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Drama DAY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inoDAY Apr 13. 2024

기생수: 더 그레이 | 군더더기 없는 크리처 액션물

넷플릭스 <기생수: 더 그레이> 리뷰

*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마트 계산원으로 일하던 '정수인'(전소니)은 한 남자와 시비가 붙은 후 목숨을 위협받는다. 바로 그 순간, 하늘에서 기생수 포자가 떨어지고, 그중 하나인 하이디는 정수인의 몸에 달라붙은 후 남자를 죽여 버린다. 그 자리에서 기절한 정수인을 발견한 형사 '김철민'(권해효)은 사건에 의문점을 품고, 기생생물 전담팀 더 그레이의 팀장 '최준경'(이정현)의 설명을 들은 후에야 사건 전말을 파악한다. 


한편, 폭력 조직의 말단 조직원으로 일하다 배신당해 도망자 생활 중이던 '설강우'(구교환)는 잠시 쉬기 위해 고향집으로 되돌아온다. 하지만 병에 걸린 누나의 상태가 이상할 뿐만 아니라 여동생도 집에 없자 그는 의심을 품고, 나름의 조사를 진행하던 중 그는 기생생물의 존재와 목사 '권혁주'(이현균)가 이끄는 조직의 음모에 휘말리고 만다. 



<부산행>을 벤치마킹한 스핀오프

퐁당퐁당. 연상호 감독을 늘 따라붙는 수식어다. 대중적으로도, 비평적으로도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기 때문. 달리 말해 이른바 연니버스 작품은 고점과 저점의 간극이 크다. 흥미롭게도 그의 실패작은 한 가지 공통점을 갖는다. 구심점이 확실하지 않다. 여러 콘셉트와 플롯을 동시에 풀어가는데 애를 먹는 경우가 많았다. <반도>나 <염력>이 대표적이다. 


반면에 <부산행>은 콘셉트가 확실했다. '부산행 KTX 안에서 좀비랑 싸운다'는 액션과 '좀비랑 싸울 수 있는 힘이 부성애, 모성애, 가족애, 이성애에서 비롯된다'는 드라마에만 철저히 초점을 맞췄다. 이는 비록 후반부에 신파가 과하다는 평가를 받았을지언정 <부산행>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였다.


일본 만화 '기생수'의 한국 배경 스핀오프 드라마인 <기생수: 더 그레이>는 <부산해>의 작법을 Ctrl+C, Ctrl+V 했다. 우선 그림이 명확하다. 기생생물의 초능력에 인간들이 맞서 싸운다. 보여주려는 드라마도 명료하다. 기생생물과 인간의 차이를 부각하며 인간성의 본질에 대해 논하려 한다. 그 덕분에 기생수의 포자가 한국에도 떨어졌다는 상상력은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로 탈바꿈하는 데 성공한 듯 보인다. 



확실한 매력 어필

<기생수: 더 그레이>는 시작부터 강렬한 액션으로 눈길을 끈다. 정수인과 하이디의 만남을 보여준 후, 곧장 그레이 팀과 기생생물의 액션이 이어진다. 이처럼 빠르고 간결한 전개는 서울역과 KTX를 덮친 좀비 떼를 보여주며 관객을 압도한 <부산행>과 유사하다. 마치 액션 시퀀스를 먼저 구상하고, 시퀀스 간의 접착제로서 드라마를 활용한 게 아닌가 싶을 정도로 군더더기 없다. 


탄탄한 액션 연출 덕분에 간결함이 더 인상적이다. 초반부에는 인간을 압도하는 기생 생물의 신체 능력을 적절히 활용했다. 도로 위나 개활지, 절벽 등을 배경으로 삼아 시원하고 박력감 넘치는 액션을 보여주는 데 성공했다. 그 덕분에 히어로 영화로 따지자면 <토르: 라그나로크>를 보는 듯한 쾌감이 두드러진다. 


눈이 익숙해지려는 찰나에 액션 콘셉트를 바꾼 선택도 영리했다. 후반부는 마치 <에일리언> 시리즈를 보는 듯하다. 인간과 기생생물이 쫓고 쫓는 추격전의 서스펜스에 집중한 실내 시퀀스가 주를 이루기 때문. 기생생물이 인간 몸에서 자유롭게 탈부착하는 능력을 부각하면서 재미를 더하기도 했다. 그 덕분에 <기생수: 더 그레이>는 액션 분량이 꽤 많은데도 단조롭거나 질린다는 느낌 없이 마지막까지 극을 이어가는 데 성공했다.  



사회적 동물의 진의를 찾아서

이에 더해 드라마도 인상적이다. 액션과 액션을 이어주는 역할에 충실할 뿐만 아니라, 나름대로 깊이 있는 논의를 선보였기 때문이다. <기생수: 더 그레이>는 인간과 기생생물을 대조하며 인간성의 의미를 짚는다. 권 목사의 말대로, 각자도생이 곧 삶의 목적인 기생 생물과 달리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비록 개체 하나하나는 인간이 기생생물을 이길 수 없지만, 인간이 협력을 통해 기생생물을 박멸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때 <기생수: 더 그레이>는 사회성을 이해하는 두 방향성을 보여준다. 우선 권 목사의 길이 있다. 그는 인간에 맞서려면 인간처럼 사회와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엇보다도 조직의 우두머리가 되어서 자기 뜻을 관철시킬 수 있어야 한다며 야욕을 드러낸다. 즉, 그에게 사회성이란 권력이다. 


반면에 인간의 길도 있다. 정수인과 설강우에게 사회성은 곧 믿음이다. 그들은 끊임없이 타인을 믿는다. 정수인은 김철민이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최준경이 자기를 체포하려는 순간에도 기생생물을 막으려는 그녀의 진심을 믿는다. 설강우도 다르지 않다. 사람을 믿는 정수인이 너무 순진하다는 하이디에게 그는 인간이란 집단에 속해야만 비로소 살 수 있다고 일러준다. 


그들이 버려진 존재이다 보니 그 믿음은 더 의미심장하다. 정수인은 가족에게, 설강우는 몸담았던 폭력 조직으로부터 버려졌다. 김철민은 가장 믿고 의지한 파트너에게 배신당한다. 그런데도 그들은 다른 사람을 믿는다. 자칫 순진하고, 맹목적인 것처럼 보이는 신뢰 덕분에 인간은 기생생물을 무찌를 수 있다. <기생수: 더 그레이>가 인간이라는 사회적 동물의 본질을 다루는 영리한 이야기인 이유일 수 있었던 이유다. 



캐릭터는 희생한다

다만 <기생수: 더 그레이>의 만듦새가 아주 매끄럽지만은 않다. 우선 매력이 돋보이는 캐릭터를 찾기 어렵다. 주인공인 정수인만 해도 존재감이 크지 않다. 가족과 사회로부터 버려졌지만, 인간에 대한 신뢰를 간직한다는 플롯에 충실한 도구일 뿐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정수인과 하이디의 역할이 철저히 나뉘어 있기 때문. 액션은 하이디가, 드라마는 정수인이 전담한다. 그러다 보니 정수인보다 하이디가 빛나는 순간이 많다. 결정적인 순간마다 하이디에게 목숨을 의존한 결과 정수인은 자연히 수동적인 캐릭터가 된다. 둘이 소통하는 장면도 많지 않다 보니, 둘의 공조를 강조하기도 애매하다. 그 결과 정수인보다 설강우가 더 돋보이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발생한다. 


소니 스파이더맨 유니버스의 <베놈>과 비교해 보면 문제가 더 분명해진다. <베놈>의 주인공 '에디 브룩'(톰 하디)은 정수인과 비슷한 상황에 처해 있다. 똑같이 기생생물과 결합했다. 이때 에디는 자신과 베놈의 공통점을 살려 유대 관계를 쌓고, 액션씬에서도 함께 활약한다. 심지어 둘의 티키타카는 유머 소재로도 활용되며, 캐릭터에 매력을 더한다. 아쉽게도 <기생수: 더 그레이>에서는 이러한 대목을 찾아볼 수가 없다. 


마지막으로 연상호 감독의 고질병도 여전하다. 애니메이션에서 실사 영화로 노선을 바꿔서인지 그연기 디렉팅은 미묘한 평가를 받았다. <부산행>만 봐도 배우들의 연기 톤이 조화를 이룬다는 느낌은 없다. <기생수: 더 그레이>도 마찬가지다. 특히 이정현의 대사 톤이 유달리 과장되어 있다 보니, 브리핑 장면처럼 몰입이 순간적으로 깨지는 순간이 적지 않다. 시즌 2가 제작된다면 반드시 수정되어야 할 문제가 아닐까 싶다. 



Acceptable 무난함 

성공과 흥행의 필요조건만은 확실히 챙기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