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ProtoPie 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rotoPie Apr 18. 2022

ProtoPie에서 타이핑 효과 제작하는 법

ProtoPie에서 타이핑 효과를 제작하는 법을 알아보세요.

*Brunch 내 오류로 인해 몇몇 gif는 사진으로 대체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개요


타이핑 효과는 글자가 화면에 타이핑되는 듯한 느낌을 주어 웹사이트나 앱을 더욱 매력적으로 보이게 합니다. 이 효과는 랜딩페이지, CTA, 개인 웹사이트 혹은 앱, 그리고 코드 데모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죠. ProtoPie에서는 이미 지정된 formula, variable 그리고 “left”“length”등의 text function을 사용하여 해당 효과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 튜토리얼을 통해 타이핑 효과 구현하는 방법을 마스터해 보세요.


튜토리얼 아웃라인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아래 세가지 부분에 대해 살펴볼 예정입니다.

1. “left”  “length” formula 이해하기
2. 텍스트 스트링과 글자 수 저장을 위한 variable 만들기
3. 텍스트를 점차적으로 입력시켜 타이핑 효과 구현하기

이번 튜토리얼을 마치면 아래와 같은 결과물을 완성시킬 수 있게 됩니다.



Pie 완성본 확인해보기


시작하기 전 


튜토리얼을 시작하기 전, “left”  “length” formula가 무엇인지 그리고 왜 사용되는지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1. “left”formula에서 요구하는 특정 글자 수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왼쪽부터 추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left(source:TEXT,count:NUMBER) → TEXT
 
아래 예시에서 “left” formula를 입력하면 왼쪽부터 첫 세 문자가 추출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ft("hello", 3) → “hel”

2. “length”는 글자 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length(source:TEXT) → NUMBER

아래 예시에서 “length” formula를 사용하면 글자 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length("hello") → 5


단계별 구현 방법


1. 텍스트 스트링과 글자 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variable 생성


★잠깐! 왜 variable을 사용한다고요?


variable을 값을 저장하는 바구니라고 생각하고, 이름, 패스워드, 계정 밸런스 등 추후 사용 희망하는 데이터를 저장해두세요.


이번 케이스의 경우, 텍스트 스트링을 위한 variable을 제작하면 추후 값을 빠르게 재사용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글자 수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variable은 몇 개의 글자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variable을 생성하고 이름을 “textToType”으로 설정하세요. variable의 타입을 Number에서 Text로 변경하세요.
▶ 이 variable은 입력될 텍스트를 저장합니다.

2. variable을 생성하고 “characterCount로 이름을 변경하세요.
▶ 이 variable은 입력된 텍스트의 글자 수를 계산합니다.

3. 각 variable의 기본값을 설정하세요.
textToType: Let's bake delicious pies! :) (혹은 프로토타이핑에 들어갈 텍스트)
characterCount: 0



여기서 characterCount의 값을 0으로 설정하여, textToType의 길이값까지 1 단위로 올라가도록 설정합니다.


2. 점차적으로 텍스트 나타내기


1. Start trigger를 생성하고 “characterCount” variable에 연결될 Assign response를 생성하세요.

2. Assign response에  아래 property를 설정하세요.  

Use formula: characterCount+1
▶ 다음 글자를 입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Start Delay: 2s
▶ 다음 글자가 입력되기 전, 약간의 딜레이를 주어 더욱 현실적인 효과를 연출합니다.

Repeat Count: length(textToType)
▶ 모든 글자가 완벽히 입력되기 전까지 다음 글자를 입력시킵니다. 예를 들어, 이 예시에서 사용된 “Let's bake delicious pies! :)” 의 글자 수는 29입니다. 즉, Assign response가 29번 반복된다는 뜻입니다.

Interval: 0.1s
▶ 글자간의 입력 간격을 0.1초로 유지시킵니다.



3. textCount variable에 해당하는 Detect trigger를 생성하세요.
textCount의 값이 계속 변하기 때문에, 변화하는 값을 Detect trigger에 연결시켜 텍스트가 바뀌도록 합니다.

4. Text 레이어에 Text response를 추가하세요. 추가 시, left(textToType,characterCount) formula를 사용하세요.
▶이 경우 formulaleft("Let's bake delicious pies! :)", 1)에서 시작되어, left("Let's bake delicious pies! :)", 2), left("Let's bake delicious pies! :)", 29)까지 이어집니다.



formula variable을 결합하면, characterCount variable 값에 해당하는 텍스트 스트링의 문자들을 왼쪽부터 추출합니다. characterCount의 값이 계속 변함에 따라, 텍스트 레이어도 계속 변하면서 타이핑 효과가 생성됩니다.


더 알아보기


이번 포스트에서는 variableformula를 사용하여 타이핑 효과 제작을 마스터하는 방법을 배워 보았습니다. 더 고도화된 타이핑 효과를 구현하고 싶으신가요? 아래 튜토리얼 영상을 통해, cursor blink를 사용하여 업그레이드된 타이핑 효과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세요!




ProtoPie 평생 무료로 사용하기

매거진의 이전글 Lo-Fi vs. Hi-Fi 프로토타이핑의 차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