 과정을 번갈아 비추면서 그 이후 러닝 타임을 가득 채운다.  


이러한 구성은 보는 것만으로는 가늠하기 어려운 피해자들의 트라우마를 실감은 못할지언정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만들어주며, 더 나아가 영화의 메시지를 강조한다. 힘겹게 법정에서 증언하는 빌야르는 이렇게 말한다. "(범인이) 나를 죽일지 살릴지 알 수 없었어요. 그러나 지금 저는 선택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제게는 아직 가족이 있고 친구들, 추억, 꿈, 희망, 그리고 사랑이 있어요.(...) 저는 살기로 선택했어요." 세상에 끔찍한 일이 많지만 이를 피해서는 안된다고, 두려움과 공포가 뺏지 못한 것을 믿고 이겨나가야 한다며, 가해자에게 그가 성공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고 힐난하는 이 대사는 물론 그 자체로도 인상적이다. 그러나 친구들을 잃고, 재활 과정이 너무나도 고통스러워서 삶을 포기하려고 했던 빌야르가 자신의 트라우마를 이겨내는 모습을 옆에서 보며 최소한의 공감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인상적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는 영화가 참극을 굳이 재현하는 이유다. 



한편 <7월 22일>의 재현은 테러 당시와 현재 상황이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유의미하기도 하다. 사건의 범인인 아네르스 브레이비크는 극우적인 이념의 소유자로, 늘어나는 무슬림 이민자들이 유럽을 망치고 있으며 백인들을 위한 유럽을 만들어야 한다는 이유로 테러를 일으켰다. 그리고 2020년 현재 모든 인류의 공통된 위기인 판데믹 상황에서 우리는 아네르스의 배타적이고 이기적인 민족주의가 흑인과 동양인을 대상으로 여전히 살아있음을 목격한 바 있다. 이러한 차별과 억압의 결과가 어떤 모습일지 <7월 22일>은 9년 전 사건의 재현하면 일깨워 주고 있으며, 이는 과거의 아픔을 재현하는 작품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또 하나의 답이다.



E(Exceed expectations, 기대 이상)

때로는 잔인하다 싶을 정도로 영화가 고통을 되살려내는 이유




매거진의 이전글 <다크 나이트 라이즈>, 영원히 끝나지 않을 신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